신호 릴레이 시장 점유율, CAGR, 규모 및 영향 요인 및 2028년 예측
신호 릴레이 시장 조사 보고서 연구는 시장의 전체 성장 전망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전 세계 및 지역 시장을 다룹니다. 또한 예측 기간이 2022-2028년인 세계 시장의 포괄적인 경쟁 환경을 조명합니다. 신호 릴레이 시장 조사 보고서는 예측 기간 2022-2028과 함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시장 기여도, 역사적 및 현재 상황 모두에서 최근 개발을 포괄하는 주요 기업의 대시보드 개요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신호 릴레이 시장 조사 보고서는 높은 R&D로 구동되는 고도로 연구 집약적입니다 투자 및 예측 기간 2022-2028로 성장을 유지하고 장기적인 수익 창출을 보장하는 강력한 제품 분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신호 릴레이 시장 보고서는 원자재, 비용 및 기술 및 소비자 선호도와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해 연구합니다. 또한 역사, 다양한 확장 및 추세, 무역 개요, 지역 신호 발생기 시장, 무역 및 시장 경쟁자와 같은 중요한 시장 자격 증명을 제공합니다.신호 릴레이 시장 보고서 주요 업체의 시장 점유율 분석에 따라 신호 릴레이 시장 보고서는 확장 계획, 지원 영역, 주요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제품, 제휴 및 인수와 같은 다른 섹션과 함께 비즈니스별 자본, 수익 및 가격 분석을 다룹니다. 본사 납품.
회사의 전체 프로필이 언급됩니다. 그리고 용량, 생산, 가격, 수익, 비용, 총이익, 매출총이익, 판매량, 판매수익, 소비, 성장률, 수입, 수출, 공급, 미래 전략 및 그들이 만들고 있는 기술 개발도 포함됩니다. 보고서. 신호 릴레이 시장 2022년부터 2028년까지의 과거 데이터 및 예측 데이터.
신호 릴레이 시장 보고서에 등재 된 주요 선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Omron
Panasonic
TE Connectivity
KEMET
Siemens
HONGFA
Shenyang Railway Signal Co., Ltd”
Weidmuller
Fujitsu
Littelfuse
Coto Technology
Cynergy 3
Phoenix Contact
Standex-meder Electronics
ZHNQI
유형별 신호 릴레이 시장 세분화 :
응용 프로그램 별 신호 릴레이 시장 세분화 :
지리적으로이 보고서는 2015 년부터 2028 년까지 해당 지역에서 판매, 수익, 시장 점유율 및 신호 릴레이의 성장률을 포함하여 여러 주요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 북미 (미국, 캐나다 및 멕시코)
• 유럽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터키 등)
• 아시아 태평양 (중국, 일본, 한국, 인도, 호주,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및 베트남)
• 남미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 중동 및 아프리카 (사우디 아라비아, UAE, 이집트, 나이지리아 및 남아프리카)
2022년 이후에 신호 릴레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엇입니까?
신호 릴레이 부문은 항공 화물에 대한 접근 방식을 변경하고 전자 부문에서 볼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할 것입니까?
주요 트렌드는 다양한 신호 릴레이 물류 부문에 신호 발생기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Covid-19는 신호 릴레이 시장 물류 시장 규모에 어떤 영향을 미쳤습니까? 그리고 2022년 동안 각 지역은 어떤 영향을 받았습니까?
순환 경제로의 전환은 세계 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업계 내에서 직면한 문제에 대응하여 최고의 신호 릴레이 제조업체는 어떤 전략과 기술을 채택하고 있습니까?
신호 릴레이 시장 조사 보고서 시나리오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이 보고서는 배포, 구성 요소, 솔루션, 응용 프로그램 및 지역별로 분류된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의 질적 및 양적 추세를 제공합니다.
보고서는 주요 테이크 아웃으로 시작하여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의 주요 추세와 전망을 강조합니다.
보고서는 연구의 연구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에는 혜택 신호 릴레이 시장 환경에 대한 간략한 개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생태계 분석 및 전문가 의견과 함께 글로벌 시나리오에 대한 PEST 분석을 통해 시장 세분화를 제공합니다.
하이라이트 신호 릴레이 시장 동향 및 전망, 시장을 주도하는 지배적 요인,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영향 분석.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에서 시장 수익 및 예측에 대해 논의합니다.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중동 및 아프리카, 남미 지역에 걸쳐 배포, 응용 프로그램 및 지역별로 분류된 시장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 보고서는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중동 및 아프리카, 남미 지역 및 각 국가에 걸친 COVID 19의 영향을 제공합니다.
보고서는 업계 환경을 제공하고 주요 시장 이벤트와 생태계의 주요 시장 공급업체를 강조합니다.
이 보고서에는 혜택 신호 릴레이 시장 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회사의 자세한 프로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주요 사실, 비즈니스 설명, 재무 개요, SWOT 분석 및 주요 개발을 기반으로 프로파일링되었습니다.
부록에는 회사에 대한 간략한 개요, 용어집, 연락처 정보 및 면책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구결과 및 결론: 조사자의 발견과 탐사연구의 마무리가 나오는 보고서의 마지막 부분 중 하나이다.
주요 이해 관계자
-원료 공급 업체
-유통 업체 / 상인 / 도매 업체 / 공급 업체
-정부 기관 및 NGO를 포함한 규제 기관
-상업 연구 개발 (R & D) 기관
-수입 및 수출
-정부 기관, 연구 기관 및 컨설팅 회사
-무역 협회 및 산업 단체
-최종 사용 산업
목차의 주요 요점 :
1 신호 릴레이 시장 개요
1.1 신호 릴레이 제품 범위
1.2 유형별 신호 릴레이 세그먼트
1.2.1 글로벌 신호 릴레이 유형별 (2016 년 및 2022 년 및 2028 년)
1.3 애플리케이션 별 신호 릴레이 세그먼트
1.3.1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비교 (2016 & 2022 & 2028)
1.4 신호 릴레이 시장 추정 및 예측 (2016-2028)
1.4.1 가치 성장률의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규모 (2016-2028)
1.4.2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규모 (2016-2028)
1.4.3 글로벌 신호 릴레이 가격 동향 (2016-2028)
2 지역별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예측
2.1 지역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규모 : 2016 VS 2022 VS 2028
2.2 지역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회고전 시장 시나리오 (2016-2022)
2.2.1 지역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점유율 (2016-2022)
2.2.2 글로벌 신호 릴레이 수익 시장 점유율 지역별 (2016-2022)
2.3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예측 및 지역별 예측 (2022-2028)
2.3.1 지역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예측 (2022-2028)
2.3.2 글로벌 신호 릴레이 수익 지역별 예측 (2022-2028)
2.4 지리적 시장 분석 : 시장 현황 및 수치
2.4.1 북미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예측 (2016-2028)
2.4.2 유럽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예상 (2016-2028)
2.4.3 중국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전망 (2016-2028)
2.4.4 일본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전망 (2016-2028)
2.4.5 동남아시아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예측 (2016-2028)
2.4.6 인도 신호 릴레이 추정 및 예상 (2016-2028)
3 선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경쟁 환경
3.1 판매 별 글로벌 상위 신호 릴레이 플레이어 (2016-2022)
3.2 수익 별 글로벌 상위 신호 릴레이 플레이어 (2016-2022)
3.3 회사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점유율 (Tier 1, Tier 2 및 Tier 3) 및 (2020 년 기준 신호 릴레이 수익 기준)
3.4 회사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평균 가격 (2016-2022)
3.5 제조업체 신호 릴레이 제조 사이트, 서비스 지역, 제품 유형
3.6 제조업체 합병 및 인수, 확장 계획
유형별 4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규모
4.1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역사적인 시장 검토 (2016-2022)
4.1.1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점유율 (2016-2022)
4.1.2 유형별 신호 발생기 글로벌 신호 릴레이 수익 시장 점유율 (2016-2022)
4.1.3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가격 (2016-2022)
4.2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추정 및 예측 (2022-2028)
4.2.1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예측 (2022-2028)
4.2.2 글로벌 신호 릴레이 수익 유형별 예측 (2022-2028)
4.2.3 유형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가격 예측 (2022-2028)
응용 프로그램 별 5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규모
5.1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역사적인 시장 검토 (2016-2022)
5.1.1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점유율 (2016-2022)
5.1.2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수익 시장 점유율 (2016-2022)
5.1.3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가격 (2016-2022)
5.2 응용 프로그램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시장 추정 및 예측 (2022-2028)
5.2.1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예측 (2022-2028)
5.2.2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수익 예측 (2022-2028)
5.2.3 애플리케이션 별 글로벌 신호 릴레이 가격 예측 (2022-2028)
6 북미 신호 릴레이 시장 현황 및 수치
6.1 북미 신호 릴레이 by Company
6.1.1 회사 별 북미 신호 릴레이 (2016-2022)
6.1.2 회사 별 북미 신호 릴레이 수익 (2016-2022)
6.2 북미 신호 릴레이 유형별 분류
6.2.1 북미 신호 릴레이 유형별 분류 (2016-2022)
6.2.2 북미 신호 릴레이 유형별 분류 (2022-2028)
6.3 북미 신호 릴레이 애플리케이션 별 분류
6.3.1 애플리케이션 별 북미 신호 릴레이 분석 (2016-2022)
6.3.2 애플리케이션 별 북미 신호 릴레이 분석 (2022-2028)
7 유럽 신호 릴레이 시장 현황 및 수치
8 중국 신호 릴레이 시장 현황 및 수치
9 일본 신호 릴레이 시장 현황 및 수치
10 동남아시아 신호 릴레이 시장 현황 및 수치
11 인도 신호 릴레이 시장 현황 및 수치
신호 릴레이 사업의 12 가지 기업 프로필 및 주요 수치
13 신호 릴레이 제조 비용 분석
13.1 신호 릴레이 주요 원자재 분석
13.1.1 주요 원료
13.1.2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13.1.3 원자재의 주요 공급자
13.2 제조 비용 구조의 비율
13.3 신호 릴레이의 제조 공정 분석
13.4 신호 릴레이 산업 체인 분석
신호 발생기
VST를 사용하여 특정 전력 레벨에서 CW RF 신호를 생성하고 RFSG Getting Started Singe Tone Generation.vi 라는 NI RFSG 예제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생성합니다. VST의 출력을 캡처하면 VST의 출력 전력에 변동 (스윙)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동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이러한 변동은 로컬 발진기 (LO)의 누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신호 발생기 위해 niRFSG 속성인 Upconverter Frequency Offset (Hz)을 사용해서 생성된 RF 신호로부터 결정된 오프셋에서 국부 발진기 (LO) 누설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각 장치 사양에 지정된 출력 전력 수준 정확도 값과 출력 전력 수준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면 구성된 RF 주파수에서 3.75MHz의 오프셋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더 큰 오프셋이 필요한 경우보다 정확한 CW 신호 생성을 위해 오프셋을 원하는 RF ± [Instantaneous Bandwidth (IBW) / 2] 이내로 설정하십시오. 각 주파수 대역의 순간 대역폭에 대해서는 VST 사양 시트를 참조하십시오. 아래는 PXIe-5646의 스펙 시트에있는 예제 IBW 테이블입니다.
추가 정보
NI 벡터 신호 트랜시버의 송신기 아키텍처는 직접 (호모다인) 또는 제로 IF 업 컨버터를 사용합니다. 이 변환기는 구성된 LO 주파수에서 베이스 밴드 신호를 DC에서 RF로 업 컨버트합니다. 이 아키텍처를 사용하면 몇 가지 주요 이점이 있지만 극복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국부 발진기 (LO) 누출입니다.
LO 누출은 LO에서 믹서의 입력 및 출력 포트로 누출되는 원하지 않는 신호를 말합니다. 믹서의 기저 대역 신호 입력에서 누출된 에너지는 믹서 출력 뒤에 위치한 RF 구성 요소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으므로 무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믹서의 출력에서 LO의 누설 에너지는 단순히 필터링 할 수 없으며 필터링할 경우 원하는 신호 역시 필터링 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RF 주파수에서 LO 주파수를 오프셋하면 아래 예 (3.75MHz LO 오프셋)와 같이 믹서의 출력 포트에서 LO 누설이 원하는 RF 신호를 방해하지 않습니다. LO 누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이 KB의 관련 링크 섹션에서 외부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5G 테스터 시장 분석 2022~2029 | LitePoint, 로데슈바르즈, VIAVI 솔루션,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 Spirent Communications
5G 테스터 시장 보고서 는 성장률, 지역 범위 및 주요 시장 참가자의 최신 개발을 포함하여 여러 측면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는 현재 시장 시나리오, 시장 수요 및 비즈니스 전략을 기반으로 시장의 중요한 특성을 평가합니다. 또한 연구 보고서는 5G 테스터 시장 점유율, 유형, 응용 프로그램, 성장 요인, 주요 업체 및 지역을 기준으로 업계를 구분합니다. 최종 보고서 사본은 5G 테스터 시장에 대한 새로운 COVID-19 대유행과 예측 기간 동안의 상승 및 하락에 대한 분석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5G 테스터 시장의 주요 기업은
LitePoint, Rohde & Schwarz, VIAVI Solutions, Keysight Technologies, Spirent Communications, Anritsu입니다.
글로벌 5G 테스터 시장은 예측 기간 동안 약 XX% CAGR로 완만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CAGR 값 다운로드 샘플 보고서.
유형별로 시장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시장으로 나뉩니다
5G 테스터 시장이 집중하는 지역 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중국, 인도, 일본, 한국,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및 기타)
북미 (미국, 캐나다 및 멕시코)
중남미 (브라질, 및 남아메리카의 나머지 지역)
유럽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러시아 및 기타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GCC 국가, 터키, 이집트, 남아프리카 및 기타).
5G 테스터 시장 보고서 의
요점은 – 시장의 모든 신호 발생기 기회와 위험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입니다.
– 5G 테스터 시장의 현재 개발 및 중요한 행사.
– 시장을 주도하는 플레이어의 개발을 위한 비즈니스 기술에 대한 심층 연구.
– 다가오는 해 동안 시장의 개선 계획에 대한 결정적인 연구.
– 시장 특화 동인, 신호 발생기 목표 및 주요 소규모 시장의 하향식 접근 방식.
보고서의 중요한 특징:
– 유망한 성장을 보이는 잠재적 및 틈새 부문/지역.
– 시장에 대한 자세한 개요
– 업계의 변화하는 시장 역학
– 유형, 응용 프로그램 등에 따른 심층 시장 세분화
– 규모 및 가치 측면에서 과거, 현재 및 예상 시장 규모
– 최근 산업 동향 및 개발
– 경쟁 환경 시장
– 주요 업체 및 제품 제공 전략
참고 : 이 보고서는 클라이언트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신호 발생기 추가로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제한된 추가 연구에 대한 추가 비용은 추가되지 않습니다.
회사 소개: Infinity Business Insights는 전 세계에 시장 및 비즈니스 조사 정보를 제공하는 시장 조사 회사입니다. 우리는 가장 가치 있는 기회를 인식하고 가장 분석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작업을 변경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전문으로 합니다.
AESA 레이더 등 KF-21에 국산기술 탑재…공중발사순항미사일도
"
2015년 10월 미국이 한국형 전투기(KF-X) 핵심기술 이전을 요청하는 우리 정부에 내놓은 답변이었다.
당시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직접 요청했음에도 미국 입장은 완강했다.
애슈턴 카터 전 미국 국방장관은 제4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법에 의하면 우리가 한국 측에 특정 기술을 이전하는 데 제한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국의 요청을 거절했다.
미측의 핵심기술 이전 거부로 '전투기의 눈'에 해당하는 레이더 등 핵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장차 한국형 전투기가 '눈먼 독수리'가 되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까지 쏟아졌다.
이들 핵심 기술은 AESA(능동위상배열) 레이더, IRST(적외선탐색 추적장비), EO TGP(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 RF 재머(전자파 방해장비)신호 발생기 였다.
미국 정부가 제3국 유출을 철저히 감시할 정도여서 국내에서 이들 장비 개발이 어렵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당시 정부는 직접 개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도전에 나섰다.
이 가운데 개발이 가장 까다롭다던 AESA 레이더는 한화시스템이 시제를 만들었고 2020년 8월 시제품 납품이 이뤄졌다.
국산화율 89%에 달하는 등 KF-21 곳곳에 국내 기술진 손길이 스며들었다.
◇ '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1천여 개 모듈로 독립적 송수신
AESA 레이더는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뜻한다.
안테나가 레이더 각도를 전자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주사함으로써 공대공·공대지·공대해 표적 여러 개를 동시에 탐지·추적한다.
레이더 각도를 전자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한다는 점에서 기계식 조절 구동이 필요하던 종래의 레이더와 차이가 난다.
조절에 필요한 기계 부분이 없어지는 만큼 무게나 부피에서도 확연히 유리하다.
레이더 전면부에 1천여 개의 소형 통합 모듈을 장착하는데 이들 모듈은 각기 송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하며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모듈들이 각기 다른 주파수를 만들어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적의 전파 방해에 대처 능력이 뛰어나다.
종래의 비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PESA) 레이더는 전파 발생기가 한 개만 있고 이 발생기에서 나오는 전파를 각각의 송신기로 방사하는 식이어서 적이 단일한 주파수의 해당 전파를 역추적하기도 쉬웠다.
하지만 AESA 레이더는 임의의 주파수를 가진 여러 전파를 개별 모듈이 송신하는 방식이므로 레이더 추적에 잡힐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AESA 레이더는 2016년 8월 한화시스템이 개발에 착수해 양산 1호기 기준으로 국산화율 89%를 달성했다.
애초 미국, 유럽, 이스라엘, 중국, 일본 등 일부 선진국만 보유한 첨단 AESA 레이더를 해외 기술 이전 없이 국내 기술로만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우려가 팽배했다고 한다.
하지만 개발 착수 4년 만인 2020년 8월 세계 12번째로 AESA 레이더 개발에 성공하며 한국은 레이더 강국 반열에 올라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개발 과정에서 전투기용 레이더는 지상 고정 레이더와 달리 플랫폼이 계속 움직이고 극한의 환경에 처하는 만큼 지상에서 전투기 이동을 모의할 수 있는 시험 장비까지 제작했다고 한다.
특히 강력한 탐지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질화갈륨(GaN) 기반 소재를 적용해 크기는 더 작아지고 출력은 더 높아졌으며 발열량도 낮출 수 있게 됐다.
◇ IRST·EO TGP·EW Suite에 공중발사순항미사일까지
적외선 탐색 추적 장비(IRST)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원거리 공대공 표적을 탐지·추적하는 장비다.
적외선 센서 사용은 곧 전자파 신호의 방출이 없다는 것이므로 역추적 당할 우려가 있는 레이더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스텔스 기능을 향상해 전투기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는 뜻이 된다.
원거리 대공 표적 탐지에 적합한 원적외선(LWIR) 검출기를 적용함으로써 대공 표적에 대한 가시거리 밖 거리(Beyond Visual Range) 탐지 성능을 보유했다.
전자광학 표적 추적 장비(EO TGP)는 '전자광학 기술의 꽃'이라 불린다.
지상 표적을 주야간 구분 없이 탐지 및 추적하고 레이저 조사, 무장 유도, 표적 식별 등 조종사의 임무 수행을 지원한다.
적외선 카메라, 주간 카메라, 레이저 센서를 가느다란 한 묶음으로 만들어 전투기 하부에 장착한다.
가시광선도 사용하기 때문에 레이더와 달리 방해전파의 교란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IRST와 EO TGP도 2016년 10월부터 한화시스템이 개발에 착수해서 국산화를 달성했다.
AESA 레이더와 IRST, EO TGP가 적을 찾아내는 목적이라면 통합 전자전체계(EW Suite)는 KF-21을 위협하는 적의 레이더를 조기에 탐지 및 분석하고 공격을 막기 위한 전자전 장비다.
적 레이더를 방해하기 위한 전파를 방사하는 RF 재머와 함께 채프 및 플레어를 살포하는 체계가 여기에 포함된다.
LIG넥스원이 개발해 2020년 11월 시제품을 납품했다.
KF-21 무기체계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공중발사순항미사일(ALCM)이다.
ALCM은 적의 대공 위협지역 바깥의 원거리에서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이다.
적이 발사 원점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과 같은 전략 무기로 꼽힌다.
유사시 대북 억지력 확보 수단이 될 수 있다.
KF-21은 공대지 무기로 폭탄 10종을 장착할 예정이며 여기에 ALCM까지 달리면 공군의 최신 스텔스 전투기 F-35A보다 무장 측면에서 월등해진다.
ALCM은 최근 방위사업청의 사업추진전략이 승인돼 개발 착수 작업이 준비 중인 단계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국산전투기 KF-21 첫비행 성공…33분간 하늘을 날았다(종합2보)
8번째 초음속전투기 개발국 성큼…항공기술도약·첨단강군 '이정표'역사적 임무 수행 조종사는 안준현 소령…"훈련처럼 기체 움직여"최종 성공까지 2천여회 시험비행 남아…2026년부터 양산·배치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가 역사적인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우리나라가 세계 8번째 초음속 전투기 개발 성공 국가에 성큼 다가섰으며, 항공산업 기술력을 대내외에 과시한 쾌거로 평가된다. 방위사업청은 19일 오후 KF-21 시제기가 개발업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인근의 경남 사천 공군 제3훈련비행단 활주로에서 이륙해 시험비행을 마치고 정상적으로 착륙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은 "KF-21이 최초 비행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KF-21은 이날 오후 3시 40분께 활주로를 박차고 올라 이륙에 성공했으며, 오후 4시 13분께 지상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33분간 창공을 누비면서 기본적인 기체 성능 등을 확인했다. 한국형 전투기사업단장 직무대리 노지만 대령은 취재진에 "기본 비행성능을 검증하면서 사천·남해 지형을 비행한 후 정상적으로 착륙했다"고 말했다. 조종사는 시험비행동안 기체의 엔진출력을 올리고 내리기를 반복하고, 기체를 좌우로 기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확인하는 등 각종 장비가 비행에 적합하게 작동하는지 점검했다. 첫 비행에서는 초음속까지 속도를 내지 않고 경비행기 속도인 시속 약 400㎞(200노트) 정도로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큰 기대와 부담을 동시에 지고도 담대하게 역사적인 시험비행을 수행한 조종사는 한국형 전투기 통합시험팀 소속으로 공군 제52시험평가전대 시험비행 조종사 안준현 소령이다. 현장을 지켜본 군 소식통에 따르면 숙
[포토] 첫 국산 초음속 전투기 ‘보라매’ 마침내 날았다
한국 최초의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 1호기가 19일 경남 사천의 공군 제3훈련비행단 활주로에서 날아오르고 있다. 개발에 들어간 지 21년 만에 거둔 결실로, 한국은 세계 여덟 번째 초음속 전투기 개발 국가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방위사업청 제공
故이예람 중사 근무한 공군 부대서 또 여군 숨진채 발견(종합2보)
공군 수사단, 경찰 참관시켜 초기조사…범죄혐의 포착되면 경찰이 수사유족 입회하에 현장감식 진행…인권위 군인권보호관도 조사 착수 고(故) 이예람 중사가 근무한 공군 비행단에서 또 여군 간부가 숨진 채 발견됐다. 공군 수사단은 민간 경찰 참관하에 정확한 경위 파악과 함께 수사에 착수했다. 19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10분께 공군 20전투비행단 영내 독신자 숙소에서 A(21) 하사가 숨진 채 발견됐다. A 하사는 동료 부대원에 의해 발견됐으며, 발견 당시 정황은 극단선택으로 추정되고 있다. 작년 3월 임관한 A 하사는 그로부터 한 달 후에 지금의 보직에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고인의 PC 등 단말기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유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군본부 직할 수사단은 이날 오후 유족이 입회한 가운데 현장 감식을 진행했다. 유족의 요청으로 군인권센터도 이 자리에 동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부터 군인이 사망한 범죄는 민간 사법기관으로 이관됨에 따라 공군은 사건 발생 사실을 충남지방경찰청에 알렸다. 공군 수사단은 민간 경찰의 참관하에 정확한 사망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현재 단계에서는 공군 수사단 주도로 A 하사의 사망이 극단선택인지, 또 범죄 관련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민간 경찰도 이 과정에서 정보를 공유한다. 만약 범죄 혐의가 포착되면 사건이 민간경찰로 이관된다. 국가인권위원회의 군인권보호관도 국방부로부터 내용을 통보받아 조사를 개시했다. 군인권보호관은 군 인권침해와 차별행위를 조사해 시정조치와 정책권고 등 권리구제를 담당하는 기구로 이달 출범했다. 군인
신호 발생기
(~2022-07-14 23:59:00 종료)
AESA 레이더 등 KF-21에 국산기술 탑재…공중발사순항미사일도
美 기술 거부 난관 뚫고 적외선추적·전자광학표적추적 장비 등 국내 개발
전략무기 ALCM도 자체 개발 추진…폭탄 10종 장착해 F-35A보다 무장 뛰어나
Ramp Taxi 하는 KF21 Ramp Taxi 하는 KF21 (사천=연합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이 KF21 1호기를 생산 완료하고 지상 테스트를 시작한 지난 6일 테스트 파일럿이 Ramp Taxi를 하고 있다. 2022.7.8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끝)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한국에 조건부 KF-X 4개 기술이전은 어렵다."
2015년 10월 미국이 한국형 전투기(KF-X) 핵심기술 이전을 요청하는 우리 정부에 내놓은 답변이었다.
당시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직접 요청했음에도 미국 입장은 완강했다.
애슈턴 카터 전 미국 국방장관은 제4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법에 의하면 우리가 한국 측에 특정 기술을 이전하는 데 제한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국의 요청을 거절했다.
미측의 핵심기술 이전 거부로 '전투기의 눈'에 해당하는 레이더 등 핵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장차 한국형 전투기가 '눈먼 독수리'가 되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까지 쏟아졌다.
이들 핵심 기술은 AESA(능동위상배열) 레이더, IRST(적외선탐색 추적장비), EO TGP(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 RF 재머(전자파 방해장비)였다.
미국 정부가 제3국 유출을 철저히 감시할 정도여서 국내에서 이들 장비 개발이 어렵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당시 정부는 직접 개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도전에 나섰다.
이 가운데 개발이 가장 까다롭다던 AESA 레이더는 한화시스템이 시제를 만들었고 2020년 8월 시제품 납품이 이뤄졌다. 국산화율 89%에 달하는 등 KF-21 곳곳에 국내 기술진 손길이 스며들었다.
◇ '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1천여 개 모듈로 독립적 송수신
[그래픽] '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 [그래픽] '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 방위사업청은 19일 오후 4시 13분을 기해 첫 국산 전투기 KF-21 비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이전 거부한 한국형 전투기 핵심기술 중 개발이 가장 까다롭다던 AESA(능동위상배열) 레이더는 2016년 8월 한화시스템이 개발에 착수해 양산 1호기 기준으로 국산화율 89%를 달성했다.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끝)
AESA 레이더는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뜻한다. 안테나가 레이더 각도를 전자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주사함으로써 공대공·공대지·공대해 표적 여러 개를 동시에 탐지·추적한다.
레이더 각도를 전자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한다는 점에서 기계식 조절 구동이 필요하던 종래의 레이더와 차이가 난다. 조절에 필요한 기계 부분이 없어지는 만큼 무게나 부피에서도 확연히 유리하다.
레이더 전면부에 1천여 개의 소형 통합 모듈을 장착하는데 이들 모듈은 각기 송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하며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모듈들이 각기 다른 주파수를 만들어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적의 전파 방해에 대처 능력이 뛰어나다.
종래의 비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PESA) 레이더는 전파 발생기가 한 개만 있고 이 발생기에서 나오는 전파를 각각의 송신기로 방사하는 식이어서 적이 단일한 주파수의 해당 전파를 역추적하기도 쉬웠다.
하지만 AESA 레이더는 임의의 주파수를 가진 여러 전파를 개별 모듈이 송신하는 방식이므로 레이더 추적에 잡힐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AESA 레이더는 2016년 8월 한화시스템이 개발에 착수해 양산 1호기 기준으로 국산화율 89%를 달성했다.
애초 미국, 유럽, 이스라엘, 중국, 일본 등 일부 선진국만 보유한 첨단 AESA 레이더를 해외 기술 이전 없이 국내 기술로만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우려가 팽배했다고 한다.
하지만 개발 착수 4년 만인 2020년 8월 세계 12번째로 AESA 레이더 개발에 성공하며 한국은 레이더 강국 반열에 올라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개발 과정에서 전투기용 레이더는 지상 고정 레이더와 달리 플랫폼이 계속 움직이고 극한의 환경에 처하는 만큼 지상에서 전투기 이동을 모의할 수 있는 시험 장비까지 제작했다고 한다.
특히 강력한 탐지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질화갈륨(GaN) 기반 소재를 적용해 크기는 더 작아지고 출력은 더 높아졌으며 발열량도 낮출 수 있게 됐다.
하기준비 하는 KF21 하기준비 하는 KF21 (사천=연합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이 KF21 1호기를 생산 완료하고 지상테스트를 시작한 지난 6일 테스트 파일럿이 Ramp Taxi 후 하기준비를 하고 있다. 2022.7.8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끝)
◇ IRST·EO TGP·EW Suite에 공중발사순항미사일까지
적외선 탐색 추적 장비(IRST)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원거리 공대공 표적을 탐지·추적하는 장비다.
적외선 센서 사용은 곧 전자파 신호의 방출이 없다는 것이므로 역추적 당할 우려가 있는 레이더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스텔스 기능을 향상해 전투기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는 뜻이 된다.
원거리 대공 표적 탐지에 적합한 원적외선(LWIR) 검출기를 적용함으로써 대공 표적에 대한 가시거리 밖 거리(Beyond Visual Range) 탐지 성능을 보유했다.
전자광학 표적 추적 장비(EO TGP)는 '전자광학 기술의 꽃'이라 불린다. 지상 표적을 주야간 구분 없이 탐지 및 추적하고 레이저 조사, 무장 유도, 표적 식별 등 조종사의 임무 수행을 지원한다.
적외선 카메라, 주간 카메라, 레이저 센서를 가느다란 한 묶음으로 만들어 전투기 하부에 장착한다. 가시광선도 사용하기 때문에 레이더와 달리 방해전파의 교란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신호 발생기
IRST와 EO TGP도 2016년 10월부터 한화시스템이 개발에 착수해서 국산화를 달성했다.
AESA 레이더와 IRST, EO TGP가 적을 찾아내는 목적이라면 통합 전자전체계(EW Suite)는 KF-21을 위협하는 적의 레이더를 조기에 탐지 및 분석하고 공격을 막기 위한 전자전 장비다.
적 레이더를 방해하기 위한 전파를 방사하는 RF 재머와 함께 채프 및 플레어를 살포하는 체계가 여기에 포함된다. LIG넥스원이 개발해 2020년 11월 시제품을 납품했다.
KF-21 무기체계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공중발사순항미사일(ALCM)이다. ALCM은 적의 대공 위협지역 바깥의 원거리에서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이다.
적이 발사 원점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과 같은 전략 무기로 꼽힌다.
유사시 대북 억지력 확보 수단이 될 수 있다.
KF-21은 공대지 무기로 폭탄 10종을 장착할 예정이며 여기에 ALCM까지 달리면 공군의 최신 스텔스 전투기 F-35A보다 무장 측면에서 월등해진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