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의 유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JAVA_HOME 시스템 환경 변수가 JDK 설치를 가리키도록 설정합니다.

플랫폼의 유형

ICT 시스템의 모듈화(modularity)가 진전됨에 따라 소규모의 분업화된 기업 간 경쟁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모듈 간을 연결하는 플랫폼이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의 정보와 가치 흐름에 대해서 게이트키퍼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병목(bottleneck)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플랫폼은 기술구조 측면에서 다양한 방식과 수준에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업 주체에 의해 소유되거나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서 통신망, 단말, 운영체제, 브라우저, 포털,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완전히 다른 시스템 구성요소에 특화된 기업들이 플랫폼 경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전혀 다른 분야에서 생성된 플랫폼이 서로 직접적으로 경쟁관계에 놓이게 됨에 따라, 기업들의 플랫폼 활동을 별개의 관련 시장에서 파악하기보다는 생태계 내에서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평가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플랫폼이 지닌 다면적 시장(multi-sided market)의 특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의 규제적용이 타당하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Ballon & Heesvelde(2011)를 중심으로 ICT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을 규제 관점에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플랫폼 유형에서 제기될 수 있는 경쟁이슈를 식별한다. 더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제기관이 취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공한다.

Ⅱ. 플랫폼의 개념
1. 플랫폼의 정의 및 특성
2. ICT 플랫폼의 특징

Ⅲ. 플랫폼 유형 및 경쟁이슈
1. 플랫폼의 유형 분류
2. 플랫폼 유형에 따른 경쟁이슈

Ⅳ. 플랫폼 규제방안
1. 현행 규제 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
2. 플랫폼에 대한 규제수단
3. 플랫폼 규제 프레임워크의 고려사항

연구과제 상세정보

최근 국내외에서 유튜브(YouTube)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다양한 주제의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품질도 향상되었으며, 단순 흥미 위주를 넘어 전문 정보 검색 도구로도 활용되면서 유튜브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있다. 특히 Z세대를 대표하는 젊은층에서 유튜브의 이용이 상 .

최근 국내외에서 유튜브(YouTube)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다양한 주제의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플랫폼의 유형 품질도 향상되었으며, 단순 흥미 위주를 넘어 전문 정보 검색 도구로도 활용되면서 유튜브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있다. 특히 Z세대를 대표하는 젊은층에서 유튜브의 이용이 상당히 두드러지고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튜브를 이용,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이용자 중 주소비층이라 할 수 있는 10~20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좋아요, 싫어요, 댓글달기, 공유하기, 업로드하기, 시청하기, 댓글 읽기, 활용 방식 등과 관련한 참여 활동을 통해 유튜브에서 정보를 소비하고 참이용하는 동기와 충족, 유튜브라는 미디어 플랫폼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욕구를 지닌 이용자들을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아닌 주관적 특성에 의해 세분화하고자 한다. 이것은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도 개인의 취향, 성격, 라이프스타일, 만족, 추구 가치 등 주관성(subjectivity)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용자의 주관적 인식 구조(schemata)를 파악하고 각각의 특성들을 이해하는 작업이 관련 산업에 대한 현 위치와 미래를 판단하고 예측하는데 우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문제:
1. 유튜브 이용자 중 주 소비층인 10대~20대 이용자를 대상으로 참여 활동, 이용 동기, 충족, 소비 방식 등 유튜브를 어떻게 활용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구조를 발견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1]을 통해 발견된 인식 유형은 어떠하며, 각각의 특성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3. [연구문제 플랫폼의 유형 2]를 통해 분석한 인식 유형의 특성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플랫폼 이용자들과의 특성들을 비교를 통해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할 연구 방법론에 대한 학문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연구 논문들은 양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을 증명하고 일반화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Q 방법론은 소표본의 원칙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가 연구의 주 .

본 연구에서 적용할 연구 방법론에 대한 학문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연구 논문들은 양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을 증명하고 일반화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Q 방법론은 소표본의 원칙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가 연구의 주된 목적이 아니다. Q는 사회에서 인식하고 있는 문제나 이슈 등이 어떻게 각 개인에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발견하는데 초점을 두는 가설발견의 논리를 적용하고 있다(김흥규, 2008, 20-21쪽).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Q 방법론적 접근은 단순히 인구학적 특성에 의해 분류되는 구조가 아닌 유튜브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가치 추구나 라이프스타일, 취향 등 개인의 주관성에 대한 스키마타를 분석하고 그 특성들을 발견함으로써 R 방법론(양적 방법론)으로서는 인식할 수 없었던 이론적 틀과 구체적 방법을 조명해 주는데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산업적인 연계와 관련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또한 유아부터 젊은 세대들은 텍스트보다는 유튜브 앱에서 동영상으로 자신들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음성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습관화되면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찾아보는 검색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즉, 콘텐츠를 ‘읽고 쓰던’ 시대에서 ‘말하고 듣고 보는’ 시대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젊은 세대들의 동영상 콘텐츠 소비 방식과 이용 동기 또는 미디어 플랫폼 이용 방식 등 보다 심리적, 주관적인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지금의 현상에 대한 이해와 미래의 플랫폼 관련 산업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아울러 미래 소비의 주역이자 트렌드를 만들고 움직이는 젊은 세대들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이 경쟁 기업과 차별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교육과의 연계 방안은 다음과 같다. 현재 광고, 미디어 분야를 주로 강의하고 있는데 강의 시간을 통해 본 연구자료를 활용한다면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의 창출 가치와 영향력, 미래의 산업 등을 학생들과 함께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아울러 광고 수업에서도 소비자를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광고/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구체적인 틀로서 그 유용성을 발휘하리라 기대해 본다.

최근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의 급성장하고 있으며, 또한 이용자의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이들이 플랫폼 성장을 견인하면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형태의 미디어 플랫폼 소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스 미디어 중심의 미디어 환경이 1인 미디어 등의 대 .

최근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의 급성장하고 있으며, 또한 이용자의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이들이 플랫폼 성장을 견인하면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형태의 미디어 플랫폼 소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스 미디어 중심의 미디어 환경이 1인 미디어 등의 대안 미디어 중심으로 급속 진화하면서 콘텐츠의 생산 ․ 유통 ․ 소비부터 정보 검색에 이르기까지 기존과는 다른 패러다임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튜브는 기본적으로 네 가지 가치 즉, 표현의 자유, 정보의 자유, 기회의 자유, 소속의 자유를 내세우고 있는데 이러한 가치들이 젊은 세대의 강력한 지지를 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이유로도 볼 수 있다. 반면에 콘텐츠의 유해성 등 사회적인 악영향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 목적으로 하는 Q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유튜브의 주소비층이라 할 수 있는 10~20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유튜브의 이용동기와 충족, 활용 방식 등 유튜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유튜브 이용자 관점에서의 왜 유튜브를 이용하는 것이며, 유튜브가 가져다 주는 심리적 만족이나 가치 등의 주관적 인식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 이용자들의 특성을 보다 근원적인 측면에서 심도있게 파악하고 이해하며, 관련 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바야흐로 유튜브 전성시대이다. 2005년에 시작된 유튜브는 세계 최대의 동영상 유통 플랫폼이다. 특히 2006년 구글이 인수한 이래로 유튜브는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다. 유튜브는 유아뿐만 아니라 전 세대를 사로잡고 있는데, 매월 20억 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로그인하고 .

바야흐로 유튜브 전성시대이다. 2005년에 플랫폼의 유형 시작된 유튜브는 세계 최대의 동영상 유통 플랫폼이다. 특히 2006년 구글이 인수한 이래로 유튜브는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다. 유튜브는 유아뿐만 아니라 전 세대를 사로잡고 있는데, 매월 20억 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로그인하고, 매일 10억 시간 시간이 넘는 분량의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그 결과, 유튜브는 출시 15년 만에 20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부터 정보 검색에 이르기까지 매체 이용의 패러다임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유튜브는 특히 8~34세 연령대에서 높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젊은 세대에게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콘텐츠는 다양하고 전지구적이며, 유튜브라는 플랫폼 내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호작용의 참여자가 될 수 있다. 둘째, 유튜브 내에 참여자들 간의 가치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관심, 명성, 영향력, 평판 등이 일종의 ‘통화(currency)’의 기능을 대체한다. 이를 통해 유튜브에서는 유명 인사 못지 않은 인기를 누리는 크리에이터나 인플루언서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유명인이 탄생하고 있다. 셋째, 젊은 세대들은 글이나 영상으로 보고 기록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와 같은 젊은 세대들의 취향과 선호가 유튜브의 매커니즘이 통하면서 유튜브의 급성장을 견인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튜브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유튜브는 유아동도 즐겨 이용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사회적 파장과 영향은 더 크며, 불법적이거나 선정적, 유해적인 내용, 확인되지 않은 또는 사실이 아닌 정보들이 유튜브 동영상으로 확산되면서 우려의 측면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의 주소비층인 10~20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유튜브의 이용동기와 욕구 충족, 이용 방식, 태도 등 유튜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인식의 문제들은 이용자의 주관적인 관점에 따라 다른 것으로, 기존의 양적 방법론보다는 취향, 태도, 추구 가치 등 인간의 주관성 연구를 위해 개발된 Q 방법론를 적용하여 각각의 인식 유형들을 발견하고, 그 특성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유튜브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유형을 분석한 결과, 총 세 가지의 유형이 나타났다.
제1유형은 ‘혜택 추구로서의 도구’로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시공간적 제약없이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검색도 하고 킬링 타임용으로 활용도 할 수 있고, 기존 매체에서 접하지 못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와 내용들을 통해 얻는 오락적 만족감, 그리고 콘텐츠를 통해 대리만족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혜택들을 얻기 위해서라면 콘텐츠 시청 전 강제적으로 봐야 하는 광고도 수용할 자세가 되어 있다.
제2유형은 ‘양날의 검으로서의 도구'로 유튜브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은 인정한다. 그러나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세대와 계층들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공유함으로써 발생되는 사회적 영향력과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유튜브 이용에 대한 우려가 높다. 따라서 제2유형은 기본적으로 연령에 따른 접근 제한, 콘텐츠 내용의 여과 장치, 콘텐츠 내용의 질과 신뢰성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제3유형은 ‘다재다능한 백과사전’으로 유튜브 콘텐츠의 다양한 장르와 방대한 양에 대한 만족감이 크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추구하는 데 만족감을 느낀다. 그리고 유튜브는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를 실험해 보는 놀이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용자나 콘텐츠 내용에 대한 제한을 두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각 유형에 따라 유튜브 이용 방식이나 태도 등 인식의 구조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특성을 토대로 유튜브가 앞으로 다른 미디어 플랫폼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t truly is the golden age of YouTube. Launched in 2005, 플랫폼의 유형 YouTube is the world’s largest video distribution platform. Especially after its acquisition by Google in 2006, YouTube has seen consistent growth. It has captivated not only small children but .

It truly is the golden age of YouTube. Launched in 2005, YouTube is the world’s largest video distribution platform. Especially after its acquisition by Google in 2006, YouTube has seen consistent growth. It has captivated not only small children but people of all generations, with over 2 billion viewers logging in each month to watch over 1 billion hours of video each day. As a result, YouTube is valued at $20 billion just 15 years after launch. In addition, it is changing the paradigm of media usage from content creation, distribution, to consumption.
YouTube especially has a high viewership rate amongst those aged 8-34 years.
The reason that it is receiving such strong support from the younger gener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YouTube are varied and global in nature. In addition, creators and consumers can become participants in interactions within the platform. Second, when the value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occurs within YouTube, interests, fame, influence, and reputation play the role of a type of "currency." Through this, a new type of celebrities such as creators and influencers are being born on YouTube who 플랫폼의 유형 플랫폼의 유형 플랫폼의 유형 rival the popularity of conventional celebrities. Third, the younger generation prefers to see and create records using text and video. We can say that such preference and tastes of the young generation has been successful in the YouTube mechanism leading to its rapid growth.
The growth of the viral video platform can be viewed positively from various aspects. However, as YouTube is a platform also enjoyed by small children and teenagers, its social impact and influence is even greater, and there are concerns regarding the spread of illegal, suggestive, or harmful contents and false or unsubstantiated information on the platform.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examine how the main user group in their teens and 20s perceives YouTube including their use motive, desire satisfaction, use way, attitude, and the like. These issues of perception depend on the subjective view of users.
Therefore, we determined each type of perception using Q methodology, which was developed to research human subjectivity including preference, attitude, pursued values, and so on, rather than using traditional quantitative methods, and we also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user perception on YouTube resulted in the following three types:
The first type was the "Tool as a Mult-dimensional Benefit," who points to the fact the YouTube videos can be used without limit of time and space as its greatest advantage. In addition, they also gave high praise to the fact that YouTube can be used for searches or for killing time, for the entertainment satisfaction that can be gained through the videos of various genres that they could not encounter in conventional media, as well as to the fact that they can receive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the videos. In addition, they were willing to accept the adverts that they were forced to view before watching the videos in order to receive such benefits.
The second type was the "Tool as a Double-edged Sword," who are highly concerned about the usage of YouTube because of its great social impact by allowing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to be able to have voices. Therefore, the second type basically believes that measures such as age restrictions, content filtering, quality control, and fact checking are called for.
The third type was the "Versatile Encyclopedia," who are very satisfied with the varied genres and vast quantity of YouTube videos, and they feel satisfaction in pursuing varied information and knowledge utilizing this platform. In addition, they believe that restrictions on users or contents should not be put on because YouTube plays the role of a playground where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experiment with their interes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that perceptions in relation to YouTube usage methods or attitudes differed across these three types, and we believ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YouTube to establish strategies in the future that will differentiate it from other media platfor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ewer type.

바야흐로 유튜브(YouTube) 전성시대이다. 유튜브는 매월 20억 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로그인하고, 매일 10억 시간이 넘는 분량의 동영상을 시청하는 플랫폼으로서 전 세대를 아우르며 출시 15년 만에 20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유튜브는 젊은 세대들의 .

바야흐로 유튜브(YouTube) 전성시대이다. 유튜브는 매월 20억 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로그인하고, 매일 10억 시간이 넘는 분량의 동영상을 플랫폼의 유형 시청하는 플랫폼으로서 전 세대를 아우르며 출시 15년 만에 20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유튜브는 젊은 세대들의 지지를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데 여러 가지 장점도 있지만 사회적 파급 효과 등을 고려하면 사회적 역기능도 우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10~20대 유튜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유튜브의 이용동기와 태도, 플랫폼의 유형 충족, 활용 방식 등 유튜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인식 유형을 발견하고 각각의 특성들을 이해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세 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는데, 제1유형은 ‘혜택 추구로서의 도구’로 명명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시공간적 제약없이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검색도 하고 킬링 타임용으로 활용도 할 수 있고, 기존 매체에서 접하지 못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와 내용들을 통해 얻는 오락적 만족감, 그리고 콘텐츠를 통해 대리만족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혜택들을 얻기 위해서라면 콘텐츠 시청 전 강제적으로 봐야 하는 광고도 수용할 자세가 되어 있다.
제2유형은 '양날의 검으로서의 도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2유형은 유튜브가 다양한 세대와 계층들이 다양한 목소리를 내고 공유함으로써 사회적 영향력과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유튜브 이용에 대한 우려가 높다. 물론 유튜브가 킬링 타임을 위해 적절하며 다양한 문화들을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한다. 하지만 유튜브 콘텐츠 중에는 내용의 신뢰성이나 질이 낮은 것도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나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제3유형은 '다재다능한 백과사전’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3유형은 타 유형들과는 달리 정보 추구 목적이 앞선다. 특히 플랫폼의 유형 방대한 콘텐츠들을 통해 다양한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다.

연구 결과 유총 세 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는데, 제1유형은 ‘혜택 추구로서의 도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시공간적 제약없이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검색도 하고 킬링 타임용으로 활 .

연구 결과 유총 세 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는데, 제1유형은 ‘혜택 추구로서의 도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시공간적 제약없이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검색도 하고 킬링 타임용으로 활용도 할 수 있고, 기존 매체에서 접하지 못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와 내용들을 통해 얻는 오락적 만족감, 그리고 콘텐츠를 통해 대리만족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혜택들을 얻기 위해서라면 콘텐츠 시청 전 강제적으로 봐야 하는 광고도 수용할 자세가 되어 있다.
제2유형은 '양날의 검으로서의 도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2유형은 유튜브의 장점도 인정하지만 그보다는 유튜브의 사회적 영향력과 파급력에 대한 위험 부담을 크게 느끼기 때문에 유튜브 이용에 대한 우려가 높다. 따라서 유튜브 콘텐츠 중에는 내용의 신뢰성이나 질이 낮은 것도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나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제3유형은 '다재다능한 백과사전’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3유형은 타 유형들과는 달리 정보 추구 목적이 앞선다. 특히 방대한 콘텐츠들을 통해 다양한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나 활용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연구 수행에 활용된 방법론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 목표로 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브에 대한 인식 유형을 발견하고 각 유형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총 세 가지의 유형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성별, 연령, 직업 등 인구학적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이슈나 사안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주관적 인식 구조에 의해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양적 방법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발견된 유형들이 가설이 되며 추후 연구에서 실제로 각 유형들이 얼마만큼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유형(가설)과 특정 변인들과의 상관성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유형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미디어나 마케팅과 관련한 산업과도 연계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기존의 미디어, 이를테면 TV 프로그램의 경우도 TV용으로 방송이 되는 콘텐츠 이외에도 유튜브 이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부가적 콘텐츠들을 동시에 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유튜브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제작자나 매체사의 경우, 유튜브 이용자들에 대한 보다 디테일한 특성들을 파악, 이해함으로써 그에 따른 콘텐츠의 분량이나 내용들을 기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요즘 유아부터 젊은 세대들은 텍스트보다는 유튜브 앱에서 동영상으로 자신들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음성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습관화되면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찾아보는 검색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즉, 콘텐츠를 ‘읽고 쓰던’ 시대에서 ‘말하고 듣고 보는’ 시대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젊은 세대들의 동영상 콘텐츠 소비 방식과 이용 동기 또는 미디어 플랫폼 이용 방식 등 보다 심리적, 주관적인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지금의 현상에 대한 이해와 미래의 플랫폼 관련 산업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아울러 미래 소비의 주역이자 트렌드를 만들고 움직이는 젊은 세대들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이 경쟁 기업과 차별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최근 기업들이 인플루언서들을 활용한 마케팅을 주력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유튜브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크리에이터들을 활용해 기업의 홍보 도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교육과의 연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마케팅이나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미디어들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자료들이 소비자 또는 이용자들의 특성들을 파악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도 소개해 줄 수 있는 사례가 될 수 있다.

플랫폼의 뜻과 플랫폼 비즈니스에 투자하기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쿠팡, 무신사 등 우리들이 쉽게 웹, 모바일로 접해서 이용하는 환경을 플랫폼이라 하는데 오늘은 플랫폼의 뜻(사전적 의미)과 어떻게 사용되고, 왜 주목받는지 얼마나 큰 파급력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플랫폼 환경을 개발할 수 없다면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랫폼의 뜻

플랫폼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플랫폼은 다양한 뜻을 가지고 사용되어 왔지만 그 근원은 모두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차, 지하철 등 역에서 타고 내리는 곳이라는 뜻의 플랫폼은 각종 교통수단이 이동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요금을 받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시켜주는 곳의 시작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현대의 정보 통신 계열로 확장하여 생각하면 상호 간에 원하는 활용 요소를 바탕으로 각종 상품, 서비스, 연계하는 기초가 되는 공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유형의 제품뿐만 아니라 무형의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같은 것도 포괄하는 개념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
  • 강사, 음악 지휘자, 선수 등 이 사용하는 무대 또는 강단
  •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 또는 골격을 지칭하는 용어

대표 플랫폼

과거 pc방이 활개를 치던 시대에는 인텔, 델, 마이크로 소프트와 같이 컴퓨터 기반 산업 기업들이 대표적이었으나 요즘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과 같이 인터넷 통신 생태계를 주도하는 4인방이 대표적입니다. 이 거대 기업들은 현재도 플랫폼의 확장으로 수익을 확대하고 거대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산업은 왜 핫할까?

이미 선도 기업들은 어마어마한 수익 확대와 거대기업으로의 성장으로 성공 비결로 독자적인 플랫폼을 뽑았습니다. 또한, 엄청나게 빠른 기술의 성장과 빠르게 변화하고 다양한 고객의 니즈로 인해 짧아진 제품 수명으로 인해 인터넷, 통신 기반 내에서 개발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이 말은 곧 투자 대비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플랫폼의 생성으로 사용자가 모이게 되면 다른 니즈 발굴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통의 활로가 되기도 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해 줍니다. 또한 플랫폼 사용자가 증가하면 그 안에서 새로운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새로운 플랫폼 노동자가 탄생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플랫폼의 성격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만한 플랫폼들이지만 전부 각각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다양한 성격을 가진 플랫폼들의 기능을 전부 수행하는 플랫폼이 나온다면 파급력이 정말 어마어마할 것입니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니즈는 정말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신규 플랫폼 개발로 대박의 기회는 항상 열려 있습니다.

이 말은 곧 결국 모든 산업들이 플랫폼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IT 산업 개발자들은 이러한 플랫폼이 잘 작동하도록 소프트웨어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입니다. 한동안 실시간 인기 검색에 올라왔던 메타버스도 결국은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진행됩니다.

메타버스 뜻과 대표 플랫폼 및 미래전망(관련주, 영화 포함)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문화와 함께 각종 매스컴에서 소개하고 급부상중인 메타버스! 사실 과거서부터 현재까지 생활 속 다양한 부문에 이미 들어와 있으며, 일각에선 과거 형태에서 발전이 없

이상으로 플랫폼의 뜻과 왜 각광받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든 산업이 플랫폼화 되고 있고 플랫폼 비즈니스가 투자 플랫폼의 유형 대비 많은 수익을 주며 거대 기업으로 가는 성패의 열쇠가 되는 만큼 플랫폼 관련 모든 비즈니즈는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Oracle Enterprise Performance Management 플랫폼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통합

Oracle Analytics Cloud는 Oracle EPM(Oracle Enterprise Performance Management) 플랫폼 비즈니스 프로세스(예: Oracle Planning and Budgeting Cloud Service)와 통합됩니다.

Oracle EPM 플랫폼과 통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셀프 서비스 - 비즈니스 사용자가 큐브 또는 계획 유형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각화 워크북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Planning and Budgeting Cloud, Hyperion Planning 및 Essbase 큐브의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셀프 서비스 접속에는 특별한 모델링이나 관리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비즈니스 사용자는 Oracle EPM 접속 유형을 사용하여 접속을 생성하고 시각화 워크북을 생성하면 됩니다.

고급 데이터 모델링 - 먼저 비즈니스 분석가가 Oracle EPM 데이터를 모델링한 다음, 비즈니스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의미 모델을 게시합니다. 예를 들어, 관리자나 데이터 모델러는 조직에서 사용할 고급 계산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고급 데이터 모델링에는 관리 권한이 필요하고 Enterprise Edition도 필요합니다.

Oracle EPM 플랫폼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시보드 및 분석 작성

Oracle Analytics Cloud Enterprise Edition은 Oracle EPM(Enterprise Performance Planning) 플랫폼과 통합됩니다. Oracle EPM Cloud에서 대시보드 및 분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Oracle EPM 플랫폼에 Planning, Close 및 Tax Reporting과 통합 개요

Oracle EPM Cloud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회사에서 계획, 예측 및 예산책정을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보고서 작성자는 Oracle EPM Cloud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대시보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의미 모델을 생성하는 경우,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데이터 소스에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메타데이터를 임포트하면 보고서 작성자가 대시보드 및 분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Oracle Analytics Cloud는 Planning, Financial Consolidation and Close 및 Tax Reporting을 지원합니다.

Oracle EPM(Enterprise Performance Management) Cloud 버전 19.08 이상이 있을 플랫폼의 유형 경우 Oracle Analytics Cloud와 함께 미리 설치된 ADM(Analytic Data Modeling)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Oracle Planning and Budgeting Cloud Service에서 제공하는 고급 모델링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필터링을 지원하는 숫자 열의 세대
  • 최하위 표시기 열
  • 멤버 이름 및 별칭에 대한 세대당 별도 열(EPM 20.04 필요)
  • 속성 차원
  • 향상된 성능 기능

서비스 설명 문서를 검토하여 이 기능 사용과 관련된 라이센스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설명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Hyperion Planning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를 임포트하는 경우 측정항목과 차원이 의미 모델로 임포트됩니다.

Oracle EPM 플랫폼과의 통합을 위한 필요 조건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제자리에 올바르게 배치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Oracle Analytics Cloud - Enterprise Edition.

모델 관리 툴을 실행할 Windows 64비트 시스템

Oracle Analytics Cloud 5.6 이상용 모델 관리 툴

Oracle Technology Network에서 다운로드하여 로컬 Windows 64비트 시스템에 설치합니다. Oracle Analytics용 Analytics Client Tools 다운로드 및 설치를 참조하십시오.

Oracle Analytics Cloud(즉, 오라클이 관리하는 Oracle Cloud Infrastructure)를 배치하려면 다음 옵션을 구성합니다.

    JAVA_HOME 시스템 환경 변수가 JDK 설치를 가리키도록 설정합니다.

예: C:\Program Files\Java\jdk1.8.0_162 .

클라이언트를 재시작해야 하는 경우 stopOnClient.bat 를 실행한 다음 startOnClient.bat 를 재실행합니다.

Oracle Analytics Cloud- Classic(즉, Oracle Cloud Infrastructure Classic)을 배치하려면 다음 옵션을 구성합니다.

인스턴스 이름을 사용하여 \bi\bitools\bin\admintool.cmd 를 구성합니다.

\bi\config\fmwconfig\biconfig\OBIS\NQSConfig.INI 에서 Oracle Analytics Cloud 호스트 및 포트 정보를 구성합니다.

[JAVAHOST] JAVAHOST_HOSTNAME_OR_IP_ADDRESSES = "host:9506";

Cloud EPM 플랫폼에서 의미 모델 구축 및 업로드

Cloud EPM 플랫폼에 의미 모델을 구축하여 Oracle Analytics Cloud Enterprise Edition에 업로드합니다.

  1. 로컬 환경에서 모델 관리 툴을 시작하고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2. Planning and Budgeting 메타데이터를 임포트합니다.
    1. 파일 메뉴에서 메타데이터 임포트 를 눌러 임포트 마법사를 시작합니다.
    2. 데이터 소스 선택 페이지의 접속 유형 목록에서 Hyperion ADM 을 선택합니다.
    3. 메타데이터 객체 선택 페이지에서 접속 세부정보를 입력합니다.

    접속 유형 에 대해 Hyperion ADM 을 선택합니다.

    제공자 유형 에 대해 Hyperion Planning 을 선택합니다.

    URL 에 대해 접속 URL을 다음 형식으로 지정합니다.

    주 : 호스트와 포트 번호를 구분하려면 콜론(:) 대신 URL 인코딩 값 %3A를 지정하십시오.

    접속 URL은 Oracle Cloud Infrastructure(1세대) 및 Oracle Cloud Infrastructure(2세대)에서 서로 다릅니다.

    Planning and Budgeting 애플리케이션이 Oracle Cloud Infrastructure(1세대)에 배치된 경우 접속 URL을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Planning and Budgeting 애플리케이션이 Oracle Cloud Infrastructure(2세대)에 배치된 경우 접속 URL을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알아두면 쓸데없는 자바 플랫폼 종류

    post-thumbnail

    자바 는 특정 구문과 스타일을 가진 고급 객체 지향 언어 이다.
    자바 플랫폼 이란 자바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특정한 환경을 이른다.

    자바는 총 4가지 플랫폼을 제공한다.

    • Java SE (Standard Edition)
    • Java EE (Enterprise Edition)
    • Java ME (Micro Edition)
    • Java FX

    모든 자바 플랫폼은 JVM 과 API 로 구성된다.

    API 는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모음이다.

    Java SE

    Java 프로그래밍 언어의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Java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유형부터 네트워킹 , 보안 ,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 GUI 개발 및 XML 구문 분석 에 사용되는 고급 클래스까지 모든 것을 정의한다.
    핵심 API 외에도 Java SE 플랫폼은 가상 머신 , 개발 도구 , 배포 기술 , Java 기술 응용프로그램 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클래스 라이브러리 및 도구 키트로 구성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설치하는 JDK가 Java SE JDK 이다.
    주요 패키지로는 java.lang.* , java.io.* , java.util.* , java.awt.* , javax.rmi.* , javax.net.* 등이 있다.

    Java EE

    Java EE(Enterprise Edition) 플랫폼은 Java SE 위에 구축된다.
    대규모, 다계층, 확장 가능하고 안정적이고 안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API 및 런타임 환경을 제공한다. 원어 그대로 기업용 에디션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Java EE 는 Java SE 를 사용하며, 서버 개발을 위한 다양한 다양한 기술을 제공한다.

    현재 Java EE의 명칭은 Jakarta EE 로 변경되었다.

    Jakarta EE 스펙에 따라 제품으로 구현한 것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WAS 라고 한다.

    Java ME

    Java ME(Micro Edition) 플랫폼은 휴대전화, 셋톱박스 등에서 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한마디로 임베디드용 이다.

    Java FX

    Java FX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과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A) 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Java SE 를 위한 표준 라이브러리로, 스윙 을 대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Java FX 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MacOS의 데스크톱 컴퓨터와 웹 브라우저를 지원한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