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척 합시다! 코로나가 만들어낸 시사ㆍ경제용어
2021년은 코로나로 인해 직장인의 78%가 재택근무를 경험하기도 하고 투자할 곳이 막히자 막대한 투자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몰려서 전 세계 집값이 9.2%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지난 2년간 코로나가 바꾼 우리 삶만큼, 그로 인해 만들어진 시사ㆍ경제용어들도 많이 있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같이 알아볼까요?
코로나 시대의 과잉소비 ‘스펜데믹’
코로나 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시사경제용어 첫 번째는 스팬데믹입니다.
스팬데믹은 ‘소비하다(spend)’와 ‘전염병 대유행(pandemic)’의 합성어로 코로나 시대의 과잉 소비를 의미해요.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일명 ‘집콕족’이 늘어나면서 경제용어 배달음식 주문, 인테리어 용품 등에 대한 소비가 크게 증가했어요.
통계청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음식 서비스가 44.3%, 식료품이 30.8%로 매출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전자제품은 13.7%, 인테리어 업체들은 20% 이상 매출이 증가했다고 해요.
특히 제한된 야외활동 등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보복 소비 심리로 주요 명품 브랜드 매출도 45% 증가했는데요. 코로나 시대에도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가짜 뉴스에도 방역이 필요해요 ‘인포데믹’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 대유행(pandemic)’의 합성어인 ‘인포데믹’은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빠르게 퍼지게 되는 현상을 뜻하는 경제용어 경제용어 경제용어 표현이에요.
코로나에 대한 가짜 뉴스와 허위정보는 아직도 전 세계 곳곳에서 확산되고 있는데요.
싱가포르에서는 백신이 DNA를 바꿀 것이라는 허위사실이 확산되었고 말레이시아에서는 코로나19 백신이 마이크로칩을 이식시켜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가짜 뉴스가 만들어지기도 했다고 해요.
이러한 인포데믹은 ‘믿고 싶은 것만 믿게 경제용어 만드는’ 자기 신념을 강화해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하고, 사회적 신뢰를 파괴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어요.
위기에 대응하는 비상계획 ‘서킷브레이커’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격하게 오르거나 떨어질 때 주식을 사고팔 수 없도록 모든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것을 ‘서킷 브레이커’라고 해요.
국내에서는 코로나 초기인 2020년 3월 13일에 증시 주가가 폭락하면서 코스닥, 코스피 시장에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면서 주목을 받았어요.
최근에는 단계적 일상 회복인 ‘위드 코로나’ 실시 이후 확진자가 급증할 경우의 비상 계획을 의미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되고 있는데요. 정부는 중환자실과 입원 병실 가동률이 75%를 넘어가면 방역수칙을 강화하는 ‘서킷 브레이커’를 발동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어려운 경제 용어를 쉽게 배워요
학교에 다니며 배운 경제용어, 지금 생각해 보면 참 어려웠던 기억만 남아 있다.
그래서인지 신문을 읽어도 경제면은 잘 읽히지 않는다.
그 만큼 경제 개념이 뒤떨어지는 것인데….
그래도 경제를 빼고서는 이 사회가 움직이지 않기에 어려워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와 함께 읽을 재미난 경제동화는 없을까 고민을 해 보았다.
초등 3학년이 되면서 경제용어 사회라는 과목도 별도로 배우기에 경제 용어를 쉽게 접해주면 좋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였다.
도서관에서 어떤 책이면 좋을지 몰라 서가를 헤매고 있을 때, 아이가 학교 경제용어 도서실에서 보았다며 이 책이 경제 동화 관련 책이 아니냐고 하며 물어왔다.
내용을 살짝 들여다 보니 눈이 크게 떠지며, 바로 이거야라며 속으로 탄성을 질렀다.
이 책은 경제 동화라는 특징을 아주 잘 살리고 있는 책이었다.
경제 용어를 설명함에도 짧고 쉬운 문장을 구사하고 있으며, 경제 용어는 굵은 글씨로 별도로 눈에 띄이게 해 놓아서 눈에 쏙 쏙 들어왔다.
정말 재미있고 쉽다는 생각에 읽는 내내 즐겁기만 했다.
그 어디에서도 어렵다라는 말은 떠오르지 않았다.
아이도 이 책을 읽으며 정말 재미있다고 했다.
몇 번을 반복해서 읽고 나름대로 낱말퍼즐을 만들어 독후활동까지 스스로 할 정도였다.
그러면서 1권보다는 2권이 더 재미있다는 말을 꼭 붙여 말했다.
1권은 아주 기본적인 경제 용어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 놓았다.
스토리가 있다는 점과 경제용어 유머러스한 그림은 이 책에 아이들이 재미를 느끼게 하는 요소라 생각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읽으므로써 경제 용어의 뜻을 제대로 알고 가게 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작가 본인이 자식들을 위해 작품을 썼다는 글을 읽으며, 그래서 더 아이들의 마음을 경제용어 잘 알고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제를 풀어내는 수단으로 사용한 레몬에도 주목해야 한다.
아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먹거리 중에서 레몬을 선택했다는 점이다.
레몬은 우리나라보다는 미국에서 친근한 먹거리이기에 더 그렇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똑같이 썼다면 제목은 경제용어 크게 변했을 것이다.
‘배추로 돈 버는 법’과 같은 것으로 말이다.
이런 부분에서도 알 수 있듯 작가는 다분히 미국적인 소재를 가지고 경제를 풀어놓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아이들도 레모네이드는 잘 모르더라도 그림과 이야기만 좇아 가더라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이 사랑받는 이유라 생각한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