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지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KODEX 코스피 (226490)

대한민국 주식시장(유가증권시장)에 포함된 전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 수익률을 추적하여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ETF입니다.

기준일 : 2022.07.18 15:30:0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

상품 정보열기

기초지수정보

코스피 지수는 한국거래소(KRX)가 발표하는 지수로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우선주를 제외한 전 종목으로 비중을 구성하여 산출한 지수입니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로서 대한민국 유가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이며 1980년 1월 4일을 100 포인트로 하여 산출되고 있습니다.

관련 자료

펀드 리포트

KODEX 리포트

수익률 / 기준가열기

투자종목정보(PDF)열기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주가 지수 주가 지수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금융상품판매업자는 위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주식형 펀드는 주식시장 급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채권형 펀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거나 편입한 채권이 부도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주가 지수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펀드(2배, 인버스, 인버스 2배)의 기간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주가 지수 지수)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버스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페이지에서는 당사가 운용하는 펀드상품에 대해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정보는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습니다.)

현재가

ETF가 주가 지수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가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킹에러

펀드와 비교지수 성과차이의 변동성으로 주가 지수 추척오차라고도 합니다. 비교지수를 얼마나 잘 추종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할 경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주가 지수

블룸버그는 벤치마킹, 자산배분 및 상품 작성을 위한 주식 벤치마크의 완전한 세트 및 맞춤형 지수 기능을 제공합니다. 블룸버그는 이와 같은 종합적인 지수 솔루션을 정교한 데이터 및 리서치 기능과 결합하여 혁신적인 금융상품 구성에 주가 지수 대한 잠재력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블룸버그 주식 지수는 미국 및 선진국 시장을 대상으로 다양한 국가, 지역, 주가 지수 기업 규모, 수익 및 통화를 아우르는 지수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각자의 니즈에 부합하도록 블룸버그 주식 지수 상품군을 포괄적인 벤치마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블룸버그는 49개 국가 유동주 시가총액의 99% 이상을 포함하는 벤치마크를 제공합니다.

가치 및 성장
블룸버그는 미국 시장에 대해 전통적인 가치 및 성장 지향 지수를 제공합니다.

팩터
팩터 지수 전략은 체계적으로 시장 리스크 프리미엄을 포착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블룸버그 US 대형주 배당 수익률 지수(B500D)는 리츠를 제외하고 B500에서 조회한 상위 100대 수익률 종목의 실적을 나타냅니다. 기업들은 연간 정기 현금 배당에 비례하여 가중됩니다.

How we help our clients 블룸버그 주식 지수 관련 공시 및 문서

ESG
블룸버그는 지속가능한 금융 솔루션의 생태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 ESG 등급, 프레임워크 및 데이터 제공업체와 제휴하여 지수 대안을 만듭니다.

리스크 프리미엄
투자자 및 상품 발행자는 블룸버그의 주요 리스크 모델을 활용하여 대체 수익원을 측정, 분리 및 접근할 수 있습니다.

테마
블룸버그 지수는 다양한 테마에 고도로 차별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품 발행자가 세계적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전기자동차 및 5G 등-에 기반하여 투명한 노출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복합자산 솔루션
블룸버그의 주식 벤치마크는 자산 배분 상품 작성을 위해 주요 채권 및 상품 지수와 손쉽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맞춤
블룸버그는 맞춤형 데이터 세트를 포함한 목표 주식 노출(예: 팩터, 스타일)에 대한 벤치마크 설계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접근
지수 수준 및 구성 데이터는 제3자 플랫폼 및 블룸버그 터미널(Bloomberg Terminal®)에서 제공됩니다. 터미널 사용자는 이러한 데이터를 IN EQ 에서, 그리고 지수 발표물은 INP 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주가 지수

CAC40(FRA40) 유로넥스트/ 파리의 상장상품 중에서도 거래총액이 높은 것이나 시가총액이 큰 대표적업종에 속하는 40개의 상품으로 구성된 조절시가총액가중평균지수를 CAC40(FRA40)지수라고 합니다.

DAX(GER30) DAX지수(닥스지수)는 일본어로는「독일주가지수」라고 불리며 독일증권거래소가 운영하는 프랑크프루트증권거래소의 상장상품 중, 독일기업의 우량30상품을 대상으로한 부동산조절시가총액가중형의 주식지수를 말합니다.

FTSE 100 (UK100) FTSE 100 (UK100)란 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의 약자로 런던증권거래소의 상장하는 제일 시가총액이 높은 상위 100상품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입니다. 1984년에 시작된 이 지수는 런선 증권거래소가 소유하는 영국의 주가지수 및 관련되는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FTSE 그룹에 의해 관리, 산출되고 있습니다.

NASDAQ (US100)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주식거래소(뉴욕 증권거래소에 이어)의 NASDAQ증권거래소의 NASDAQ총합지수로서, 그 산하에 있는NASDAQ 100 (US100)이란 나스닥증권거래소에 상장하고 있는 제일 우량한 107개의 비금융회사에의해 발행하고 있는 107개의 주식으로 구성되어있는 주식지수입니다.

US30 (DJ30) US30(DJ30는 미국에 있는 세계의 주목도가 높은 주식지수입니다. 도우 죤즈가 미국의 대포적인 상품을 골라 그 평균주가를 지수로 하는 평균형의 주식지수입니다. 일본에서는 뉴요커평균주가나 도우 죤즈 공업평균주가라는 상품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US500 (S&P500) US500(S&P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주식지수입니다. S&P500라고도 불리며 미국의 스텐더드& 푸어즈사가 선출하고 있는 것으로 이니셜을 따 S&P라고 불립니다. 미국의 대표하는 주식지수 중 하나입니다.

ASX200 (AUS200) 오스트레일리아에 상장하는 기업 중, 시가총액상위200위로 구성하고있는 상품입니다. 산출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시가총액가중평균형주식지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지수는 도우 죤즈 인덱스가 내고있습니다.

Euro50 (EUSTX50) Euro50은 유로권내의 오스트리아, 벨기에, 핀란드, 네덜렌드, 포르투갈, 스페인,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의 11개의 주식시장에서 선택한 50개의 우량상품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Hang Seng50 (HK50) 한셍 지수 서비스가 산출하고있는 홍콩의 주식지수 중 하나입니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증권거래소에서 판매하고있는 상품중 시가총액이 높은 50기업을 선택한 구성입니다. 홍콩주식시장에 있어 중요한 지표중 하나입니다만 홍콩주식시장의시가총액의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earticle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ock index and the exchange rate using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stock index by VAR.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KOSPI index did not affect the exchange rate during the analysis period, but the KOSDAQ index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won dollar exchange rate after Corona 19. Meanwhile,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as found to affect the KOSPI index for all periods, but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as found to proactively affect the KOSDAQ index only before Corona 19. Second, It was found that before Corona 19,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ffected the KOSPI and KOSDAQ indexes up to a certain time difference and then disappeared. Third,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KOSPI index and the KOSDAQ index were influenced by a certain percentag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aking these findings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exchange rate has a very large influence on the stock price flow. In 주가 지수 particular, the KOSDAQ index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in the period after Corona 19, so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vement of the KOSDAQ market, which is mostly small and medium-sized stocks,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exchange rate. Such research results suggest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not only investors who invest in stocks 주가 지수 in the KOSDAQ market, but also professional managers who manage listed companies to examine the exchange rate movements during the structuring period, when changes in economic indicators are sensitive to changes.

본 주가 지수 논문은 코로나19전후에 있어서 주가지수와 환율과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국은 행에서 공시한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 3년 4개월 동안 일별 DATA인 820개 표본에 대한 원달러환율과 한국거래소(KRX)에서 공시한 주가지수(KOSPI, KOSDAQ)를 이용하여 VAR모형에 의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충격반응함수분석과 분산 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그랜저 인과관계에 의한 실증분석결과 주가 지수 KOSPI지수는 분석 기간 동안 환율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KOSDAQ지수는 코로나 19 이후에는 원달러환율에 주가 지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달러환율은 모든 기간 동안 KOSPI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원달러환율은 코로나19 이전에만 KOSDAQ지수에 선행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격반응함수에 의한 실증분석결과 코로나19전후 모든 기간에 걸쳐 원달러환율이 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산분해에 의한 실증분석결과 분석기간 동안 KOSPI지수와 KOSDAQ지수는 원달러환율에 일정비율만큼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외국인투자자들의 투자행태와 투자규모에 따라 변동성이 나타나 는 원달러환율의 움직임이 국내 주가지수의 움직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 게 하였다. 특히, KOSDAQ지수가 코로나19 이후에 원달러환율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소형주식이 대다수인 KOSDAQ시장의 움직임이 환율의 움직 임에 많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KOSDAQ 시장에서 주식매매를 하고 있는 투자자뿐만 아니라, 상장기업을 운용하고 있는 전문경영 인에게 경제지표가 민감하게 움직이는 구조화기간 중에 환율의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
Ⅰ.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선행연구
Ⅱ. 예비분석
2.1 표본의 기초통계량 분석
2.2 단위근 검정
2.3 가설의 설정과 분석 모형
Ⅲ. 실증분석 결과
3.1 Granger Causality 분석결과
3.2 Impulse Response Function 분석 결과
3.3 Variance Decomposition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주가 지수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주가 지수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윤정원 기자
    • 승인 2022.05.24 20:04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주가 지수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정원 기자 = 24일 유럽증시는 미국 주가지수선물 약세에 따른 위험회피심리에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한국시간으로 오후 6시 1분 유로스톡스50 지수는 1.38% 내린 3,657.17을 나타냈다.

      독일 주가 지수 DAX30 지수도 1.05% 하락한 14,027.02를 나타냈다.

      영국 FTSE100 지수는 0.66% 내린 7,463.93을, 프랑스 CAC40 지수는 6,269.33으로 1.41% 하락한 수치를 보여줬다.

      이탈리아 FTSE MIB 지수는 23,874.84로 1.08% 내렸다.

      간밤 미국 주가가 상승 마감했으나 장 마감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 스냅 주가가 폭락하면서 미국 주가지수 선물이 약세를 보였다.

      이날 미국 주가지수 선물이 약세를 보이면서 일본, 중국,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일제히 내리막을 걸었으며 이러한 위험 회피 심리는 유럽증시까지 이어졌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