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활동계좌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모바일로 주식거래를 하고 있는 이미지 모습.

사진은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주식투자 열풍에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가 사상 최초로 5000만 개를 돌파했다. 4000만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개를 넘어선 지 불과 5개월 만이다. 주식거래 활동계좌는 예탁자산이 10만 원 이상이면서 최근 6개월간 한 차례 이상 거래가 이뤄진 위탁매매계좌 및 증권저축계좌를 말한다.

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5일 현재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5002만 6237개로, 처음으로 5000만 개를 넘어섰다.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2007년 7월 1000만 개를 돌파한 데 이어 2012년 5월 2000만 개를 넘어섰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증시가 하락하던 작년 3월에 3000만 개를 기록했고, 지난 3월 19일에 4000만 계좌를 돌파했다. 그리고 5개월만에 다시 1000만 개의 계좌가 더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계좌 수가 급증한 것은 무엇보다 증시가 활황을 이어가면서 신규 투자자가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스피는 지난달 주식거래활동계좌수 사상 최초로 3300선을 돌파했고, 코스닥 지수는 지난 4월 20년 7개월 만에 1000선을 넘어섰다. 연이은 공모주 흥행에 청약 수요가 급증한 것도 한몫했다. 특히 올해 도입된 균등 배정과 상반기에 한해 허용된 중복청약 방식으로 인해 주식거래활동계좌수 많은 투자자들이 앞다퉈 여러 증권사에 계좌를 새로 열었다.

활동계좌 수만 놓고 보면 국민 1인당 1개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꼴이지만, 한 사람이 여러 계좌를 개설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 주식계좌를 가진 투자자는 그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중복계좌를 제외한 개인 투자자 수는 지난해말 기준 910만 7228명이다. 2019년보다 299명 늘었다. 올해 초 주식투자 열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점을 미뤄볼 때 현재 국내 주식투자 인구는 1000만 명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김재형 기자

  • 기사등록 2020-01-20 10:35:44

모바일로 주식거래를 하고 있는 이미지 모습.

[더밸류뉴스=김재형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기자] 국내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가 곧 3000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2944만9700개로 집계됐다.

주식거래 활동계좌는 예탁자산이 10만원 이상이고 6개월간 한 차례 이상 거래한 적이 있는 증권계좌로, 휴면 상태가 아니라 '살아있는' 거래계좌라고 할 수 있다.

활동계좌는 지난해 특히 많이 늘었다. 연말 기준 계좌 수가 2935만6620개로 1년 전보다 233만5547개가 증가했다. 이는 연간 증가 폭으로 보면 2009년의 385만9758개 이후 10년 만에 최대다 .

주식거래 활동계좌가 늘어난 데는 지난해 미국 등 해외증시 활황의 영향이 컸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투자자의 미국주식 거래대금(매수·매도 합계)은 약 309억달러(약35조8000억원)로, 전년보다 37.4% 증가했다 .

해외주식 거래 수요를 겨냥한 증권사들의 판촉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의 국내주식 투자자들이 해외주식 거래용으로 다른 증권사의 계좌를 새로 개설한 경우가 많았다 . 젊은층 가운데 해외주식에 먼저 관심을 두기 시작해 주식투자에 처음 입문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

모바일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통로로 증권 계좌를 만들 수 있게 된 것도 계좌 수 증가로 이어졌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지난해 3월부터 카카오뱅크에서 증권 계좌 개설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까지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116만 계좌를 개설했다. ‘카뱅’을 통해 증권 계좌를 튼 고객의 약 80%는 20∼30대인 것으로 분석됐다. 주로 40∼50대이던 주식투자자 연령대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점차 낮은 연령층으로 넓어지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 인가를 받은 토스뱅크도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으로 증권 거래를 포함한 통합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어서 기존 토스 가입자들의 주식시장 유입이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올해 미중 무역 갈등 완화로 증시 투자 심리가 살아나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영향으로 주식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

업계의 한 관계자는 " 증권사들의 수수료 무료 이벤트 등 경쟁으로 기존 투자자들의 계좌 수가 늘어난 측면이 있지만 , 실제 거래를 하는 활동계좌 수가 늘었다는 것은 자본시장 활성화에 큰 의미가 있다 "며 " 핀테크 발달로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젊은 층이 주식시장에 많이 진입하게 되면 국내 증시에 한층 활기가 돌 것 " 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증시 주변 자금도 최근 늘어나고 있어 작년 연말 이후 증시가 호조를 보이면서 한때 증시를 떠났던 투자 자금이 되돌아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주식거래

주식거래 '엄지족' (PG) [제작 조혜인, 최자윤] 일러스트, 합성사진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2944만9700개로 집계됐다.

주식거래 활동계좌는 예탁자산이 10만원 이상이고 6개월간 한 차례 이상 거래한 적이 있는 증권계좌로, 휴면 상태가 아니라 '살아있는' 거래계좌라고 할 수 있다.

활동계좌는 지난해 특히 많이 늘었다. 연말 기준 계좌 수가 2935만6620개로 1년 전보다 233만5547개가 증가했다. 이는 연간 증가 폭으로 보면 2009년의 385만9758개 이후 10년 만에 최대다.

2009년 말께만 해도 1630만개 수준이던 주식거래 활동계좌는 2010년대 초반에는 별로 늘지 않다가 2015년 2000만개를 넘었고 이후 확연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2018년에는 코스피가 1월부터 사상 최고치인 2,600선(장중)을 넘으면서 계좌가 연간 223만개나 늘었다.

작년에는 미중 무역분쟁 격화로 코스피가 1,900선 밑으로 떨어진 적도 있고 대체로 박스권에서 지지부진하게 움직이면서 국내 증시에 대한 기대감이 큰 편은 아니었다.

그러나 미국 등 해외증시 활황에 따라 해외주식 거래가 주식거래활동계좌수 늘었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작년 국내 투자자의 미국주식 거래대금(매수·매도 합계)은 약 309억 달러(약 35조8000억원)로, 전년보다 37.4% 증가했다.

이런 해외주식 거래 수요를 겨냥한 증권사들의 판촉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의 국내주식 투자자들이 해외주식 거래용으로 다른 증권사의 계좌를 새로 개설한 경우가 많았다. 또 젊은 층 가운데는 해외주식에 먼저 관심을 두기 시작해 주식투자에 처음 입문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모바일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통로로 증권 계좌를 만들 수 있게 된 것도 계좌 수 증가에 영향을 줬다. 증권사들은 최근 몇 년간 은행의 모바일 뱅킹 등과 연계한 계좌 개설 채널을 대폭 늘렸다.

한국투자증권의 주식거래활동계좌수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경우 작년 3월부터 카카오뱅크에서 증권 계좌 개설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까지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116만 계좌를 주식거래활동계좌수 개설했다. 이렇게 카뱅을 통해 증권 계좌를 튼 고객의 약 80%는 20∼30대인 것으로 분석됐다.

주로 40∼50대이던 주식투자자 연령대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점차 낮은 연령층으로 넓어지는 추세다.

한투증권은 카뱅을 통해 소액으로도 해외주식을 소수점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올 상반기 중 출시할 계획으로, 이 서비스가 시작되면 20∼30대 고객의 모바일 주식거래가 더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작년 12월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 인가를 받은 토스뱅크도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으로 증권 거래를 포함한 통합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어서 기존 토스 가입자들의 주식시장 유입이 기대된다.

한편 금투협에 따르면 증시 주변 자금 사정을 보여주는 투자자예탁금은 작년 4분기에 2조8816억원, 11.78%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지난 17일 현재까지 연초보다 2076억원 늘었다.

통상 이 예탁금이 증가하면 증시로 시중 자금이 몰려들고, 감소하면 증시에서 자금이 이탈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또 개인투자자들이 빚을 내 주식을 매수한 금액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올해 들어 5607억원, 6.09% 증가해 증시를 찾는 개미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올해 미중 무역 갈등 완화로 증시 투자 심리가 살아나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여파로 주식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증권사들의 수수료 무료 이벤트 등 경쟁으로 기존 투자자들의 계좌 수가 늘어난 측면이 있지만, 실제 거래를 하는 활동계좌 수가 늘었다는 것은 자본시장 활성화에 큰 의미가 있다"며 "핀테크 발달로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젊은 층이 주식시장에 많이 진입하게 되면 국내 증시에 한층 활기가 돌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거래계좌 3000만개 돌파…경제활동인구보다 많아

주식 거래 계좌수 증가 (사진 출처=연합뉴스)

주식 거래 계좌수 증가 (사진 출처=연합뉴스)

[글로벌경제신문 이슬비기자] 주식거래 활동계좌가 3000만개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동인구를 웃도는 것이다.

11일 금융투자협회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3천1만8천232개에 달해 사상 처음으로 3000만개 선을 돌파했다.

주식거래 활동계좌는 예탁자산이 10만원 이상이고 6개월간 한 차례 이상 거래한 적이 있는 증권계좌로 주로 개인 투자자가 증권사에 개설하는 위탁매매 계좌가 대부분이다.

이 계좌는 10년 전인 2009년 말 1600만개 이후 2017년까지 매년 100만개 이상 늘었다.

2018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200만개 이상 늘어 증가 폭이 더욱 커졌다.

이는 코스피가 2018년 1월 장중 2,600선을 터치하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면서 주식시장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대폭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증권사들은 개인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주식 매매 위탁수수료를 받지 않는 무료 이벤트를 벌이며 유치 경쟁에 나섰다.

또 해외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식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 거래용으로 다른 계좌를 개설하는 일이 증가한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그동안 기업공개(IPO)가 잇따르며 공모주 열기가 뜨거웠던 것도 또 다른 요인이다.

올해 들어서도 코로나19 사태로 주가가 급락하고 있지만 주식거래 활동계좌수 증가 폭은 더욱 확대됐다.

이 계좌는 지난해 12월만 해도 9만3000개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1월 20만8000개 증가한 데 이어 2월엔 34만3000개 증가했다.

주식거래활동계좌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고 그동안 주식을 하지 않거나 쉬었던 개인 투자자들이 대거 증시에 진입하고 있다.

2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으로 현재 주식을 하고 있는 계좌를 뜻하는 '주식거래 활동 계좌수'는 3053만4668개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초 2935만6620계좌보다 117만8048개 증가한 수치다. 증가율은 4.01%를 기록했다.

주식거래 활동 계좌수는 코로나19가 국내에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달 17일부터 급증하더니 3월들어 국내 증시가 폭락세를 보이자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7일에는 2968만1321계좌로 연초대비 32만4701계좌(+1.1%)가 증가했으며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이달 6일에는 3001만8232계좌수를 기록하며 3000만 계좌를 돌파했다.

주식거래 활동 계좌는 3월 한달 동안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3월 2일 주식거래 활동 계좌수는 2993만6168개에서 24일3053만4668개로 59만8500 계좌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즉 기존에 주식거래를 하던 이들을 제외하고 새롭게 주식 투자에 나선 이들이 연초대비 117만명 정도 증가했는데 증시가 폭락 장세를 연일 연출한 3월에 60만명 수준의 개인투자자들이 주식거래를 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증권사별 계좌개설 건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에셋대우는 3월 한달동안 12만7000여개의 계좌 개설 건수를 기록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한달동안 20만개의 계좌가 개설된 것으로 확인됐다. NH투자증권은 22만5000개의 계좌가 개설됐고 삼성증권도 최근 한달간 10만건이 넘는 비대면 계좌가 개설된 것으로 파악된다.

매출에서 브로커리지 비율이 높은 키움증권의 경우 정확한 계좌 개설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1월에 개설된 14만개보다 두세배 높은 계좌가 개설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7일부터 증권 계좌 업그레이드 정식 서비스를 실시한 카카오페이증권은 지난 25일 증권계좌 개설수가 50만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증권가에서는 개인들이 선호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량주의 주가가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한 점이 새로운 개인 투자자들을 주식시장으로 끌어들이는 유인책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지나간 이후 2분기부터 반도체 업황 반등에 힘입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치고 올라갈 수 있다는 전망이 다수 나오고 있어 주식에 관심이 없던 이들도 새롭게 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 정부가 10조7000억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를 편성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국내 증시가 하락장세를 주식거래활동계좌수 멈추고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신규 투자자들을 늘리고 있는 요소로 볼 여지가 많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레버리지 펀드가 포함된 인덱스기타 유형은 최근 한달동안 5조1236억원 규모로 설정액이 증가했다. 이는 재정정책 이후 국내 증시 반등을 노리고 투자에 나선 이들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과거 경험상 국내 증시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이후 하락의 원인이 됐던 요인이 사라지면 전고점까지 반등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 때문에 레버리지 상품에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신규 고객의 3월 주식거래 내용을 살펴보면 신규 비대면 고객의 61%가 삼성전자를 한번이라도 매매하신 경험이 있었다"며 "이는 같은기간 지점으로 유입된 신규고객 중 삼성전자 매매 경험 비중인 68%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