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계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6

유튜브 수익 계산기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유튜브 수익 계산기입니다. 유튜브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동영상을 만들고 이것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튜브 활동을 하다보면 내가 만든 채널에서 얼마나 수익을 낼 수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에서 유튜브 수익 계산기 사용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유튜브 수익기준

유튜브는 자신이 올린 동영상에 광고가 나오면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티스토리와 같은 블로그에 애드센스를 달아서 수익을 내는 것과 같습니다. 블로그는 애드센스 고시를 통과해야 하는 것처럼 유튜브도 수익을 내기 위해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구독자 1천명 이상과 1년 동안 동영상 시청시간이 4천시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유튜브 수익기준 : 구독자 1천명 이상+동영상 시청시간 4천시간 이상(1년 기준)

이렇게 기준을 만족시키면 유튜브 동영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유튜브 영상 시작 전이나 중간에 광고가 나오는데 이것을 구글 애드센스 광고라고 합니다. 블로그에 광고가 나오는 것처럼 유튜브 영상을 볼 때 광고가 나오는 것입니다. 만약 다른 사람이 이 광고를 클릭하게 되면 구글로부터 돈을 받게 됩니다. 이뿐만 아니라 협찬 또는 개인광고로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에서 특정 제품을 홍보해주고 돈을 받아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유튜브 수익 계산기를 인터넷에서 쉽게 사용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을 잘 봐주세요.

유튜브 수익 계산기 사용하기

1. 녹스인플루언서 검색하기

이번 포스팅에서 사용할 유튜브 수익 계산기는 '녹스인플루언서'입니다. 녹스인플루언서는 한글 지원을 잘해줘서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뿐만 아니라 유튜브 순위 / 유튜버 비교하기 등 수익계산 유튜브와 관련된 다양한 분석자료를 제공해줍니다. 무엇보다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해서 손쉽게 유튜브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서 '녹스인플루언서'를 검색하고 아래의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2. 녹스인플루언서 살펴보기

사이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유튜브 수익 계산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뿐만 아니라 유튜버 비교하기 / 인기 유튜버 순위 / YouTube 동영상 랭킹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면 아래를 보면 라는 메뉴도 있습니다. 유튜브 / 인스타그램 / 틱톡 / 트위치 등에서 인기있는 인플루언서를 보여줍니다. 각 플랫폼마다의 순위와 구독자 / 평균 조회수 / 팔로워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수익 계산기를 사용하기 전에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채널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유튜브 인기 인플루언서 1위는 바로 'Big Hit Labels'입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해당 유튜브의 통계를 분석해줍니다. 2020년 6월 12일 현재 구독자는 3690만이고, 조회수는 95억, 평균 조회수는 2028만입니다. 엄청나지 않나요? 세계에서 32위의 유튜브입니다.

그리고 유튜브 월수익을 예측해줍니다. 월수익 9억에서 16억 사이라고 예측됩니다.

'Big Hit Labels'는 세계적인 가수 'BTS'의 소속사 빅히트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녹스인플루언서는 유튜브 관련된 통계를 깔끔한 UI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유튜브 수익 계산기로 정말 좋은 사이트입니다.

유튜브를 보다보면 조회수와 구독자 수가 많은 유튜브가 있습니다. 이때 과연 이 유튜브는 돈을 얼마나 버는지 궁금합니다. 인기 인플루언서가 아닌, 내가 원하는 유튜브의 수익 계산를 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3. 원하는 유튜브 수익 계산하는 방법

녹스인플루언서에서 을 클릭하면 내가 원하는 유튜브 수익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에 유튜브 채널의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유튜브 수익 계산이 끝납니다. 참 쉽죠?

유튜브 수익 계산기에서 두 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하나는 '유튜브 수익 예측[월수익]', '제휴 수익 예측'이 있습니다. 여기서 CPM은 'Cost Per Mille'로 1000개 노출당 비용을 말합니다. 즉 광고를 1000번 보여줬을 때의 수익을 말합니다. 'Big Hit Labels' 유튜브가 광고를 1000번 보여줬을 때 1,985~3,425의 수익이 나오는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 CPM은 유튜버 거주 지역 및 유사 유튜버 기반으로 빅데이터 알고리즘에 의해서 추정된 가격으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은 브랜드사 광고 또는 제휴사 광고를 진행을 하고 받는 예측 수익입니다.

아래로 조금 더 내려가보면 가 나옵니다. 일일 조회수, CPM이 바뀔 때 수익이 어떻게 변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CPM은 달러를 기준으로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유튜브 이름을 검색하고 클릭하면 채널의 URL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복사해서 녹스인플루언서에 붙여넣기하면 유튜브 수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일 1깡으로 유명한 했던 가수 '비'가 유재석과 이효리와 함께 댄스팀을 만드는 모습을 촬영한 '놀면 뭐하니?' 유튜브의 수익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채널을 클릭하면 위에 URL 주소가 나옵니다. 이것을 드래그 해서 복사합니다.

복사한 URL을 녹스인플루언서에 붙여넣기하고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유튜브 수익을 계산해줍니다. 한 달에 약 8천 9백만원의 수익을 받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롤' 게임 방송으로 유명한 '테스터훈'의 수익도 분석해보겠습니다. 한 달에 약 5천만원의 수익을 받는 것으로 결과가 나옵니다.

이런 방법으로 자신이 확인하고 싶은 유튜브의 수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튜브 수익계산 수익 계산기 사용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요즘 초등학생의 장래희망직업 1위가 유튜버일 정도로 유튜브의 시장은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유튜브로 한 번 돈을 벌고 싶다하시는 분은 녹스인플루언서에서 다양한 유튜브를 분석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미국주식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고 미국주식 배당주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일년내내 배당금을 받으려고 합니다. 지금은 금액이 워낙 적어서 미미하지만 천천히 조금씩 분할 매수하면서 미국주식 월배당 금액을 차츰 늘려가려고 수익계산 합니다.

현재 미국 주식 배당주 구매는?

한국투자신탁의 미니스탁과 키움증권의 글로벌 영웅문 S어플을 통해서 미국주식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미국주식 배당주 구매의 장점

- 앎의 즐거움(주식을 하나하나 공부하고 알아가는 재미가 커요)

-소액투자하면서 적금보다 높은 이자+ 주가상승 기대 가능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들의 배당 포트폴리오

현재 제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들 등 배당 목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은 13종목입니다. 종목만 많고 금액은 적고요.

1. 분기 첫달 배당하는 수익계산 미국배당주 목록

매 분기의 첫 달인 1, 4, 7, 10월에 배당하는 주식에 대해 정리해보면

미국배당주 종목 최근분기 배당금 연간배당금(2020) 배당률(2020 기준) 현재보유주
킴벌리클라크 1.07 4.28 3.2% 0.3289
컴캐스트 0.23 0.9 1.83% 0.2696
머크 0.61 2.48 3.24% 0.8679

컴캐스트의 경우 연간배당률이 들쑥날쑥하더라고요. 킴벌리클라크와 머크의 경우 10년 이상 매년 배당금이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킴벌리클라크는 유한양행과 합작한 유한 킴벌리를 생각하시면 되고요. 머크는 MSD로 알려진 다국적 제약회사입니다. 캠커스트는 NBC 유니버셜을 소유한 세계 2위 방송 및 케이블 TV 회사입니다.

2. 분기 두번째 달 배당하는 미국배당주 목록

매 분기 두번째 달인 2, 5, 8, 11월에 배당하는 미국배당주를 살펴보면

미국배당주 목록 최근 분기 배당금 연간배당금(2020) 배당률(2020기준) 현재보유주
P&G 0.7907 3.118 2.3% 0.1461
스타벅스 0.45 1.68 1.76% 0.7435
AT&T 0.52 2.08 7.25% 6.5979
버라이존 0.6275 2.4725 4.27% 0.2287
애플 0.205 0.8075 0.62% 0.0681

1주 이상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AT&T입니다. 미니스탁을 통해 2.59주, 키움증권을 통해 4주 보유하고 있습니다.

버라이존도 미국 통신회사로 배당률이 높은 기업 중 하나이고요. 애플은 전기차 개발 소식에 최근 만원 구매했는데요.(테슬라 주가 상승을 보고 난 학습 효과) 애플도 꾸준히 구매예정입니다.

3. 분기 세번째 달 배당하는 미국배당주 목록

매 분기 마지막 달인 3, 6, 9, 12월에 배당하는 미국배당주 목록입니다.

미국배당주 목록 최근 분기 배당금 연간배당금(2020) 배당률(2020기준) 현재보유주
코카콜라 0.41 1.64 3.07% 2.1838
존슨앤드존슨 1.01 3.98 2.65% 0.1475
화이자 0.38 1.52 4.19% 1.2967

코카콜라의 정확한 배당은 4, 7, 10, 12이더라고요. 4, 7, 10월은 매달 초에 배당금이 입금되어 편의상 3, 6, 9, 12월 배당으로 기록합니다.

4. 매달 배당하는 미국 배당주

매달 배당하는 배당주도 1주 보유하고 있는데요. 그 주식은 리얼티 인컴으로 부동산 임대 사업을 하는 회사입니다. 매달 배당금액은 0.2345달러로 연간 2.801 달러의 배당을 받을 수 있고 배당수익률은 4.61%입니다.

5. 2021년 연간 기대 배당금

2020년의 배당금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바탕으로 매달 배당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해 봤습니다.

1, 4, 7, 10월은 매달 1.19달러

2, 5, 8, 11월은 매달 4.25달러

3, 6, 9, 12월은 매달 1.77달러

의 배당 수익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세전 금액이고요. 연간 배당으로는 28.84 달러 정도 됩니다. 세금 15%를 제하면 24.5달러정도 되고요. 제가 저 주식들을 구매한 총 금액이 100만원이 안되고 대략 70만원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투자 수익률로 따지면 주식 상승을 빼고도 4.5~5% 정도의 수익률은 되니 참 괜찮은 투자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조금씩 금액을 늘릴 예정이고요.

요즘 적립식 펀드 하면 떠오르는 것이, ETF 입니다. 저는 오래전에 삼성전자를 비롯해서 몇몇 한국 대표 주식들을 매매해보기도 했지만 몇년동안은 수익계산 주식하고 완전히 멀어져 있었습니다.

그러다, 실물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부동산이 고공행진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물론 예전과 주식시장의 상황이 굉장히 유연해진 듯 합니다. 실상 길에서 만나는 동네 주부들도 주식을 하지 않는 이가 없을 정도 이니까요.

이번해부터 본격적으로 다시 주식 공부를 하면서, 그때 ETF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흔히 적립식 펀드보다 수수료율이 높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이라는 기사들이 많죠. 물론 ETF마다 수익률도 천차만별이죠. 특히, 근래에는 'TIGER 차이나항셍테크에 물린 분들이 많아요. 파도파도 바닥이 아니라고, 곡소리가 들리기도 합니다.

제가 살짝 구입해봤던 ETF에는 수익계산 배당성향이 강한 "WisdomTree U.S Quality Dividend Growth fond"와 "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Invesco QQQ Trust'가 있습니다.

위 ETF의 적립식 수익률을 계산해보도록 합니다.

"WisdomTree U.S Quality Dividend Growth fond" 입니다.

매월 적립식으로 100만원씩 ETF를 구입한다면,

2018년 8월부터 현재 2021년 8월로 총 투자기간은 36개월로 설정한다고 했을때

적립식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요?

투자한 원금은 3600만원이며, 총수익금은 자본이득금과 배당수익으로 합쳐지는데, 자본이득은 1162만원이며, 배당 수익은 168만원이됩니다. 그래서 총 금액은 4930만원이 되는 겁니다.

역시, "WisdomTree U.S Quality Dividend Growth fond"는 미국 EFT 중 배당수익이 좀 높다는 생각이 드네요.

'Invesco QQQ Trust' ETF 에 대한 적립식 펀드로의 수익률을 계산해봅니다.

'Invesco 수익계산 QQQ Trust' ETF는 현재 1주당 가격이 374,7000달러입니다. 한국 WON으로 환산하면 환율 1,168원일 경우 437,649원이 됩니다. 좀 부담스러운 가격이죠. 100만원으로 2주밖에 살 수 없는 가격이에요.

매월 적립식으로 100만원씩 ETF를 구입한다면,

2018년 8월부터 현재 2021년 8월로 총 투자기간은 36개월로 설정한다고 했을때

투자한 원금은 3600만원이며 총수익을 먼저 살펴보면 2517만원입니다. 자본이득은 2452만원이고 배당 수익은 65만원입니다.

위 EFT에 비해서 배당수익이 좀 적습니다. 성향이 다른 선택의 ETF인 것이죠.

어쨌든 전체 EFT 적립식의 수익률은 'Invesco QQQ Trust' ETF가 더 높습니다.

결론은 좀 명확해지네요. 한달에 100만원씩 적립식으로 적립했을때, 이렇게 차이가 난다면 시간이 흐를수록 더 많이 차이가 날 테니, 저는 'Invesco QQQ Trust' ETF를 선택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미래에셋의 TIGER 나스닥100인데, 이 ETF의 경우에도 수익률이 좋더라구요. 저도 몇 주는 가지고 있습니다.

"EFT 적립식 수익률 계산 방법"입니다.
저도 우연히 다른 분의 블로그를 통해서 이 사이트를 알게 수익계산 되었는데, 만약 적립식 ETF 계산을 해보지 않았었다면 기회비용을 날릴 뻔 하였네요.~

수익률계산.

이것이 저는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정리를 한 번 해보았습니다.

왜 중요하냐 하면.. 1%의 수익률 차이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투자하면서 무수히 많은 돈을 넣었다 뺐다 합니다.

따라서 수익률계산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즉 오차가 3% 혹은 5% 이렇게 되면..

예를 들어 심리적 수익률은 10% 인데.. 실제로 정확히 계산해보면. 5% 밖에 안되더라..

이러면 은행금리보다 1%를 더 벌기위해서 정말 막대한 에너지를 할애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따라서 실제로 1% 단위로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의 수익률을요..

따라서 정리를 조금 해보았습니다.

기간내 총투자금액 = 기간초 순자산 + (기간내 입금액 - 기간내 출금액)

수익 = (기간말 순자산 - 기간초 순자산) - (기간내 입금액 - 기간내 출금액)

수익률 = (수익 / 총투자금액) * 100

2003년 3월1일자 총 증권계좌의 자산이 1000만원이라고 하겠습니다.

이 1000만원은 (800만원 주식 + 200만원 현금) 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봅시다.

2003년 8월 31일 까지 총 6개월간 입금을 수익계산 400만원을 했고..

그 6개월간 또 출금을 200만원 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기간내 총 투자금액이..

순자산 1000 + (입금 400 - 출금 200) = 1200 만원이 됩니다.

6개월간 자신이 투자한 모든 금액은 1200만원이 됩니다.

8/31일자로 계좌에 남아있는 자산이 1500만원이 되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1500만원은 (1000만원의 주식 + 500만원의 현금) 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봅시다.

어떻게 구성되었든지 총 자산이 1500만원이라고 보면..

실제로는 얼마를 그동안 벌었을까요..

수익 수익계산 = 기말자산 1500 - 기초자산 1000 = 500만원..

실제로 계좌는 500만원이 늘었더라도 그동안 주가가 올라서 는것이 있고.. 그중에는

현금을 더 넣어서 는 것이 있습니다.

현금을 얼마나 더 넣었습니까?

예 6개월동안 결국 (400-200) = 200만원을 더 넣었습니다.

따라서 수익 500만원에서 -200만원 을하면 300만원이 주식때문에 오른 것입니다.

따라서 정리하면 수익 = (기말자산 1500 - 기초자산 1000) - (입금 400 - 출금 200) = 300

따라서 수익률은 (300/1200) x 100 = 25% 가 됩니다.

혹은 이렇게 계산해도 됩니다.

기말자산 / 총투자금액 = 1500/1200 = 1.25

이 시각 강세업종/테마

기업수

6

평균 등락률

상승

▲6

하락

▼0

보합

0

기업수

19

평균 등락률

상승

▲12

하락

▼5

보합

2

기업수

19

평균 등락률

상승

▲13

하락

▼6

보합

0

기업수

2

평균 등락률

상승

▲2

하락

▼0

보합

0

펀드 수익률 계산기로 한눈에 수익계산 확인해보세요

국내에서 펀드를 운용하는 증권사만 하더라도 수십개가 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리고 펀드를 가입하신 분들은 한 군데에서만 투자를 하지 않고 분산 투자 목적으로 여러군데 증권사를 통해서 펀드를 가입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런데 펀드마다 수익률을 보려면 각 자산운용사를 들어가서 봐야하거나, 따로 계산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는데요. 그부분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찾아보던 중 SC제일은행에서 서비스 중인 펀드 수익률 계산기라는게 있어서 설명을 드려볼까 해요.

수익률 계산기 카테고리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펀드를 선택하는 칸과 기간 선택이 있습니다. 우선 펀드는 현재 운용중인 펀드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교보, 다이치, 수익계산 미래에셋, 블랙록, 맥쿼리, 신한, 삼성, 신영, KB, 한화 등 수 많은 회사들의 상품들이 나열이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자신이 가입한 펀드를 선택하시거나 가입하고 싶은 상품을 선택을 하고 난 이후 기간을 선택을 해서 수익률을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정말 간단하지 않나요?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니, SC제일은행에 들어가셔서 확인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인터넷뱅킹 자동 로그아웃 예정입니다. 남은시간 59초 인터넷뱅킹을 로그인 후 10분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로그아웃 로그인 연장하기

그리고 가입할 펀드를 선택하셨다면, 입금일과 출금(환매) 기준일에 대해서도 알고 계셔야 하는데요. 그 부분은 간단하게 정리한 부분이 있어서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펀드 환매 기준일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펀드를 가입하기 전에 꼭 알아봐야 하는 수익계산 정보가 있는데요. 크게 2가지라고 생각을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우선 펀드는 원금을 보장하지 않는 투자 상품이라는 점을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그리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