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환율
① 미국인의 주식투자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면 환율은 상승한다.
② 환율이 하락하면 국내 대미 수출 기업들의 수출은 감소한다.
③ 환율이 하락하면 미국에 유학생을 둔 부모의 학비 송금 부담이 감소한다.
④ 장기에서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미국의 물가상승률보다 높으면 환율은 올라간다.
⑤ 환율의 상승은 원화 가치가 미국 달러화의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락함을 의미한다.
[해설] 환율이란 자국 화폐와 외국 화폐의 교환비율을 의미한다. 환율의 변화는 경제주체들에 큰 영향을 준다. 원·미국 달러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 하락,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 상승을 의미한다. 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가 증가하면 미국 달러화의 유입이 증가해 환율은 하락한다. 환율이 환율의 변화 하락하면 수출품의 가격은 상승하므로 가격경쟁력 약화로 국내 대미 수출 기업의 수출은 감소하고, 미국에 유학생을 둔 부모의 학비 송금 부담이 줄어든다. 정답 ①
[문제] 완전경쟁시장의 특징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르면?
① 생산자에 의해 제품의 가격이 결정된다.
② 하나의 생산자 및 다수의 소비자가 존재한다.
③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
④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은 기업마다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⑤ 진입 장벽의 존재로 생산자들이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지 못한다.
[해설] 완전경쟁시장은 모든 기업이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한다. 재화의 품질뿐만 아니라 판매조건, 기타 서비스 등 모든 것이 동일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특정 생산자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 내에 존재하여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가격수용자(price taker)이다. 또한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완전경쟁시장은 경제주체들이 가격 등 시장에 관한 완전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 ③
[문제] 인플레이션이 초래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조세제도를 왜곡한다.
② 일반적으로 돈을 빌려준 사람이 불리하다.
③ 기업의 이윤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④ 실물 대신 현금을 더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불리하다.
⑤ 기업들로 하여금 재화의 가격을 조정하는 데 드는 비용을 발생시킨다.
[해설]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상된 인플레이션은 이자율 등이 조정되기 때문에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까닭에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인플레이션은 경제 주체들 간 소득이 재분배되는 효과를 낳는다. 화폐가치가 하락해 돈을 빌려준 사람은 손해를 보고 빌려 간 사람은 이익을 본다. 화폐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실물자산을 보유한 경제주체가 현금 자산을 보유한 경제주체보다 유리해진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부동산, 금 등에 대한 투기가 성행하게 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재화의 가격을 조정하면서 메뉴비용(menu cost)이 발생한다.
또한 장기계약을 맺기가 힘들어져 경제 전반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정답 ③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원화환율의 변화가 국내 서비스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서비스수지는 주로 원/달러, 원/엔 환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수지 수입 및 지급은 원/달러 환율과는 부의 관계를, 원/엔 환율과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 원/달러, 원/엔 환율이 동시에 절하될 경우 서비스수지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수수지는 원/달러, 원/엔, 그리고 환율의 변화 원/위안 환율, 여행수지는 원/달러 환율, 그리고 사업서비스수지는 원/달러, 원/엔 환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Korean won exchange rates on the Korean service trade balance. Empirical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USD/KRW and JPY/KRW exchange rates have main effects on the Korean service trade balance. Service balance credit and debit(receipts and payment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USD/KRW and positively related with the JPY/KRW exchange rate. The depreciation of the USD/KRW and JPY/KRW exchange rates leads to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trade balance. Transportation balance is affected by the USD/KRW, JPY/KRW, and CNY/KRW exchange rates, travel balance by the USD/KRW exchange rate, and other business sevice balance by the USD/KRW and JPY/KRW exchange rates.
키워드 열기/닫기 버튼
Services Balance, Transportation Balance, Travel Balance, Business Service Balance, Exchange Rate Fluctuation
피인용 횟수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1건 입니다. 열기/닫기 버튼
참고문헌 (16) 열기/닫기 버튼 *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환율의 변화 중입니다.
논문 인용하기 닫기
원화환율의 변화가 국내 서비스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TY - JOUR
AU - 손일태
TI - 원화환율의 변화가 국내 서비스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T2 - 국제지역연구
JO - 국제지역연구
PY - 2009
VL - 13
IS - 2
PB - 국제지역학회
SP - 267
EP - 290
SN - 1226-6000
AB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Korean won exchange rates on the Korean service trade balance. Empirical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USD/KRW and JPY/KRW exchange rates have main effects on the Korean service trade balance. Service balance credit and debit(receipts and payment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USD/KRW and positively related with the JPY/KRW exchange rate. The depreciation of the USD/KRW and JPY/KRW exchange rates leads to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trade balance. Transportation balance is affected by the USD/KRW, JPY/KRW, and CNY/KRW exchange rates, travel balance by the USD/KRW exchange rate, and other business sevice balance by the USD/KRW and JPY/KRW exchange rates.
KW - Services Balance, Transportation Balance, Travel Balance, Business 환율의 변화 Service Balance, Exchange Rate Fluctuation
DO -
UR -
ER -
손일태. (2009). 원화환율의 변화가 국내 서비스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13(2), 267-290.
손일태. 2009, "원화환율의 변화가 국내 서비스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pp.267-290.
위안화 환율을 통해 본 세계 패권의 변화
새로운 사실: 네이버에서 ‘위안화’를 검색하면 위안화 환율의 최근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10년간의 그래프를 보면 대체로 비슷한 수준(1위안=160~190원)에서 등락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1년의 그래프를 보면 모양이 좀 다릅니다. 계속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1년전에는 1위안=170원이다가 지금은 1위안=190원입니다.
요즘 멀어진 위안화와 원화: 위안화는 원화의 ‘프록시 통화’로 불립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원화가 위안화의 프록시 통화입니다. 위안화와 그림자처럼 비슷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위안화에 투자하려면 그냥 원화에 투자하는 게 편리하기도 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됐던 건 우리나라 경제가 중국 경제의 부침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제여서 그렇습니다. 중국이 침체되면 함께 침체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역시 함께 그 반대의 경우가 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1년간의 위안화 환율 그래프는 그러던 원화와 위안화가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지가 약 1년쯤 됐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된 이유가 뭘까요.
최근 위안화 환율의 움직임은 어떤 나라의 통화는 왜 어느 때에 강세가 되고 어떤 이유로 약세가 되는지 모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그리고 이런 조건에서 원화는 어떤 흐름을 보일지 예측하는 단서를 던져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주제가 중요합니다)
실질금리 높은 중국: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는 첫번째 이유는 중국의 금리가 미국보다 더 환율의 변화 환율의 변화 높기 때문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중국의 금리가 미국의 금리보다 더 빠르게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더 많이 오르는 통화가 강세를 보입니다.
중국의 금리가 미국보다 더 빨리 올랐다고 표현하면 고개를 갸웃거릴지도 모릅니다. 미국은 요즘 금리를 올리려고 하고 있고(그래서 시중 금리는 오르고 있고) 중국은 반대로 금리를 내리고 있으니 오히려 반대가 아닌가 싶겠지만, 여기서의 금리는 숫자로 표현되는 명목금리가 아니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금리를 의미합니다. 요즘 미국은 금리가 올랐고 중국은 금리가 내리긴 했지만 물가는 미국이 올랐기 때문에 물가까지 감안한 실질금리의 변화는 오히려 중국의 실질금리가 더 높습니다. 그래서 미국 달러화보다는 위안화가 더 강세를 보입니다.
수출 잘되는 중국: 또 다른 이유를 덧붙이자면 중국의 수출이 매우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 덕분에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지난해에도 사상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에너지 수입액의 증가로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폭이 감소한 것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달러 의심하는 국제사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충돌 과정에서 불거진 사건도 위안화 강세를 설명하는 요인입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그 불똥이 중국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위안화 약세 원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러시아가 보유한 외환보유액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되는 사건을 통해 전 세계 모든 나라들이 자국의 외환보유액 포트폴리오에서 달러화 비중을 줄여야 하는게 아니냐는 의심(달러 비중을 줄이고 위안화 같은 대안을 늘려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품기 시작했다는 점에서는 강세 요인입니다.
이와 관련한 재미있는 뉴스가 최근 있었습니다. 사우디가 석유를 팔 때 달러 대신 위안화를 받을 수도 있다고 했다는 것입니다.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위상을 지키기 위해 수십년간 암묵적으로 지켜졌던 ‘달러로만 원유를 사고 판다’는 원칙이 깨질 수도 있다는 신호입니다. 역시 위안화 강세의 원인이 될만한 요인입니다.
미국은 러시아를 제재하기 위해 미국 달러화의 강한 힘과 네트워크를 통해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을 동결시켰습니다. 그러나 그 여파가 달러화에 대한 복종이 아닌 미국 달러화에 대한 각국의 의심을 낳은것은 참 아이러니입니다.
대출 늘리는 은행들
오늘의 이슈
새로운 사실: 은행들이 대출 늘리기에 나섰다는 소식입니다. 이자율과 대출한도, 각종 제한들을 줄이거나 없애고 있습니다.
이런 일이 생기는 건 최근 가계대출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고 그 이유는 1. 정부가 DSR 규제 등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고, 2. 소비자들도 새 정부 출범 이후 환율의 변화 환율의 변화 제도 개편을 확인하고 움직이자는 심리로 인해 부동산 거래를 뒤로 미루면서 주택 거래가 부진해지자 대출창구가 한산해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줄어든 대출을 다시 늘리기 위해 금리를 낮추고 대출경쟁을 다시 벌이기 시작했습니다.
대출을 지속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이유: 누군가가 부동산 구매를 위한 대출을 받으면 그것은 1차적으로 부동산 구매에 쓰이지만 그 부동산을 판 매도자에게 그 돈이 들어가면 그 돈은 창업이나 소비, 투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부동산 구매를 위한 대출을 규제하고 압박하면 부동산 시장만 위축되는 게 아니라 시장 전체가 위축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대출규제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것도 그런 부작용이 곧 생기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에 금융당국이 강하게 밀어부쳤던 가계대출 총량규제가 아예 폐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자칫하면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가 대선 전에 일시적으로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임시처방이었다는 해석으로 남게 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 기간 동안 급하게 비싼 금리로 대출받거나 대출을 받지 못해 거래를 하지 못한 소비자들만 피해를 입은 셈이 됐습니다.
놓치면 아까운 소식
📈 유연탄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건설업계 등으로 그 여파가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시멘트→레미콘→건설산업으로 이어지는 건자재 밸류체인에서 연쇄적으로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겁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시멘트 생산에 들어가는 유연탄 가격은 이달 들어 t당 427.5달러를 기록해 2020년 평균 가격(60.5달러) 대비 7배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이 때문에 전국철근콘크리트 연합회는 최근 건설사에 하도급 대금을 20% 올려달라고 요구하며 현장 ‘셧다운’을 예고했습니다. 다만, 분양가상한제 탓에건축비를 함부로 올릴 수 없어 건설사도 납품단가를 올리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알기쉬운 경제이슈] 환율 변동요인
김주영
‘환율 하락에 수출기업 비상’, ‘환율 하락으로 고민 깊어진 해외주식 투자자’
이는 지난해 12월 원달러 환율이 2년 6개월 만에 1천100원 아래로 내려가자 언론에서 다룬 기사 제목이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자 수출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것을 우려했고, 해외주식을 매수한 국내 투자자들은 달러화 자산의 원화 환산액이 줄어들 것을 고민한 것이다. 이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환율에 따라 경제주체들은 이익을 보기도 하고 손실을 입기도 한다.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알아보고자 한다.
단기적으로 환율은 환율 방향에 대한 기대, 뉴스 등에 따라 움직인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달러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면 달러를 미리 매수해 차익을 누리고자 한다. 이러한 기대가 한 방향으로 쏠릴 경우 일시적으로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뉴스는 외환시장 참가자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쳐 원달러 환율을 변동시킨다. 지난해 3월19일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심리 확산 등으로 원달러 환율은 1천285.7원까지 상승했으나 그날 밤 한국은행과 미 연준의 통화스왑계약 체결 소식이 발표되면서 다음날 원달러 환율은 39.2원 하락했다. 환율은 이러한 경제 뉴스뿐만 아니라 정치, 국제관계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에 따라 움직인다.
중장기적으로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대외거래, 국내외 물가수준 변화, 생산성 변화 등이 있다. 환율은 상품의 수출입, 서비스거래, 자본거래 등 대외거래의 결과에 따라 변동한다. 국제수지가 흑자를 보이면 외환의 공급이 늘어나 원달러 환율은 하락(원화가치 상승)하는 반면 국제수지가 적자를 보여 외환의 수요가 늘어나면 원달러 환율은 상승(원화가치 하락)한다. 또한 환율은 국내외 물가수준 변화를 반영한 상대적 구매력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햄버거 가격이 1천원에서 2천원으로 오를 경우 1만원으로 살 수 있는 햄버거 개수는 10개에서 5개로 줄어들어 그만큼 원화의 구매력이 떨어지고 원화의 가치도 하락하게 된다. 그리고 한 나라의 생산성이 다른 나라보다 더 빠르게 향상될 경우 해당 통화의 가치는 올라간다. 한 국가의 생산성이 높아지면 더 싼 값에 재화를 공급할 수 있게 돼 국내 물가가 하락하거나 자국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해 자국 통화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계별로 매우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통화의 상대적인 값인 환율은 국가 간 여건 차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환율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 변동은 손익과도 연결되는 만큼 경제주체들은 환율 변동요인을 점검해 보고 환율위험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환율의 변화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출간일 | 2020년 09월 25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356쪽 | 744g | 152*223*30mm |
ISBN13 | 9791185324500 |
ISBN10 | 118532450X |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저자는 개정판 서문에서 환율의 중요성이 우리 경제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변화해 가고 있으며 ‘수출경쟁력’과 ‘금융안정’과 같은 전통적인 정책목표와 더불어 앞으로는 우리나라의 대외증권투자 확대에 따른 수익률 제고와 위험관리의 핵심변수의 하나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환율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합리적인 예측은 앞으로도 우리 경제 주체들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율변동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인 바탕 위에서 환율의 변화 실제 각국의 사례를 접목함으로써 종합적인 직관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개정판에서는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초판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여 책의 구성을 총 4부 12장으로 확대하였다. 환율에 관한 각 주제를 기술하는 데 환율이론을 복잡한 수식보다는 알기 쉬운 말로 풀어서 설명하고 있으며 주요국의 현실감 있는 환율의 변화 사례를 풍부하게 소개함으로써 환율이론과 현실 간의 괴리를 좁혀 환율에 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특히 저자가 외환 당국자로 근무하면서 경험한 흥미 있는 국내외 사례들을 풍부하게 담아 살아있는 외환시장을 느끼게 해 준다.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부 외환시장과 국제수지
제1장 외환시장과 환율
외환시장은 두 통화간의 매매가 일어나는 시장 / 15
외환시장은 은행간시장 및 대고객시장으로 구성 / 21
외환시장거래는 현물환 및 외환파생상품 거래로 구분 / 29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결정되는 두 통화간 교환비율 / 33
환율은 장단기요인에 의해 수시로 환율의 변화 변동 / 38
제2장 국제수지와 환율
환율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 45
국제수지 흑자는 외환시장으로의 외환순공급을 의미 / 48
국제수지와 은행간 외환순공급 간에는 괴리도 발생 환율의 변화 / 56
국제수지의 환율 영향은 단기적으로 불명확 / 61
순국제투자 증가는 장기적 환율하락요인 / 64
제3장 외환파생상품거래와 환율
외환파생상품거래는 외환포지션변동을 통해 환율에 영향 / 71
선물환거래는 국제수지와 무관한 환율변동요인 / 74
역외 NDF거래는 환율변동성 확대를 초래 / 78
외환스왑거래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 84
통화스왑금리는 장기외자조달 수요를 반영 / 90
옵션거래는 델타헤징을 통해 환율에 영향 / 92
제2부 거시경제정책과 환율
제4장 물가와 환율
통화의 상대적 구매력이 환율을 결정 / 101
환율은 국내물가와 상대국물가의 비율 / 102
구매력평가는 단기보다 장기에서 잘 성립 / 109
구매력평가는 실물변화를 반영하는데 미흡 / 114
제5장 통화정책과 환율
환율은 두 나라 통화의 상대가격 / 121
통화공급은 물가상승을 통한 환율상승요인 / 122
통화공급은 금리하락을 통한 환율상승요인 / 125
통화정책은 채권수요변화를 통해 환율에 영향 / 130
주요국 정책금리변화는 국제자본이동을 초래 / 131
비전통적 통화정책은 환율변동성 확대 요인 / 137
제6장 재정정책과 환율
재정정책이 단기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불명확 / 147
자본이동성이 클수록 재정정책의 환율 영향이 증대 / 149
지속적인 국채발행 증가는 장기환율 상승 요인 / 153
재정건전성 악화는 통화약세 요인 / 158
제3부 환율제도와 환율정책
제7장 환율제도
환율제도는 고정, 변동 및 중간형태의 제도로 구분 / 171
세계경제의 개방화로 변동환율제 채택국이 증가 / 181
환율제도 선택시 정책목표가 상충 / 184
거시경제정책과의 부조화시 환율제도가 변경 / 187
제8장 균형환율
균형환율은 환율의 변화 기초경제여건에 부합하는 환율 / 197
환율은 시차를 두고 균형수준에 수렴 / 198
균형환율의 추정방법은 매우 다양 / 201
IMF는 회원국의 균형환율 수준을 평가 / 211
제9장 외환시장개입
외환시장개입은 환율안정이 주목적 / 219
외환시장개입은 통화정책 수행에 영향 / 233
시장개입효과는 정책신뢰성에 좌우 / 237
외환시장개입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공동 수행 / 242
외환시장개입자료의 공개는 투명성 제고 목적 / 245
제4부 외환위기와 정책대응
제10장 외환 · 금융위기와 환율
외환 · 금융위기시 환율은 비정상적으로 급등 / 253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은 국별 및 시기별로 다양 / 256
2008년 금융위기는 범세계적 외화유동성위기 / 267
금융위기시 위험지표들이 환율과 동반 상승 / 274
제11장 자본유출입관리정책
국가간 급격한 자본이동은 금융안정성을 저해 / 287
신흥국은 자본유출입관리정책으로 대응 / 294
자본통제는 장기비용이 단기효과를 상회 / 297
외환건전성정책은 금융안정 및 위기대응력 강화에 기여 / 302
제12장 글로벌 금융안전망
글로벌 금융안전망은 제2선 위기방어막 / 321
IMF 긴급융자제도의 위기예방 목적이 강화 / 323
지역 금융안전망은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보완 / 327
국가간 통화스왑은 탄력적 외화유동성 공급수단 / 329
위기예방 및 대응에는 다층적 방어막 구축이 중요 / 335
국가간 환율갈등은 신흥국환율 상승을 초래 / 337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