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조회 끝 날짜를 오늘로 하고 싶지 않다면 원하시는 날짜를 직접 입력하시면 돼요. 쉽죠? ^^
이렇게 해서 차트조회 날짜를 2013년 1월 2일부터 2013년 11월 29일까지로
설정을 했습니다. 한번 확인해볼까요?
기본적인 한국투자 어플에서 차트를 보면 기본적인 차트와 거래량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누가사고 누가 팔았는지 좀더 세밀하게 알고 싶은데, 기본적인 차트화면에서는 나와있지 않더군요. 그래서 외국인과 기관 개인의 순매수를 보고 싶을 때 어떻게 하면 될지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겠습니다.
한국투자 차트에서 (외국인, 기관, 개인) 순매수 설정 방법
기본적인 차트에서의 화면입니다. 거래량은 어떻게 보냐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화면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거래량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로 내리면 거래량이 뜹니다. 한국투자 기본 화면에서는 기본 차트와 거래량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외국인, 기관, 개인 순매수를 보기 위해서는 우측 상단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차트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순매수를 차트설정 보기 위해서는 지표설정에 있습니다. 화면을 아래로 내려줍니다.
기타지표에서 아래쪽 화살표로 된 곳을 눌러줍니다.
한국투자 어플에서 보고 싶은 지표를 선택해 줍니다.
저는 외국인 순매수, 기관 순매수, 개인 순매수를 확인하고 싶기 때문에 3개를 체크해 주었습니다. 따로 저장 버튼은 없고 체크표시를 하면 바로 설정이됩니다.
거두절미하고 결론부터 말해주는 곳 - GetResult
이화공영 17년도 일봉차트
차트에서 거래량은 캔들의 무게와 같습니다.
작은 거래량은 캔들이 가볍다는 뜻이고
큰 거래량은 캔들이 무겁다는 뜻입니다.
캔들이 무겁다는 건 그만큼 차트에서 차지하는
위 차트를 보면 좌측 동그라미를 보시면
약 2개월간 고점에서 큰 가격변동과 함께
(평균 거래량과 비교했을 때 모든 거래량이 높은 수준)
첫 번째 급등을 볼 때 매물대는 7,000원으로 볼 수 있고
전고점 저항선은 9,600원 위치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급등의 시가와 급락의 종가가
겹쳐있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중요도는 각자 생각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예상은 맞아야 의미가 있으므로
미래로 시간을 돌려 검증을 해보겠습니다.
돈데기리, 이해하신 30대 형들 안녕하세요.
이화공영 18년도 일봉차트
이화공영 18~19년도 초반 차트입니다.
18년도 상반기에 남북정상회담 이후
대북주의 힘으로 크게 급등한 모습이 있습니다. (1번)
1번 시작점을 보시면 상한가 캔들로
한방에 매물대와 저항선을 돌파했습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로 보이실 수 있지만
만약, 앞선 분석을 이미 하셨던 상태이고
대량거래를 동반한 상한가 캔들
초대형 호재를 동반한 매물대 돌파를 이해하셨다면
상따에 배팅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이전의 무거운 매물대 자리와 전고점을
상한가로 단방에 뚫는다는 것에서
응축된 에너지가 상당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상승 후 약 2개월간 (2번) 고점에서 큰 변동성 발생)
대북주 해소 이후 (3번) (4번)을 보겠습니다.
이화공영 18년~19년 일봉차트
해당 기간 동안 등폭이 최저 4950원에서
최고 10,200원까지 100%가 넘는 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변동성이 큰 장에서는 수익과 손실을
자주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멘탈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3번)과 (4번)처럼 변동성이 큰 자리에서는
자신의 매매 규칙을 잘 지키는 것이
멘탈을 지키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매물대와 저항지지선을 공부했고
매물대 7000원은 지지선으로서 매수타점
고점 저항선 9500원은 저항선으로서 매도점으로
기준을 잡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저항지지선에 대한 좋은 공부 글은
아래 좋은 링크를 남겨두니 참고 바랍니다.
주식 저항지지선(저항선, 지지선)쉽게 설명하기
실제 매수를 차트설정 하였던 종목을 바탕으로 저항선 지지선에 대한 공부를 해보자. 해당종목은 내가 처음 여기 발.
2. 매물대 차트 설정
매물대를 보는 게 아직 습관에 잡히지 않으셨다면 좋은 보조차트로 매물대 차트가 있습니다.
1) HTS(영웅문4) 매물대 차트 설정 및 보는 법
먼저 HTS의 매물대 차트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주)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해 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메뉴가 나오고
차트 형태를 클릭해주면 아래에
매물대 차트 메뉴가 나옵니다.
'매물대 차트'를 클릭해 줍니다.
이화공영 매물대와 매물대 설정화면
그럼 이와 같이 현재 차트 화면에 보이는 가격대 중
가장 많은 물량이 어디에 있는지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됩니다.
설정 화면에서 매물대 수를 더 늘리게 되면
더 상세한 매물대가 나타나게 되지만
너무 세밀하게 하면 불필요한 해석을 하게 되므로
종목과 상황에 맞춰 적절한 범위를 정하고
매물대 수를 조절하셔야 합니다.
2) MTS(영웅문s) 매물대 차트 설정
차트화면 좌측 상단에 지표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지표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나오는 목록 중 '매물대차트'를 클릭해주시면
그래 근육친구야
삼성바이오, 현대차, SK텔레콤 등등
우량주이며 기술적/재무적으로 훌륭한 기업의 경우
주요 매물대 아래에 차트가 갔다면
해당 상황이 저평가이며 차트의 저점으로
반대로 현재의 삼성바이오로직스 처럼
주요 매물대 위에 주가가 있다면
대부분의 투자자가 수익인 상황이므로
단기적인 이격이 큰 상황으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매물대 관점일 뿐 복합적인 분석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3. 매물대 차트의 속임수
조심하셔야 할 것이 매물대 차트를
무조건적으로 믿으면 안 됩니다.
매물대차트는 현재 내가 보고 있는
차트화면의 전체의 범위에서
주요 물량을 알려주는 것이지
매수한 사람들의 전체 물량에 대한 가격 위치를
말해주는 것이 아닙니다!!
다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물대 차트
보시는 그림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 후 전체 기간 일봉차트 입니다.
가장 많은 매물대는 15만~20만원 사이에 있습니다
이 차트를 지난 1년으로 보겠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물대 차트 (19~20년)
#7400 통합차트 1탄! 종목 불러오기, 차트 설정방법 차트설정 - 전희진의 HTS 공략
안녕하세요~! ^^ 전희진입니다.
CYBOS의 새로운 버전인 CYBOS 5 가 지난 11월 1일에 오픈을 했어요~^^ 축하축하! 짝짝짝!
몇 가지 편리한 기능들이 추가되었고, 기존 화면들도 기능이 개선되었답니다.
자, 그래서 이번 시간부터는 CYBOS의 차트화면을 다뤄보려고 하는데요.
CYBOS의 차트화면 중 가장 대표적인 차트화면인 차트설정 ‘[#7400] 통합차트’부터 알려드릴게요.
워낙 내용이 많지만, 꼭 필요한 기능 위주로 설명을 드릴 테니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차근차근 실습하며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통합 차트’ 화면 불러오기
화면번호 ‘7400’을 입력하거나, ‘차트/검색 > 7400 통합차트’를 클릭
그럼, 차트화면을 먼저 불러와볼까요?
화면번호 입력란에 통합차트 화면번호인 ‘7400’을 입력해서
간편하게 화면을 불러오실 수도 있고요.
다음과 같이 메뉴줄의 ‘차트/검색 > 7400 통합차트’를 클릭해
화면을 불러오실 수도 있어요.
‘통합 차트’ 화면 살펴보기
통합차트 화면을 불러온 상태입니다.
처음 화면을 열었을 때, 저는 아무런 종목도 검색되지 않도록 설정이 되어있어서
빈 화면만 나왔어요.
이전 종목이 검색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은 조금 이따가 알려드릴게요. ^^
화면 왼쪽 상단에 차트조회를 원하는 종목의 코드번호,
또는 종목명을 입력해서 차트를 조회할 수 있어요.
저는 대신증권 종목의 코드번호인 003540을 종목 코드번호 입력란에 적을게요.
종목코드번호 입력란에 ‘003540’을 입력하여
대신증권 차트를 불러왔어요. ^^
종목코드번호 입력란 오른쪽을 보시면 대신증권 종목명이 있고, 그 오른쪽으로는 날짜 입력란,
그 오른쪽으로는 ‘기간’과 ‘중’이라는 빈칸이 있네요.
버튼도 보이네요.
오늘은 이 버튼들의 기능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차트 조회기간 설정하기 - 날짜입력으로 조회기간 설정하기
오늘 하루 동안 하나의 봉이 그려진 차트를 일간차트라고 하죠?
이러한 일간차트를 오늘 하루뿐만 아니라 어제, 엊그제.. 더 과거로 가서,
올해 1월 2일부터 오늘까지(11월 29일) 그려진 차트를 조회하고 싶다면?
차트를 조회하는 기간을 2013년 1월2일~11월29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차트화면 왼쪽 상단에 위와 같은 부분이 있지요?
대신증권 종목을 조회 중이라는 표시와, 그 오른쪽으로
삼각형 버튼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요.
이 중에 왼쪽에 있는 삼각형 버튼을 누른 후,
조회를 시작하고자 하는 시작날짜를 오른쪽에 입력해줍니다.
시작날짜를 2013/01/02 이라고 입력해볼게요.
이렇게 입력합니다. 시작날짜를 설정했으니 이제는 끝 날짜를 설정해야겠죠?
두 번째 삼각형인 버튼을 누릅니다.
끝 날자 설정 버튼인데요. 이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의 날짜를 적는 칸에
오늘 날짜가 저절로 입력이 됩니다.
이 글을 작성한 오늘날짜가 11월 29일이라 이렇게 입력이 되었어요.
차트조회 끝 날짜를 오늘로 하고 싶지 않다면 원하시는 날짜를 직접 입력하시면 돼요. 쉽죠? ^^
이렇게 해서 차트조회 날짜를 2013년 1월 2일부터 2013년 11월 29일까지로
설정을 했습니다. 한번 확인해볼까요?
차트화면 하단에 보시면 ‘스크롤 바’라는 것이 있습니다.
차트가 길기 때문에 한 화면에 다 보여줄 수 없어서
길쭉한 버튼이 생성이 된 건데요.
이 스크롤 바를 앞으로 잡아당겨서 시작날짜의 차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제가 위의 이미지에서 빨간 박스로 표시한 부분이 스크롤바입니다.
스크롤 바를 마우스로 클릭한 후, 클릭한 채로 앞쪽(왼쪽)으로 이동하면,
시작날짜의 차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차트 확대/축소하기
차트 화면의 오른쪽 하단을 보시면,
모양의 버튼이 있습니다.
이 부분으로 차트를 확대/축소하실 수 있어요.
‘+’ 버튼을 누르면 당연히 차트가 확대되고요.
‘-‘ 버튼을 누르면 차트가 축소됩니다. 한 번 해볼까요?
‘+’ 버튼을 눌렀더니 차트가 확대가 되어서,
봉이 한 화면에 7개밖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 버튼을 누를게요.
네~ 차트가 축소가 되어서 어느 정도의 패턴이 한 눈에 들어오는 상태가 되었네요.
‘1:1’이라는 차트설정 버튼을 누르면 전체 조회기간의 봉을 한 눈에 보실 수가 있어요. ^^
제가 조금 아까 설정한 차트조회기간(2013/01/02~2013/11/29)의 전체 차트를
한 눈에 들어오도록 차트를 최대한으로 축소해서 보여줍니다.
‘기간’과 ‘중’ 칸을 이용한 차트조회하기
차트의 날짜를 설정했던 부분의 오른쪽을 보시면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이용해서 조회하고자 하는 차트의 봉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기간 227, 중 227 이라는 것은
조회하고자 하는 총 봉의 개수가 227개,
그 중에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고자 하는 봉의 개수도 227개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제가 ‘중’이라는 칸의 227 숫자를 20으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다음과 같이 조회가 될 겁니다.
이라는 칸에 숫자 20을 넣으니
총 조회하는 봉의 개수 227개 중에서 20개의 차트설정 봉만 한 화면에 표시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즉, ‘기간’이라는 곳의 빈 칸에는 조회하려는 총 봉의 개수,
‘중’이라는 곳의 빈 칸에는 한 화면에(한 눈에) 표시하고자 하는 봉의 개수를 입력하여
차트의 조회기간을 설정하실 수 있다는 겁니다. 어렵지 않으시죠? ^^
차트 주기 설정하기
차트의 주기란, 일본식차트(=봉차트=캔들차트)의 봉 하나가 나타내는 기간이
얼만큼인지를 이야기하는 단위입니다.
즉, 봉 하나가 나타내는 기간이 하루(오전9시~오후3시)라면 일간차트,
봉 하나가 나타내는 기간이 일주일이라면 주간차트, 한 달이라면 월차트,
10분이라면 10분 차트… 등과 같이 부르게 됩니다.
버튼을 살펴볼게요.
기간을 설정하는 칸 오른쪽에 보시면
일, 주, 월, 년, 분, 틱… 등과 같은 버튼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일’은 일간차트, ‘주’는 주간차트, ‘월’은 월간차트… 등으로 보시면 됩니다. ^^
해당하는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그 주기의 차트로 바뀝니다.
저는 ‘주’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주’ 버튼을 클릭하여 주간차트로 바꿨습니다.
이제 봉 하나가 나타내는 기간이 며칠이라고요?
네! 맞습니다. 일주일, 즉 5일입니다.(공휴일 없는 주의 영업일수 기준)
제가 화면에 나타난 25개의 봉 중 하나의 봉에 마우스를 가져다 댔더니
차트 툴팁이라는 네모난 상자가 나타났습니다.
이 상자는 해당 봉이 나타내는 기간의 기준이 되는 날짜
(주간차트의 경우 그 주간의 마지막 영업일 날짜)와
시가, 고가, 저가, 종가와 같은 데이터, 거래량,
이동평균값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표시해줍니다.
이번에는 분차트로 바꿔보겠습니다.
‘분’버튼을 클릭한 후에 분차트의 주기 또한 설정을 해주셔야 하는데요.
오른쪽의 1, 2, 5, 15 버튼을 누르면 주기가 설정이 됩니다.
저는 ‘분’ 버튼을 클릭한 후에 ‘5’라는 숫자 버튼을 클릭해서
5분 차트를 만들었습니다. 봉 하나가 나타내는 기간은 5분이 될겁니다.
그렇다면 이 버튼에 없는 숫자로 분차트를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60분 차트를 만들고 싶다면?
버튼 오른쪽의 흰색 빈칸이 보이시나요?
그곳에 숫자를 입력하고 키보드에서 엔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분’ 버튼을 클릭한 후에,
오른쪽 끝의 흰색 빈칸에 ‘60’을 입력하시고 키보드의 엔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60분 차트, 즉, 60분에 봉이 하나씩 그려지는 60분봉 차트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은 #7400 통합차트에서 종목을 불러오는 방법,
기간을 설정하는 방법, 차트의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까지 설명을 드렸습니다.
차트에는 무궁무진한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차트에 대한 내용만 해도 여러 회에 걸쳐서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에 대한 설렘을 간직하시고 하나하나 차근차근 따라 해보시면,
어느새 사이보스의 고수가 되어있지 않을까요? ^^
그럼 저는 다음시간에 뵐게요~ 휘리릭~!
에스파, 무서운 '걸스'…1주만에 6760만뷰, 거침없이 글로벌 돌풍 [더 차트]
현재글 에스파, 무서운 '걸스'…1주만에 6760만뷰, 거침없이 글로벌 돌풍 [더 차트]
소녀시대, f(x) 만든 'K팝 콘셉트 장인'…이번엔 뮤비부터 터졌다
케이팝레이더 위클리 트렌딩 차트
2022년 7월 둘째 주
2022년 7월 8일~14일 케이팝레이더 위클리 트렌딩 차트.
에스파(aespa)가 케이팝레이더 위클리 트렌딩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지난 8일 발매된 에스파의 신곡 ‘걸스(Girls)’ 뮤직비디오는 케이팝레이더 7월 2주차 집계 기간 (7월 8일~14일) 동안 6760만 뷰를 기록했다. 스포티파이에서는 4800명 이상의 팔로워를 추가하고 글로벌 돌풍을 입증했다. 이 기간 K팝 아티스트의 평균 스포티파이 팔로워 증가량은 약 2300명이다. 인스타그램에선 7만1000명의 팔로워가 늘었고, 트위터 팔로워는 4만6000명 가량 증가했다. 케이팝레이더 측은 “탄탄한 국내외 인기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아티스트”라고 밝혔다.
둘째 주 위클리 트렌딩 차트에는 세븐틴(SVT)의 ‘치어스(CHEERS)’가 2위, 청하의 ‘스파클링(Sparkling)’이 9위로 새롭게 진입했다. 지난 18일 나온 세븐틴의 ‘치어스’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1512만뷰로 집계됐다. 스포티파이(3만9083명 증가), 인스타그램(6만4983명 증가), 트위터(6만4902명 증가) 팔로워도 크게 늘었다.
이달의 차트설정 아티스트로 선정된 방탄소년단(BTS)은 ‘옛 투 컴(Yet To Come)’으로 롱런 중이다. 2주 연속 1위에 올랐던 이 노래는 여전히 뜨거운 인기를 자랑하며 3위를 달리고 있다.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466만뷰를 더했고 스포티파이 팔로워는 31만8000명이 늘었다. 인스타그램(19만 3000명 증가), 트위터(8만8000명 증가) 팔로워도 꾸준한 상승세다. 이밖에 올 1월 데뷔한 신인 하이키(H1-KEY)의 ‘런(RUN)’이 4위, 하이브·CJ ENM 합작그룹 엔하이픈(ENHYPEN)의 ‘퓨쳐 퍼펙트(Future Perfect)’가 5위를 차지했다.
셀 수 없이 많은 미디어를 타고 흐르는 K팝. 요즘 K팝의 90%는 해외에서 소비된다. 그런데 이중 세계에서 뭐가 차트설정 진짜 가장 인기 있는 음악인지 알아보는 건 쉽지 않다. K팝 스타트업 스페이스오디티가 집계하는 ‘케이팝레이더 위클리 트렌딩 차트’는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와, 트위터ㆍ인스타그램ㆍ스포티파이의 팔로워 등 4개 플랫폼의 팬덤 증감을 계산해 만든 차트다. 오직 K팝만을 다루며 공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 투명성을 확보했다.
Cardano의 주간 및 일일 차트는 초기 강세 신호를 보여줍니다
암호화폐 시장 추적기 CoinMarketCap에 따르면 시가 총액 기준 8번째로 큰 암호화폐인 Cardano(ADA)는 지난 24시간 동안 가격이 약간 상승했습니다.
ADA의 가격은 지난 24시간 동안 1.54%, 지난 7일 동안 12.64% 인상된 후 현재 $0.4985에 있습니다.
ADA/USDT 일간 차트 (출처:CoinMarketCap)
ADA/USDT의 일간 차트를 보면 ADA의 가격 움직임은 지난 몇 주 동안 비교적 평평했습니다. 그러나 ADA의 가격이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할 것임을 시사하는 강세 신호가 있습니다.
첫 번째 강세 신호는 최근 일봉 차트에서 20 EMA를 교차하는 9 EMA입니다. 다른 강세 플래그는 MACD 신호선 위를 교차하는 MACD 선이며 MACD 히스토그램의 기울기가 양수입니다.
ADA/USDT 주간 차트 (출처: CoinMarketCap)
ADA의 주간 차트는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2개의 중요한 강세 플래그를 보여줍니다. 첫 번째 양수 플래그는 MACD 신호선 위를 교차하는 MACD입니다. 여전히 MACD에서 히스토그램 기울기도 양의 기울기를 가지며 이는 MACD 표시기를 볼 때 또 다른 좋은 신호입니다.
두 번째 주요 긍정적 플래그는 RSI SMA 선을 교차하는 상대 강도 지수(RSI)입니다. 또한 RSI는 과매도 영역에 있으며 이 약세장에서 설정한 최저치에 가장 가깝습니다.
현 상황에서 ADA는 중장기 전망을 감안할 때 정통한 투자자에게 좋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Cardano 팀이 이 약세 시장에서 수행한 모든 개발과 Cardano 네트워크가 얻은 견인력으로 인해 ADA의 본질적인 가치는 현재 가격으로 충분히 표현되지 않습니다.
ADA의 주간 및 일간 차트에 있는 강세 플래그는 앞으로 일어날 일의 매우 이른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가오는 Vasil Hard Fork 이벤트에 의해 더욱 정당화됩니다.
부인 성명: 이 기사에 표현된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작성자의 것이며 반드시 CoinQuora의 견해를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기사의 어떤 정보도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CoinQuora는 모든 사용자가 암호 화폐에 투자하기 전에 자체 조사를 할 것을 권장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