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증권사 주식 수수료 비교
예전에는 증권사에서 수수료 무료 이벤트도 많이 했었는데, 요즘은 사람들이 주식투자를 많이 하다보니 무료 이벤트를 하는 곳이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아래에서 수수료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국내 주식 매매 수수료 비교
- HTS 매매 수수료
- 키움증권 : 0.0150%
- NH투자증권 : 0.4991639%(50만 원 미만 기준)
- KB증권(국민은행) : 0.015%
- 미래에셋 대우증권 : 0.029%
- 삼성증권 : 0.147216% + 1500원(1천만 원 미만)
- 한국투자증권 : 0.01420527%
- 대신증권 : 0.1672959% + 700원 (100만 원 이하)
- 신한금융투자 : 0.4991639% (50만 원 이하)
- 한화투자증권 : 0.4975% (100만 원 미만)
- IBK투자증권 : 0.1%
- KTB투자증권 : 0.0150%
- 키움증권 : 0.015%
- 나무(NH투자증권) : 0.01%
- KB증권(국민은행) : 0.12%
- 미래에셋대우증권 : 0.497%(100만 원 미만)
- 삼성증권 : 0.147216% + 1500원(1천만 원 미만)
- 한국투자증권 : 0.01420527%
- 대신증권 : 0.1972959%
- 신한금융투자 : 0.1891639%
- 한화투자증권 : 0.15%
- IBK투자증권 : 0.1%
- KTB투자증권 : 0.015%
지금까지 국내 주식 매매 수수료를 알아보았습니다. HTS와 MTS에 따라 수수료가 다른 증권사가 있고 매매 금액대 별로 수수료가 다른 증권사도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0만 원 미만 1천만 원 미만 등의 조건이 있는 곳들이 있는데, 그 이상의 금액을 거래해도 수수료가 생각보다 더 싸지지 않는 것을 홈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역시 국내 1등 증권사인 키움증권이 그나마 다른 곳들에 비해서 수수료가 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수료는 증권사에서 진행하는 이벤트가 있기 때문에 꼭 참여해서 혜택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리된 것을 보면 알겠지만 생각보다 수수료가 비싸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벤트에 참여하게 되면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처음 계좌개설 하는 분들은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꼭 이벤트에 참여해서 매매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국내 증권사별로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과 수수료 및 이벤트를 정리한 글이 있습니다. 관심있는 증권사별로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KB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나무,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대우, 유안타증권,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한화투자증권)
증권사 주식 수수료 비교 결과
수수료만 따지고 보자면, HTS를 사용할 때는 키움에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 MTS를 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NH투자증권의 나무 어플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각각 0.015%와 0.01%로 다른 증권사들에 비해서는 확실히 수수료가 싸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주식을 시작하고 처음에는 금액을 많이 투자하지 않아서 수수료가 크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꾸 매매를 많이 하다 보면 오히려 매매손익보다 수수료를 더 많이 낼 때도 있습니다. 잘 공부하셔서 투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렸듯이 수수료 우대 이벤트가 각 증권사에서 아주 다양하게 하고 있으니 참여해서 수수료 혜택 받으시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 수수료 무료 이벤트는 제가 찾아본 결과 NH투자증권 나무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참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글을 첨부해 두었으니 한 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내 주식 말고 미국주식에도 요즘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미국 주식 거래 시간과 미국 시장의 종류에 대해서 정리한 글이 있으니 함께 읽어보시면 처음 시작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주식 투자를 하다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해서 들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주식을 하다가 여러분이 투자하고 있는 기업이 뉴스로 증자를 한다는 소식을 들으셨으면 지금 당장 이게 호재인지 악재인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2021년 증권사 주식 수수료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최대한 가장 싼 수수료를 내는 곳에서 주식을 시작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에 적어드린 수수료는 살 때와 팔 때 모두 적용되는 수수료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와 공감 부탁드립니다.
증권사 수수료 비교 깔끔하게 정리 (국내, 해외, 환율우대)
주식계좌를 만들 때 어떤 증권사를 선택할까 고민되시죠? 많은 선택의 이유가 있겠지만, 수수료가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될 겁니다. 오늘은 증권사 수수료 비교 (MTS, HTS, 국내, 해외) 및 환율까지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국내주식 거래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
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비용에는 증권사 수수료, 유관기관 비용, 증권거래세가 있습니다. 증권사 수수료와 유관기관 비용은 매수·매도 시에 발생하고 증권거래세는 매도 시에만 발생합니다.
유관기관 제비용은 매우 미미한 데다가 증권사별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소수점 3자리 이하). 또한 증권거래세는 모든 증권사에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증권사 수수료만 기준으로 자료를 정리했습니다.
[참고] 증권거래세 (농어촌특별세 포함)
- 코스피 : 0.23% ( '23년부터 0.15%)
- 코스닥 : 0.38% ( '23년부터 0.30%)
- 코넥스 : 0.25% ( '23년부터 0.25%)
- 기타 : 0.58% ( '23년부터 0.50%)
자료는 2021년 5월 기준이고, 이벤트나 정책 등이 변경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수점 3자리 미만은 절사했습니다.
1. HTS 거래시 증권사별 수수료 (국내주식)
먼저 HTS 거래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입니다. 단일 수수료로는 NH투자증권이 0.01%로 가장 저렴합니다. 다만 나무 어플(나무 HTS 프로그램)으로 거래할 때만 적용되는 수수료입니다.
특히 NH투자증권에서는 중개형 ISA 계좌를 개설하면 1년간 국내주식수수료를 전액 면제해주는 이벤트를 2021년 말까지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BK투자증권은 선택형 수수료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보통은 0.1%의 단일 수수료이지만, 매일 주식평가액의 0.007%를 계좌관리비로 내는 것을 선택하면 수수료를 전액 면제해주고 있습니다.
포지션 잔액이 거의 없고 단타를 주로 하시는 분들의 경우 아주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을 거 같네요.
KB증권,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는 거래액에 따라 수수료가 다릅니다. 금액 구간에 따른 자세한 수수료율은 밑에 증권사별 수수료 공시 링크를 걸어놨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MTS 거래시 증권사별 수수료 (국내주식)
이번에는 핸드폰 MTS로 거래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무 어플을 이용할 경우 NH투자증권의 수수료가 0.01%로 제일 저렴하네요.
참고로 지금 미래에셋 대우증권 이벤트 기간인데요. 21년 6월 29일까지 다이렉트 계좌 신규 개설시 0.0036%의 수수료를 평생 적용해줍니다. 얼마 남지 않았네요.
MTS로 국내주식 거래시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단일 수수료 체계를 적용하는데요. 삼성증권만 거래액에 따른 수수료 차등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표에는 없지만 얼마 전에 생긴 토스증권 수수료는 0.015% 라는 것도 참고로 알고 계시면 좋겠네요.
지금까지 말씀드린 수수료는 코스피/코스닥 기준이고요. 선물 등 기타거래시 수수료는 다를 수 있습니다. 거래금액 구간별 차등 수수료율 및 기타 상세 수수료 정책은 아래 증권사별 수수료 공시 페이지를 링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사별 국내주식 거래 수수료 공시 링크
해외(미국)주식 거래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
해외주식 거래할 때는 증권거래세가 없습니다. 다만 미국주식 매도할 때는 sec fee가 있는데요. 0.00xxx%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2021년 5월 기준 미국주식 거래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 표 입니다. 전 증권사가 MTS와 HTS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고요. 이벤트 내용은 종료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
한국투자증권이 0.2%로 제일 저렴하고 나머지 증권사들은 모두 0.25%네요. 다만 여러 증권사들이 최근 해외(미국)주식 수수료 할인 이벤트를 앞다퉈 진행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나무 이용시 22년 3월까지 0.09% 수수료를 적용하고요. 미래에셋대우증권도 21년 6월 29일까지 신규계좌 가입시 21년말까지 0.07% 의 수수료율을 적용해줍니다.
키움증권은 신규가입시 0.1% 의 미국주식 수수료율을 연말까지 적용해줍니다. 그리고 거래내역이 있는 경우 1년 단위로 혜택을 연장해 주는데요. 이런 식으로 몇 년째 계속 수수료 우대를 연장해오고 있습니다.
위의 수수료는 미국주식 기준이고요. 다른 나라 등 자세한 수수료율을 알고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싶으실 경우 마찬가지로 아래 증권사별 해외주식 수수료율 공시 페이지를 링크 걸어 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사별 해외주식 거래 수수료 공시 링크
[꿀팁] 증권사별 환율우대 비교
해외주식 거래할 때는 환전이라는 절차가 있기 때문에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환율우대도 무시할 수 없죠. 일단 매매기준율은 모든 증권사가 같다고 가정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 매매기준율 : 거래의 기준이 되는 기준환율로, 은행이나 서울외국환중개의 고시환율을 사용. 증권사별로 시간에 따라 매매기준율이 조금씩 달라지나 큰 차이는 없음.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환율우대가 00% 라고 했을 때, 무엇을 할인해준다는 것인지 헷갈릴 수 있는데요. 환율우대는 스프레드를 얼마나 할인해주냐는 의미입니다.
달러의 매매기준율이 1,000원이라고 가정할 때, 원화를 달러로 환전할 때는 1,010원, 달러를 원화로 환전할 때는 990원 이렇게 사고팔 때 '10원' 정도의 스프레드가 있습니다.
즉 80% 환전우대를 해준다는 것은 스프레드 10원에서 80%(8원)를 깎아줘서 1,002원에 달러를 팔겠다(=원화를 달러로 바꿔주겠다)는 뜻입니다.
증권사별 환율우대 이벤트 현황과 실제 적용환율 예시를 정리해봤습니다(21년 5월 기준).
NH투자증권에서 현재 환율우대를 100% 해주고 있습니다. 즉 스프레드를 전혀 안 붙이고 매매기준율로 환전을 해주겠다는 뜻입니다. 22년 3월까지 꽤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오랫동안 이벤트를 진행하네요.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대부분의 증권사는 스프레드를 비율로(대부분 1% 정도 → 약 10원) 결정하는데요. 미래에셋대우증권은 ±5원으로 고정 스프레드입니다.
즉 현재 환율을 기준으로는 다른 증권사와 비교했을 때 상시 50% 할인을 해주는 셈입니다. 환율우대가 없을 때는 미래에셋대우증권이 가장 유리하네요.
나중에 매도할 때(달러를 다시 원화로 바꿀 때)는 반대로 비싸게 팔아야 되잖아요? 이때 만약 환율우대 기간이 끝날까 미리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스프레드가 적은 미래에셋, 혹은 환율우대 이벤트를 진행하는 다른 증권사, 심지어는 시중은행에 외화이체를 한 뒤 환율우대를 받고 환전을 하면 됩니다. 은행도 80~90% 우대해주는 곳 많으니까요.
다만 이때 외화계좌는 별도로 만들어야 할 겁니다. 외화이체 수수료도 몇천원 정도 나오고요. 따라서 거래금액과 할인 혜택을 잘 따져보시면 될 것 같네요.
지금까지 증권사 수수료 비교와 환율우대까지 정리해봤습니다. 증권사 선택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모두들 성투하세요! 😃
국내주식 수수료 비교
'주식투자를 시작하겠다.' 라고 했을 때 제일 먼저 선택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즉각 어느 증권사에 계좌를 설치하느냐입니다. 사실 국내 증권사들은 대동소이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있습니다. 또 요새 비대면으로 계좌 설치할 땐 증권사 수수료 면제 혜택도 제공하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주식 수수료 비교
국내주식 거래할 때 수익률이 났다고 그것을 내가 다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증권사 수수료 부분도 있고, 국가에 내야 하는 세금도 있습니다. 국내주식 수수료를 알아보고, 또 증권사별로 비교도 해보겠습니다.
국내주식 수수료 [세금 + 증권사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는 저희가 주식거래를 편하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내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요새 주식시장이 호황이다 보니 각 증권사에서 계좌 개설 수수료 면제 및 할인 등 이벤트가 많습니다.
증권사 수수료는 비대면 계좌로 개설 하는 것이 오프라인으로 발급 했을 때보다 무척 저렴합니다. 또 MTS나 HTS 등 온라인으로 거래하는 것이, 증권사에 직접 전화해서 거래하는 것보다 저렴합니다. 여전히 나이가 있으신 분들 중에선 증권사에 전화로 주식을 거래하는 분들도 있더라고요.
국내 증권사 HTS와 MTS 거래 시 수수료를 비교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전화로 거래하면 수수료가 좀 더 높아요]100만원 거래 기준, 증권 거래세 0.23%(2,300원) 포함
순위 증권사 신규 비대면 계좌개설 회원 HTS 수수료+세금(원) MTS 수수료+세금(원) 비고 1 미래에셋증권 0.0036% 2,372 0.0036% 2,372 1 한국투자증권 0.0036% 2,372 0.0036% 2,372 1 키움증권 0.0036% 2,372 0.0036% 2,372 신규회원 수수료 혜택 1개월 한정 2 NH투자증권 0.0043% 2,386 0.0043% 2,386 3 KB증권 0.0045% 2,390 0.0045% 2,390 상기 외 나머지 증권사는 수수료 이벤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순위 증권사 기존회원 HTS 수수료+세금(원) MTS 수수료+세금(원) 비고 1 미래에셋증권 0.014% 2,580 0.014% 2,580 1 한국투자증권 0.014% 2,580 0.014% 2,580 1 키움증권 0.015% 2,600 0.015% 2,600 2 NH투자증권 0.010% 2,500 0.010% 2,500 나무앱 사용시 0.01%적용, 케이뱅크/카카오뱅크 연계 계좌 0.015% 3 KB증권 0.1573%+1,000원 4,873 0.197% 6,246 거래 대금별 상이 4 토스증권 0.015% 2,600 0.015% 2,600 5 신영증권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0.099% 4,282 0.099% 4,282 거래대금별 상이 6 대신증권 0.1672%+700원 4,672 0.197% 6,246 거래대금별 상이, 매매대금 20만원 이하 0.48% 이상 국내주식 수수료 및 증권사 비교를 해봤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수익이 나면 이 정도 수수료가 뭐가 아깝겠어요. 미래에셋 대우 기준으로 연간 일억의 주식 거래를 한다면 수수료가 36만 원입니다. 수익이 난다면 아깝지 않지만, 손실이 난다면 이것도 사실 부담입니다.
요즈음 증권사에서 수수료 이벤트를 꽤 진행해서 수수료 비교 자체가 무의의하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수료 이벤트 참여한다고 이것저것 신청하는 게 귀찮고 누군가에게는 까다로울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수 있답니다.
더더욱 백만 원 미만 소액주주가 아닌 천만 원, 억 원 단위로 거래하는 사람 상황에선 작은 비율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국내주식 거래세]
세금은 나라에 내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증권사에서 하더라도 같습니다. 증권사에서 수수료 프리 이벤트를 하더라도, 국가에 내는 세금은 내야 합니다.
주식에 붙는 세금은 거래세, 배당세, 양도세 등이 있습니다. 그중에 보편적으로 주식을 거래할 때마다 붙는 거래세를 알아볼 건데요, 거래세는 총 매도금액의 0.25%입니다.
예컨대 1백만 원의 주식을 매도한다면
1백만원X0.25% = 2천5백 원 입니다.
거래세는 증권사에서 면제해줄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또 수익이 나도 손실이 나도 무조건 매도 시에는 내야 하는 세금이라 이것과 더하여 2023년부터 개인이 양도세도 내야 한다니 아직도 큰 이슈입니다.주식 양도세 한번에 총 정리!(2023년 양도세 개편까지)
주식 양도세 어떤 사람이 얼마나 어떻게 내야 하는지 한번에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소득이 있는 곳에 언제나 세금이 있 습니다. 오늘은 주식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
알면 좋은 정보들
주식에 입문하시면 가장 먼저 증권계좌부터 개설하셔야 하는데 이때 어느 증권사를 선택해야 할까 하며 한 번쯤 고민해보셨을 텐데요. 증권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몇 가지 있겠지만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 중 하나가 매매수수료 아닐까 합니다.
요즘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수수료가 많이 낮아졌고 요즘 증권사들이 많이 하고 있는 비대면 이벤트를 잘 이용하신다면 평생 저렴한 수수료 혜택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거래 수수료는 PC의 HTS를 이용하는지 핸드폰의 MTS나 ARS를 쓰는지에 따라 차이가 조금씩 나는데 웬만한 대표 증권사의 수수료를 모아보았으니 비교해보시고 증권사 선택에 참고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증권사 수수료 비교
1. 키움증권
키움증권 수수료
HTS : 0.015% MTS : 0.015%
저도 이용중이며 국내에서 정말 많은 분들이 이용 중인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키움증권 영웅문입니다.
무점포 온라인 운영사다 보니 수수료가 정말 저렴하며 주식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는 증권사입니다.
2. 미래에셋증권
얼마 전 HTS, MTS에서 장애가 발생하며 문제를 일으켰던 적이 있었는데요 홈트레이딩 시스템은 시스템 안정성이 정말 중요한데 이런 일이 일어나 신뢰를 조금 잃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미래에셋대우 구)대우증권 수수료
구)대우증권 : HTS, MTS 100만 원 미만 거래 시 0.497% 1억 원 이상 거래 시 0.077%
증권통, 증권Plus 카카오를 통하여 거래하면 수수료가 0.14%로 일률 적용됩니다.
미래에셋대우 구)미래에셋증권 수수료
구)미래에셋증권 : HTS 0.029%, MTS 0.015%
증권통 : 0.05% 증권 Plus for Kakao : 0.015%
미래에셋다이렉트 수수료
미래에셋다이렉트는 수수료가 더 저렴합니다.
증권통, 증권Plus카카오 수수료
증권통 : 0.05% 증권 Plus for Kakao : 0.015%
신규/주식휴면 고객 비대면 계좌 개설 이벤트 12월 말까지 국내 주식 온라인 거래 수수료 0.0036396% 평생 우대 혜택.
3.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수수료
영업점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계좌관리점을 "한국투자증권 영업점계좌" 선택한 경우
HTS, MTS : 50만원 미만 0.497%~ 3억 이상 0.077%
한국투자증권 모바일 수수료
뱅키스 은행에서 계좌 개설하거나 비대면 개설 시 계좌관리점은 "온라인(BanKIS)"로 선택한 경우
최초 신규 고객 비대면 계좌 개설 시 7월 31일까지 평생 우대 수수료율 0.0036396% 혜택과 주식1주 지급 이벤트.
4. 삼성증권
삼성증권 수수료
개인적으로 삼성증권의 MPOP(MTS)을 한동안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 깔끔한 UI가 맘에 들었고 국내 증권사 앱 중 유일하게 비상장주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HTS, MTS : 1천만원 미만 0.147%+1500원 ~ 3억 이상 0.077%
신규/휴면 비대면 계좌, 우대수수료율 : 거래소/코스닥/코넥스 0.0036396%
5. 신한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 수수료
HTS : 50만원 미만 0.499% ~ 2억 이상 0.089%
MTS : 거래금액에 관계없이 0.189%
비대면 계좌 개설 이벤트 혜택 : 국내 주식 수수료 평생 : 0.00363960%
6. NH투자증권
NH투자증권 수수료
HTS : 50만원 미만 0.499% ~ 2억 이상 0.084%
MTS : 0.019% (200만원 미만+500원)
NH투자증권 MTS 수수료
NH투자증권 나무 수수료
NH투자증권 모바일 증권거래 서비스인 나무는 수수료가 더욱 저렴합니다.
최초 신규 비대면 계좌 개설 고객에 한해 국내 주식 위탁수수료 평생 우대 혜택 수수료율 : 국내 주식 0.0043319%
7. 이베스트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수수료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수수료도 참 착합니다.
8. 교보증권
교보증권 수수료
HTS : 5억 이상 0.069% ~ 200만원 미만 0.1492%+500원
MTS : 0.149% (매매대금이 200만원 미만일시 +500원)
9. KB증권
KB증권 수수료
HTS : 1억이상 0.0773% ~ 1천만원미만 0.1573%+1000원
10. 메리츠증권
메리츠증권 수수료
HTS, MTS : 5억이상 0.078% ~ 3백만원미만 0.198%+1000원
11. 대신증권
대신증권 수수료
HTS : 2억 이상 0.077% ~ 100만원 이하 0.167%+700원
대신증권 MTS 수수료
주식매매비용
주식을 사고팔 때 주식 매매비용이라는 것이 발생하는데 지금까지 알아본 수수료는 증권사 위탁거래 수수료이며 여기에 더해서 증권거래세와 유관기관 수수료를 내셔야 합니다.
매수시 : 유관기관 수수료+위탁거래 수수료
매도시 : 증권거래세+유관기관 수수료+위탁거래 수수료
증권거래세는 정부에 내는 세금이며 주식 매도금액의 0.25%입니다.
유관기관 수수료는 한국거래소, 한국 예탁결제원에 내는 수수료이며 평균 0.005%~5%입니다.
증권사를 선택하실때 수수료도 중요하지만 각 증권사만의 HTS, MTS가 자신에게 맞는 UI, 사용편의성및 안정성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수수료이벤트를 진행중인 증권사를 알려드리기는 했으나 이밖에도 상품권이나 경품행사를 진행하는 곳도있으니 참고 하셔서 증권사를 고르시길 바랍니다.
7개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비교 및 이벤트 혜택 정리
테슬라나 애플 등의 유명 외국기업의 관심이 높아지며 해외주식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이 늘어나신 것 같아요. 관심이 커지는 만큼 증권사 해외 수수료에 대해서도 생각을 많이 하실 텐
초보자도 쉽게 재무제표 보는 방법 설명
주식투자를 하면서 선택한 회사가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무슨 사업을 하는지 이익은 얼마나 내고 부채는 얼마나 있는지 등의 기본적인 지식 없이 투자한다는 건 어떻게 보면 위험한 모험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 수수료 비교 (주식 수수료 어디가 쌀까?)
증권사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주식 매매 수수료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런데 당신은 정말로 가장 싼 수수료를 이용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신 적이 있나요? 그냥 남들이 다 하는 곳이라서 이용하시는 게 아닐까요?
수수료는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상당히 작은 요소로 보일지 모르지만 이는 큰 착각입니다. 만약 당신이 20년 동안 1번의 거래를 한다면 맞는 말이지만, 주식투자를 시작하신 상황에서 딱 1년만 하실건가요? 아닙니다.
아마 앞으로 상당히 오랜 기간을 함께하실 겁니다. 한때 불처럼 뜨겁게 매일매일 보는 그런 상황은 지나가더라도 분기마다 또는 반기마다 한 두번 거래를 하실 텐데 이 수수료는 거래가 많아질수록 기간이 길어질수록 우리가 알게 모르게 조금씩 갉아먹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보면 눈치 채지도 못한 채 갉아먹힌 눈덩이가 있는 셈이죠.
증권사 수수료 비교
본인이 이용하는 곳의 수수료를 한번 파악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비교를 하려면 이미 이용하는 곳부터 비교하는게 가장 중요하니까요. 그래서 가장 메이저에 해당하는 곳부터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증권사 어디 이용하는지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비교 방법이지만 별 차이가 없다면 UI가 좋은 곳을 이용하는게 좋다고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만 주식 수수료가 가장 싼 곳이 중요하다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
물론 2021년 기준으로한 증권사 수수료 비교이구요. 주식 매매수수료에 대해서 다뤄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용하시는 키움 , 미래에셋, NH 투자증권 부터 살펴봅시다.
1) 키움 증권 수수료
키움 증권 수수료
HTS 는 우리가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보통 컴퓨터로 이용하는 주식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앞의 두 가지 영웅문 수수료 까지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0.015%의 수수료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장 유명한 HTS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곳인 만큼 인기도 많은데요. 키움은 아무래도 이용할 때 수수료도 있지만 이벤트를 하도 많이 하다 보니까 좋은 곳이라서 이것만으로 판단하기는 조금 아쉬운 감도 있기는 합니다.
괜찮아 보입니다. 그럼 다음 곳을 알아볼까요?
2) 미래에셋 대우증권 수수료
미래에셋 매매 수수료
여기서 약정금액은 총 매매 금액이다. 즉 돈을 많이 쓸수록 싸지는 구조라고 보면 되는데 일률 적용이므로 거래 금액 상관없이 적용된다고 보면 된다. HTS 기준으로 보면 0.14%에 해당한다.
표에는 짤렸지만 기타 모바일 매체 도적용 된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놀라운 점이 있는데
미래에셋 협의 수수료
이 협의 수수료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잘 이용하면 더 싸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말 그대로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래에셋 측과 상담을 한번 해야 하는 것 같다.
3) NH투자증권 수수료
NH투자 증권 수수료
NH 투자증권은 다음과 같다. 조금 보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 확대해서 보시면 되고 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 금액은 0.1341639%+1,500원에 해당하는 수수료율을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수수료가 상당히 이해하기 힘들어서 힘든 것 같다. 특히 추가 금액이 붙는 부분이 마음에 안 드는데 원활한 계산이 귀찮기 때문이다. 일단 계산기로 천만 원을 기준으로 넣고 해 봤는데 14,936.39원이 나왔다 맞는지 잘 모르겠으니 누가 한 번 더 해보고 확인 부탁한다.
그리고 NH에서는 아무래도 모바일 계좌에 해당하는 나무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보이는데, 혹시 모르시는 분이 있다면 확실히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 기준으로 0.01%의 정률 수수료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나무 수수료
이상으로 증권사별 주식 수수료를 비교해 보았다. 주식 매매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 만큼 잘 고려하셔서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아직 안 보신 분들이 있을 텐데 증권사의 순위에 대해서도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증권사는 단순히 주식 수수료가 싼 곳이 좋은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순위를 보면서 여기는 뭐가 좋길래 인기가 많은 걸까 하고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증권사 순위 및 비교 정리 (추천 증권사는?)
주식이나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증권사의 선택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절대로 대충 골라서는 안 되는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은 기분에 따라서 고르기 마련입니다. 그런 바보 같
노후 준비 자금은 대체 얼마나 있어야 할까?
만약 은퇴를 한다고 했을 때 노후 준비를 하면서 대체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할지 계산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한 일찍 모을 필요가 있다는 점이 나를 괴롭게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