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펀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1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Reuters. 해외투자 시들해진 서학개미…'테슬라 사랑'은 여전

내 최초 해외투자펀드, 연초 이후 수익률 16.39%

펀드가 재테크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펀드 계좌는 2005년 말 1000만 계좌를 돌파, 국민 1인당 1계좌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여전히 고민스럽다. 어떤 펀드를 골라야 하는지, 누가 어떻게 운용하는지…. 는 한국펀드 평가와 함께 국내외 투자 유망펀드와 펀드매니저를 소개하는 펀드탐방 기사를 연재한다.

파 워엔진브릭스해외재간접펀드(이하 파워엔진브릭스펀드)’는 2005년 8월 설정 이후 21.88%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3개월 수익률은 16.해외투자펀드 39%로, 브릭스 투자펀드의 3개월 평균 수익률인 12.97%를 크게 상회한다. 국내 운용사들이 운용하고 있는 해외투자펀드들과 비교하면 설정 이후 6개월이 지난 펀드들 가운데 4위(3개월 수익률)에 해당한다. 3위는 파워엔진브릭스펀드와 같은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Gold & Wise브릭스해외재간접펀드’다. 브릭스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들 중에서는 두 펀드가 1,2위를 다투고 있다.

파워엔진브릭스펀드는 신탁재산의 60% 이상을 브릭스 등 해외 주식형 간접투자증권 등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채권 및 유동성 자산에 투자한다. 해외투자에 관심이 있지만 투자대상을 선별하기 힘들어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2006년 4월초 설정액 규모는 980억원, 순자산 규모는 1195억원으로 하나은행에서 판매중이다.

“펀드운용엔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파워엔진브릭스펀드를 운용하는 석희관 팀장은 이 펀드가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비결을 이렇게 말했다. 그는 수익률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은 최소 6개월 이상을 가지고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위험 발생 시엔 종목교체 및 편입비중을 조정해 적극적인 대응하고 있다.

투자종목의 최종 선정은 펀드규모나 운용기간 등을 고려한 자신만의 3·3·3법칙에 따라 결정한다. 국내 해외투자펀드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여서 벤치마킹할 대상을 선정하기 어렵기에 나온 고육책이다.

석 팀장은 1994년에서 해외투자펀드 1997년까지 홍콩 현지법인에서 채권 및 주식 트레이딩 업무를 맡았다. 그는 “해외 경험이 해외투자펀드를 운용할 수 있는 국제적 감각을 익히는데 기초가 됐다”고 말했다. 석 팀장은 브릭스펀드 외에도 10개의 해외투자펀드를 운용, 국내 최대 규모의 해외투자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석 팀장은 “내가 만일 1억원이 있다면 국내펀드 시장에 30%, 브릭스 같은 이머징마켓에 40%, 미국, 일본, 유럽과 같은 선진국 시장에 30%를 투자하겠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그는 투자에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고 역설한다. 그는 “국내 주가상승률을 10%정도로 예상하는데 세계 경제의 사이클 상 이머징마켓은 분명 그 이상의 수익률을 보일 것”이라며 “국내에만 국한된 투자의 눈을 세계로 돌릴 때”라고 권고했다. 단 이머징마켓은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높아 장기투자만이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충고했다.

석 팀장은 인도와 중국 시장은 지난해에 이어 연초 이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조정을 맞을 것이라 예상한다. 때문에 올해에는 펀드 내 러시아와 브라질의 비중을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2020년 01월 03일 10:5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19년 해외투자 변액보험 펀드들이 시장을 견인했다. 순자산과 수익률 측면에서 다른 유형의 펀드들에 비해 높은 성과를 실현했다. 국내에 비해서 해외 증시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한 해외투자펀드 영향을 톡톡히 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최고의 수익률을 차지한 펀드는 KB생명의 주가연계펀드(ELF)다. 여러 ELS에 펀드 재산의 해외투자펀드 대부분을 투자하는 전략이다. 수익률 상위 10개 중 5개가 같은 전략의 펀드다. 이밖에 중국, 미국 등에 투자하는 펀드들이 상위권에 올랐다.해외투자펀드

◇해외투자 순자산 증가…BIG5 보험사 '10조 클럽'

더벨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2019년말 국내 변액보험 시장 순자산은 101조6145억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말 95조3602억원에서 6.56%(6조2543억원) 증가한 규모다. 변액보험 리그테이블에서는 운용전략 신뢰 측면에서 최소한의 검증기준으로 100억원 미만 펀드를 순자산 집계에서 제외한다.

지난해 지역별 유형으로 해외투자 변액보험 펀드 순자산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19년 동안 2조7993억원 증가해 연말 기준 순자산은 11조1299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외투자펀드 해외투자 주식형 순자산은 6조5587억원으로 전년대비 1조6762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해외 증시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펀드 순자산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투자 변액보험 펀드 순자산도 같은기간 2조852억원 불어나 85조9445억원으로 집계됐다. 채권형 순자산이 27조8858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1조2003억원 늘었다. 국내투자 채권형은 전체 유형을 통틀어 순자산 규모가 가장 크다. 채권형 뿐아니라 주식형 순자산도 같은기간 8011억원 증가한 18조6280억원이다.

다만 국내투자 주식혼합형과 채권혼합형 순자산은 각각 884억원, 2883억원씩 감소했다. 전체 유형 중에서 순자산이 감소한 유형은 2개 뿐이다. 유형수익률이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금유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작년말 기준 순자산은 각각 19조2082억원, 13조8104억원에 머물렀다.

이밖에 국내외투자 변액보험 펀드 순자산은 4조5400억원으로 1년새 해외투자펀드 1조3698억원 증가했다. 순자산 증가율로 따지면 43.21%로 가장 큰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하위 유형중에서는 주식혼합형 순자산이 8714억원 증가해 3조원을, 채권혼합형 순자산도 4765억원 증가해 1조원을 각각 돌파했다.

보험사별 순자산은 삼성생명이 29조7775억원으로 2018년에 이어 부동의 1위다. 작년 한해 동안 순자산은 1조4029억원 증가했다. 순자산 기준 1~5위권 보험사들은 '10조 클럽'을 형성했다. 삼성생명의 뒤를 이어 한화생명(순자산 15조8239억원), 교보생명(15조2943억원), 미래에셋생명(10조6373억원), 메트라이프생명(10조2908억원) 순이다.

국내 22개 보험사가 출시한 변액보험 펀드수(100억원 미만 포함)는 1587개이다. 전년대비 135개 증가했다. 순자산 기준 중하위권에 속한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이 펀드수를 41개 늘려, 변액보험 펀드만 376개에 달한다. 보험사 중 최대치다. 하나생명과 KB생명의 작년말 펀드수도 107개, 134개로 지난해 동안 각각 37개, 30개씩 확충했다.

◇해외투자 주식형 26.52% 최고…KB생명 펀드 10위권 5개 포진

국내 변액보험 펀드 중에서 해외투자 주식형의 유형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2019년 26.52%를 기록했다. 연간 수익률 20% 이상의 유형으로는 유일하다. 뒤를 이어 해외투자 주식혼합형(유형수익률 16.81%), 국내외투자 부동산형(15.79%). 해외투자 채권혼합형(14.48%), 국내외투자 주식혼합형(14.38%)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해외에 투자하는 펀드 수익률이 높은 편이었다.

국내투자 변액보험 펀드들의 수익률도 양호했다. 연간 수익률 마이너스(-) 수치를 기록한 유형은 없었다. 다만 해외에 투자하는 변액보험 펀드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았다. 국내투자 중에서도 주식형 수익률이 11.19%로 유일하게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이어 기타형(6.94%), 주식혼합형(6.9%), 채권혼합형(5.13%) 등이 뒤를 이었다.

더벨 변액보험 리그테이블에 오른 펀드는 총 628개다. 이 가운데 2019년 연간 수익률이 가장 높은 펀드는 KB생명의 '주가지수ELS거치형34호'로 나타났다. 이 펀드는 수익률 48.48%, 순자산 129억원 규모다. 위탁운용사는 메리츠자산운용이다.

이를 포함해 KB생명의 변액보험펀드 5개가 수익률 상위 10위권 안에 포함됐다. 펀드는 모두 주가연계증권(ELS)에 자산의 최대 100%까지 투자하고, 나머지 자산을 채권이나 채권형펀드, 유동성자산에 투자하는 주가연계펀드(ELF)이다. 누적수익률은 13.18%이다.

수익률 2위에 오른 펀드는 수익률 42.9%를 기록한 미래에셋생명의 '중국본토주식형'이다. 2013년 3월 설정된 펀드로 순자산은 781억원이다. 펀드 재산의 60% 이상을 중국 본토 A주나 홍콩, 싱가폴에 상장된 중국 주식 등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위탁운용하는 펀드다. 누적수익률은 58.75%에 달한다.

ABL생명의 '글로벌테크놀로지주식재간접형',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의 '나스닥ETF재간접'도 각각 41.67%, 41.51% 수익률로 4위와 5위에 올랐다. 키움투자자산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이 각각 위탁운용을 맡고 있다. 두 펀드를 포함하면 수익률 상위권 5개 펀드 중 3개 펀드가 해외에 투자하는 펀드다.

이외에도 KB생명의 ELF를 제외하면 미래에셋생명의 '글로벌성장주식형', 오렌지라이프의 '차이나주식형본토' 등이 수익률 상위 10위권에 포함됐다. 두 펀드의 순자산은 작년말 기준 각각 1850억원, 1309억원으로 큰 편이다. 특히 글로벌성장주식형은 2012년 설정된 펀드로 누적수익률만 121.01%에 달한다.

▲ 22일 한국국제조세협회는 서울 여의도 IFC몰서 ‘2019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 권오혁(법무법인 광장) 변호사가 ‘Investment Funds(투자 펀드 및 관련 투자자 과세 문제)’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주제발표가 끝난 후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사모펀드 해외투자를 통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0인 이상의 집합투자기구로서 금융기관의 감시를 받는 공모펀드와는 달리 소수 투자자의 자본으로 이뤄진 사모펀드는 선택적 외부감사인의 감사 허용 등 규제의 강도가 느슨해 조세회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2일 한국국제조세협회는 서울 여의도 IFC몰서 ‘2019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권오혁(법무법인 광장) 변호사는 ‘Investment Funds(해외투자펀드 투자 펀드 및 관련 투자자 과세 문제)’를 주제로 다양한 투자 펀드의 종류를 설명하고 특히 사모펀드 해외투자를 통한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분야별 전문가들과 논의했다.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PEF)란 비공개로 소수의 투자자에게 자본을 출자 받아 기업이나 채권, 부동산에 투자해 수익을 보는 펀드를 말한다. 금융기관이 관리하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사인(私人)간 계약의 형태를 띠고 있어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는다.

투자자가 50인 이상의 집합투자기구인 공모펀드는 자본시장법에 의해 분산투자의 원칙, 시가평가의 원칙, 외부감사인에 의한 감사 등이 해외투자펀드 강제되고 있는 반면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 이뤄져 사적 자치의 원칙이 중시되고 시가평가 원칙의 부적용, 선택적 외부감사인의 감사 허용 등 공모펀드보다 규제의 강도가 느슨한 편이다.

느슨한 규제로 인해 실제 지난 1999년 사모펀드 해외투자를 통한 조세회피 사례가 적발된 바 있다. 1993년 해외투자펀드 3월 한 내국법인은 말레이시아와의 조세조약에 따라 유가증권 양도차익이 비과세되는 말레이시아 라부안에 역외펀드를 설립하고, 국내벤처기업이 발행한 해외 전환사채를 헐값에 인수해 250억 원의 이익을 실현했다.

내국법인은 역외펀드를 국내에서 사실상 운영했지만, 역외펀드가 법률상 말레이시아 법인임을 내세워 국내에서 납부해야 할 유가증권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을 탈루했다. 이에 국세청은 역외펀드에 대한 조세조약 혜택을 부인하고 국내세법에 따라 175억 원의 세금을 부과한 바 있다.

권오혁 변호사는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은 해외금융계좌 신고제도 등을 마련해 사모펀드 해외투자를 통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고 있지만, 이들 제도는 거주자 또는 내국법인이 현지법인을 설립하는 등 해외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에 주로 적용되고 자본시장법상 사모펀드를 통한 방법으로 간접 투자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실정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권 변호사는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투자자가 조세회피를 목적으로 펀드를 설정하는 사모펀드는 규제의 강도가 높은 공모펀드보다 조세회피의 가능성이 높은 만큼 사모펀드 해외투자를 통한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강구해야 해외투자펀드 할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김동욱(김앤장) 변호사는 “아직까지 대법원 판례와 2012년 7월부터 시행된 이른바 국외투자기구 과세제도는 과세의 대상이 되는 사모펀드 해외투자 소득의 실질귀속자가 누구인지 조차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실질귀속자가 누구인지를 우선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는 2012년 1월부터 일관되게 펀드가 소득의 실질귀속자라고 판단하고 있는 반면 2012년 7월부터 시행된 국외투자기구 과세제도(법인세법 제98조의4)는 펀드의 투자자가 실질귀속자라는 전제에서 투자자를 기준으로 조세조약을 적용하는 등 혼선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김 변호사는 “펀드 투자에 대한 투자위험은 투자자들이 부담하고 투자수익에 대한 세금 역시 투자자의 몫에서 공제된다는 점, 각종 비용을 공제한 최종적인 투자수익은 투자비율에 따라 투자자들에게 귀속된다는 점 등에 비추어 펀드의 투자자들을 실질귀속자로 보고 조세조약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라고 주장했다.

해외투자 시들해진 서학개미…'테슬라 사랑'은 여전

경제 2022년 07월 18일 16:40

해외투자 시들해진 서학개미…

© Reuters. 해외투자 시들해진 서학개미…'테슬라 사랑'은 여전

사진=REUTERS (기사와 무관) 글로벌 주요국의 강도 높은 긴축 정책으로 전세계 증시가 급락하면서 서학개미의 해외 주식투자 잔고가 급감했다. 이 와중에도 테슬라에 대한 올 상반기 순매수 금액은 오히려 약 90% 급증해 국내 서학개미의 '테슬라 (NASDAQ: TSLA ) 사랑'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투자잔액은 835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말(1005억9000만달러) 대비 17% 감소했다.

외화주식 투자잔액은 623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19.9% 줄었다. 외화채권 투자잔액(211억6000만달러)도 같은 기간 6.7% 해외투자펀드 감소했다. 특히 미국 서학개미의 투자잔액이 크게 줄었다. 미국 외화주식 보관 규모는 535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22.1% 감소했다.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서학개미의 해외주식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 상반기(1~6월)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결제금액은 총 2079억6000만달러로, 지난해 하반기(7~12월) 대비 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화주식 결제금액은 1679억9000만달러로 같은기간 12% 감소했다. 외화채권 결제금액(399억7000만달러)은 3.해외투자펀드 1% 증가했다.

해외주식 투자금액이 줄어들었지만 테슬라에 대한 투자규모는 오히려 늘었다. 올 상반기 테슬라에 대한 국내 투자자의 결제금액은 214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31.1% 증가했다. 순매수 결제금액(22억2000만달러)은 같은기간 93% 급증했다. 올 초 대비 테슬라 주가가 43.87%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서학개미들은 오히려 저가매수의 기회로 삼았다는 분석이다.

해외 고위험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투자도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나스닥100 지수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스 울트라프로 QQQ (NASDAQ: QQQ ) ETF(PROSHARES ULTRAPRO QQQ ETF·TQQQ (NASDAQ: TQQQ ))의 투자잔액은 15억19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약 14% 증가했다.

해외투자펀드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해외투자펀드가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국내 시장의 수익률 부진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해외투자펀드로 돈이 몰리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해외투자펀드가 빠르게 늘자 올해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리스크 관리실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해외투자펀드는 4020개로 전체 펀드 1만4370개 중 28.0%를 차지했다. 해외투자펀드는 자산운용사가 국내에서 자금을 끌어모아 해외 주식·채권·파생상품·부동산 등에 운용자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펀드다.

해외투자펀드는 2013년 말 1558개에서 2014년 말 1953개, 2015년 말 2465개, 2016년 말 2706개, 2017년 말 367개 등으로 꾸준히 성장했다. 이에 따라 전체 펀드 중 해외투자펀드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해외투자펀드 말 14.4%에서 지난해 말 28.0%로 상승했다.

최근 5년간 전체 펀드는 3563개 늘었는데 이 가운데 69.1%인 2462개가 해외투자펀드였다. 해외투자펀드의 설정액도 2013년 말 50조원에서 지난해 말 136조원으로 약 2.7배로 커졌다. 이에 따라 전체 펀드 설정액 대비 비중은 14.8%에서 24.7%로 확대됐다.

유형별로 보면 파생형이 960개로 가장 많고 재간접형(826개), 부동산형(566개), 특별자산형(524개), 주식형(498개), 혼합자산형(318개), 채권형(247개) 등 순이었다.

모집방법별로는 사모펀드가 2730개(67.9%)였고 공모펀드는 1290개(32.1%)였다.해외투자펀드 해외투자펀드

최근 해외투자펀드는 주식·채권형보다는 부동산·특별자산형이 더 빠르게 늘고 있다.

부동산형의 경우 2013년 말 91개에서 지난해 말 475개로 522.0%나 늘었고 선박·항공기·유전·지식재산권 등의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특별자산형은 165개에서 524개로 219.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주식형은 406개에서 498개로 22.7% 늘어나는 데 그쳤고 채권형은 137개에서 247개로 80.3% 증가했다.

금감원은 해외투자펀드 규모가 급속히 팽창하자 올해 자산운용사의 해외투자펀드에 대한 위험관리 실태와 내부통제 적정성을 점검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수년간 해외투자펀드의 덩치가 빠르게 커져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되는지, 운용상 문제는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특히 해외 부동산펀드가 많이 늘어 투자 이후 자산 가치 등에 이상이 없는지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