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진입 신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나민수 기자)

시장 진입 신호

글로벌 시장의 신호, ‘멀티 페르소나’

[2019 시그널, 2020 힌트] ① “신호는 데이터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미래에 대한 힌트”
밀레니얼+Z세대의 시그널. 페르소나·개인·分人+공정·책임·윤리 →인디 브랜드의 전성시대

#1 ‘립스틱 효과’를 읽는 법

경기 악화로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여성은 옷은 포기해도 화장품은 포기하지 않는다. 특히 립스틱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이른바 립스틱 효과다. 2008년 세계적인 금융위기에서 에스티 로더의 립스틱과 립글로스 매출은 늘었다. 이를 보고 모두들 경기불황이라고 진단한다. 하지만 경기불황일 때 반대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은 잘 판매될 것이라는 시그널이 아닐까?

그런 에스티로더도 미국 본토에서는 인디 브랜드에 밀려 체면을 구기고 있다. 에스티로더가 시장 진입 신호 닥터자르트를 인수한 배경은, K-뷰티가 예뻐서가 아니고 미국에서의 실적 하락을 메우려는 글로벌 전략 때문이다.

시그널(signal)은 어떤 일이 있거나 있을 거라는 신호다. 숫자로 표기한 데이터는 어제 일어난 결과만을 확인해준다. 따라서 데이터는 과거 지향적이다. 대부분 경제의 과거 실적이 어떤 식으로건 미래를 예측하는 잣대로 가정한다. 금융기관의 투자계약서에는 “과거의 수익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경고 문구가 반드시 적혀 있어야 한다. 과거를 미래에 대입하는 것은 그럴 듯하지만, 숫자보다는 신호에 주목해야 한다.

신호는 데이터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미래에 대한 힌트이다.(피파 맘그렘 저, ’시그널‘에서 인용)

#2 ’19년의 시그널

기자는 11~12월을 ’2020년 트렌드와 전망‘ 관련 각종 세미나, 자료, 보고서를 섭렵하며, 다양한 견해를 모았다. 한 해 동안 K-뷰티에게 보내는 각종 시그널을 발견했고, 2020년이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변화 여부가 성공과 실패의 첫 해라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이는 화장품산업 뉴스의 중심 – 씨앤씨뉴스의 기사모음에서 엿볼 수 있다. ’K-뷰티의 빛과 그림자‘에서 중국 시장 변화로 위기 시그널이 감지됐다. ‘중국 화장품 동향’은 로컬의 추격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브랜드숍의 중국 철수와 포지셔닝 문제를 꼬집었다. ‘중국수출사관학교’의 강의를 소개한 기사는, 현지 진출 기업의 고민과 중국 트렌드를 전달하는 정보 창구였다.

’새로 바뀌는 포장재법‘은 K-뷰티에게 친환경이 ’예외‘로 인정받아 안주할 일이 아닌 현실임을 보여줬다. 맞춤형화장품제도 시행은 규제와 안전을 현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며, 맞춤형(customize)의 가능성과 기술을 소개했다. ’부산화장품기업협회‘ 기사는 지자체와 화장품기업의 결합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를 조명했다.

’알렌 정의 마케팅 스토리‘는 마케팅의 신세계로 인도하는 길라잡이였다. ’이커머스 플랫폼‘,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유통 변화와 기업의 대응, 소비자 접점에서의 접근법을 다뤘다.

’제조원 표기 이슈‘는 글로벌 기업의 모방, 중국기업의 짝퉁, 거대 유통사들의 K-뷰티 견제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고발했다. ’2020 유럽이 기회다‘는 화장품의 본고장 유럽에서의 피할 수 없는 한 판 승부를 예고했다. K-뷰티의 글로벌화를 위해서, 유럽의 견제를 뚫는 역동성이 필요하다는 기획이었다. ’화장품 성분‘은 EWG의 허구와 쇼핑몰 ’화해 앱‘의 성분 마케팅을 비판했다.

‘화장품 수출동향’은 매월, 분기별로 K-뷰티가 세계 시장에서 고전하는 데이터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이 와중에 보건복지부의 ‘화장품산업 미래 육성 계획’은 ‘만시지탄의 감은 있지만, 없는 것보단 나았다. ’화장품업계 인수전‘ 기사는 K-뷰티의 긍정적 평가라는 면도 있지만 성장 동력 상실과 기업가정신 실종이라는 문제점을 낳았다.

미투와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제조사의 갈등, 끊이지 않는 오너리스크 문제를 다룬 기사는 기업문화를 들여다 본 장업계 최초의 기사였다. 화장품산업이 국가 유망 5대 소비재 품목으로 꼽히면서 K-뷰티로 포장된 이면의 민낯이 국민 관심사로 떠올랐다. 향후 국민의 사랑을 시장 진입 신호 시장 진입 신호 받는 소비재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 업계의 윤리의식을 고양시킬 필요성이 대두됐다.

2019년 씨앤씨뉴스에 비친 화장품업계의 시그널은 2020년 변화의 소용돌이가 되어, 새로운 K-뷰티를 예고하고 있다.

#3 소비자 ’개인‘ 선택이 트렌드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2020년 트렌드로 ’위기를 극복하는 용감한 히어로, 마이티 마우스(MIGHTY MICE)’를 선정 발표했다. 10개 키워드 중 맨 앞에 내세운 게 ‘멀티 페르소나(multi persona, Me and myselves)’다.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최지혜 박사는 ”페르소나는 심리학에서 타인에게 비치는 외적 성격을 말한다. 다매체 사회에서 현대인들은 모드 전환에 능해졌고 상황에 따라 삶의 방식이 세분화 됐다“고 설명한다. 덧붙여 ”인간은 천 개의 페르소나를 갖고 있고 상황에 맞게 꺼내 쓴다“(C.G. 융)는 글귀를 인용했다.

그 배경은 집단, 혈연, 직업 정체성의 약화다. 인터넷의 정체성 이동(trans-identity)은 SNS의 다계정으로 시장 진입 신호 나타난다. 셀카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 때문에 ”페르소나의 가면을 쓰는 소비자들이 그 가면이 진짜 자기라고 믿는 현상인 ‘디지털 허언증’이 만연하고 있다“고 최 박사는 분석했다.

이를 반영하는 소비 유형이 ①양면적 소비(가성비 vs 프리미엄의 공존, 야누스 소비, 일품명품/일점호화 트렌드 ②직업이 아닌 취향에 따른 공동체 형성 ③캐릭터와 굿즈(goods) 열풍 ④패션/연예계의 젠더 정체성 변화 ⑤느슨한 연대의 증가 등이다.

기업은 매체와 시장 진입 신호 상황에 맞는 다면(多面)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해졌다.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고, 마지막 접점에서 즉각 느낄 수 있는 만족(Immediate satisfaction)이 중요해졌다. 새벽 배송이 리테일의 유행이 된 것은 라스트 마일에서 라스트 핏(fit)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최근 코트라(KOTRA)는 ‘2020 세계 주요지역별 시장 진출 전략’을 발표했다. 글로벌 시장도 ‘개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earticle

The paper tests Klaassen & Jager(시장 진입 신호 2011) model which is one of Exchange Market Pressure models (EMP model) by applying it in two Korean financial crises occurred in 1997 and 2008. Specifically, we investigate Korea’s two currency crises from 1996 to 1998 and from 2007 to 2009 by using Girton & Roper (1977) model, Weymark (1995) model, Pentecost et al. (2001) model, and Klaassen & Jager (2011) model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each other to prove their argu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currency crises last for multiple periods, Klaassen & Jager model shows that the pressure does not plummet and is sustained during the periods. On the other hand, other models fail to do so and we can see the superiority of Klaassen & Jager model. Second, other models also hardly catch pressure before the crises while Klaassen & Jager model relatively easily does that. This indicates Klaassen & Jager model is better than other models to explain economic phenomena. Lastly, except Klaassen & Jager model, Pentecost et al. model which adds first-deference interest rate component is better than other two models because Girton & Roper model and Weymark model does not add interest-rate component and underestimate the role of it as a tool to control the exchange rate. For this reason, they fail to show existing pressure in currencies well before currency crises are observable.

환율변동위험 예측은 기업의 국제경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모형 중 하나인 외환시 장 압력 모형 (exchange market pressure model)은 시장 진입 신호 국가의 환율 정책과 관계없이 국내 외환시장에 존재하는 환율 하락 압력을 측정 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본 연구는 외환 시장압력 모형 중 하나인 Klaassen & Jager(2011) 모형을 아시아의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외환위기 사례에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검증 방법으로 그동안 가장 널리 인정받은 외환 시장압력 모형인 Girton & Roper(1977) 모형, Weymark(1995) 모형, Pentecost et al.(2001) 모형, Klaassen & Jager(2011) 모 형 등 총 4개의 외환 시장압력 모형들을 한국,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의 총 5개 국가가 외환위기를 겪은 1996년부터 1998년, 그리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월별 총 72시기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해 나온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Klaassen & Jager 모형은 외환위기가 다중 기간 계속될 경우 외환시장 압력이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어 외환위기로 인해 그 국가의 통화에 존재하는 압력을 계속해서 포착하는 반면에 다른 모형들은 이에 실패하고 있다. 두 번째 로 다른 모형들은 외환위기가 발생하기 전에 그 신호로서의 압력을 포착하기 어려웠으나 Klaassen & Jager 모형은 존재하는 압력을 비교적 쉽게 포착하여 현실을 설명하는데 더 적절한 모형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그리고 세 번째로 Klaassen & Jager 모형을 제외하면 이자율을 구성요소로 포함한 Pentecost et al. 모형이 나머지 두 모형보다는 그나마 위에서 지적한 기존 모형들의 단점들이 적게 나타 나는데 그 이유는 Girton & Roper 모형과 Weymark 모형은 환율과 보유 외환만을 외환 시장압력 모형의 구성요소만으로 포함해 환 율을 고정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이자율의 역할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약
I. 서론
II. 외환시장 압력모형 리뷰
III. 자료 및 시장 진입 신호 추정 방법
IV. 추정 결과
V. 강건성 테스트 (Robustness Check)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철도신호 종합 엔지니어링 시장 선도

㈜경인기술(회장 정진흥·사진)은 1995년 설립 후 철도신호 설계·감리 분야에 주력해오며 현재 철도산업분야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기업은 차별화된 기술력과 연구개발(R&D) 중심의 핵심 역량으로 열차제어시스템, 신호제어시스템, 통신시스템 및 전력 공급 시스템 등을 제공하며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해왔다.

경인기술의 철도 사업은 고속철도 및 경전철과 신교통 시스템을 아우른다. 이는 전기, 철도신호, 통신, 철도차량, 승강장 스크린도어, 운전 및 운영 분야로 시장 진입 신호 세분화된다. 사업 계획과 경제성 분석은 물론이고 설계 감리, 시공 감리 등 전반적인 철도 시스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정진흥 회장은 1972년 철도청에서 근무한 뒤 1988년 대우엔지니어링에서 엔지니어로서 일한 풍부한 실무와 현장 경험을 갖춘 경영인이다. 현재 한국철도시설공단 기술자문 위원, 서울교통공사 기술자문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기술력의 중요성을 알리고 기술 본위의 정도 경영으로 기업의 미래가치를 높이고 있다.

철도 분야별로 전문화된 조직 분류를 실시해 직원들의 전문성을 높이는 환경과 고속철도·도시철도·일반철도 등 사업 전담부서를 두고 직원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분야별로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직원들의 역량을 높여 나가고 있다.

정 회장은 “고속철도 설계기술은 국내에서 단연 1위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경인기술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부장 이상의 직원들이 대리 및 사원급을 지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주요 철도건설 현장에서 쌓은 실무경험이 전문성으로 이어지는 ‘기술 우선의 정도 경영’을 펼치고 있다.

경인기술은 그동안 짐바브웨 철도신호 현대화 사업, 방글라데시 동부철도 신호 시스템 현대화 사업 컨설팅 용역, 대만철도 타이둥 외 3개 시장 진입 신호 역 전자연동장치 구축 설계, 필리핀 마닐라 메트로 7호선 설계 등을 수행했으며 사업 다각화로 해외 철도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시장 진입 신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나민수 기자)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나민수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최근 정부의 대출 규제와 공급 증가 신호로 인해 집값 하락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다만, 고가 주택이 많아 이미 대출규제를 받는 강남권은 신고가를 갱신 중이며, 중저가 주택이 있는 강북권에서 상승률이 둔화하는 등 집값 희비가 엇갈렸다.

2일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제공 앱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의 매물은 8만8814건으로, 지난해 같은날 6만7082건에 비하면 32% 증가했다. 지난 9월 7만여 건과 비교해도 서울에서 집을 내놓은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매물 증가는 매수우위지수에서 명확히 보여준다. KB부동산에서 10월 마지막 주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79.4를 기록하면서, 지난 4월 첫째 주(75.3)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기준점인 100보다 아래일 경우 집을 사고자 하는 이보다 팔고자 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으로, 한 달 째 △96.9 △94.5 △86.1 △79.4로 100을 밑돌고 있다.

이같은 통계가 지속하다 보니 정부는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에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최근 주택시장은 정부의 다각적 공급확대와 강도 높은 가계부채 관리 등이 시장 진입 신호 이어지면서 과열국면에서 벗어나는 흐름이 강해지는 양상"이라며 "주택시장이 안정 국면으로 진입하는 초기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또한 "상승 추세가 주춤하고 시장 심리 변화 조짐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부동산 시장이 안정되고 있는 모양새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3구와 그 외 나머지 곳들은 희비가 엇갈렸다. 주택담보대출이 나오지 않는 시세 15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3구는 신고가도 나오는 반면 15억원 미만 아파트로 대출 규제 영향권에 있는 자치구는 은행 대출이 막히면서 집값 상승세 둔화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강남구 개포동 개포레미안포레스트 전용면적 59.92㎡(15층)가 지난달 20일 22억2000만원으로 거래되면서 한 달 전보다 1억원 올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재건축 이슈가 있는 강남구 대치동 대치우성1차 전용 84㎡(14층) 또한 지난달 16일 25억9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최고가를 기록했다.

(자료=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

(자료=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

특히 강북과 강남권 상승률을 비교하면, 지난 8월에는 강북권 상승률이 더 높았으나 9월 마지막 주부터 강남권 상승률이 더 커진 모양새다.

전문가들도 집값 강세가 지속할 거란 신호가 사라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통계상 집값 하락 신호 보이는데, 이는 대출 규제로 인한 성격이 크고 아무래도 대출할 수 있고 집값 상승이 컸던 노·도·강 쪽이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며 "하락 신호가 장기적으로 진행된다면, 서울 외곽이나 수도권 쪽에서 약간 조정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일단 데이터상으로 이제 강세가 계속 유지 된다고 볼 수 없을 것 같다"며 "일부 단지들은 신고가를 기록하고는 있지만, 최근 거래량이 떨어지고 있어서 상승에 대한 안정성과 탄탄함은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시장 진입 신호

SCMP "시장, 핀둬둬-메이투안 지분 매각할지도 주목"

(서울=연합인포맥스) 선재규 기자= 텐센트(HKS:0700)가 징둥닷컴과 시 리미티드 지분을 처분하는 것이 중국 당국 규제 강화 탓도 있지만, 메타버스 등 새로운 디지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는 비즈니스 전략 전환 성격도 짙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SCMP는 5일 이같이 전하면서, 텐센트가 상당 지분을 보유해온 핀둬둬(NAS:PDD)와 메이투안(HKS:3690) 투자도 거둬들이는 게 아니냐는 투자자 불안감도 가시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텐센트는 지난 9월 말 종료 분기 기준으로 메이투안 지분 19.4%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핀둬둬 시장 진입 신호 지분 보유율은 15.6%로 텐센트의 2021년 4월 연례 보고서가 집계했다고 SCMP가 덧붙였다.

텐센트는 160억 달러어치의 징둥닷컴 지분 처분 방침을 최근 공개했다.

또 싱가포르에 거점을 둔 전자상거래 기업 시 리미티드 보유 지분도 매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 관계자는 "시 리미티드가 상대적으로 성숙하고 안정적이며 재정적으로도 자립 기반이 구축됐다"면서 "따라서 더는 텐센트와 함께 갈 필요가 없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텐센트 입장에서도 징둥닷컴과 시 리미티드 투자를 회수해 메타버스 등 새로운 디지털 시장 개척에 더 주력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