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모이는 바다를 찾아서
저는 초보 주식 투자자입니다. 저는 처음에 주식 투자를 시작할 때, 원금에서 손실이 나면 큰일나는 것처럼 생각해서, 일단 어떤 주식을 샀다가 떨어지면 계속 갖고 있고, 오르면 바로 파는 방식으로 매매를 했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렇게 하면 수익률이 좋을 수가 없습니다.
주식을 매매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제각각 다릅니다. 그리고 그러한 방법들 중에 옳은 방법도, 틀린 방법도 없습니다. 다만 수익이 날 확률이 높은 방법과 손실이 날 확률이 높은 방법만 있을 뿐입니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주식을 사면서 '날씨가 좋아서 주식을 샀다가 날씨가 나빠져서 팔았다' 거나, '이 회사 이름이 마음에 들어서 샀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 대상 기업과 전혀 무관한 요인으로 결정해 버릴 바에야 차라리 복권을 사는 것이 나을지도 모릅니다.
주식 매매를 함에 있어서 사람들은 보통 2가지를 봅니다. 해당 기업이 어떤 기업인지, 그리고 주가의 흐름이 어떠한지입니다. 이 두 접근법을 각각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물론 모든 투자자는 이 둘 모두를 봅니다. 하지만 어떤 것을 더 중요하게 볼지는 시장 상황과 각 투자자의 생각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적 분석
대상 회사가 어떤 회사인지, 어떤 업종에 있고, 어떤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기술력을 갖고 있고, 시장 지배력은 어느 정도인지, 최근 매출이나 영업이익은 어느 정도를 달성했는지 등 회사의 성과 및 재무적인 상태 등을 참고하는 것을 기본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기술적 분석
주식 거래가 이루어지다보면 필연적으로 데이터가 쌓이게 되며 이는 차트로 표현됩니다. 이 차트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Stochastics, 이동평균선, 볼린저 밴드, OBV 등 여러 보조 지표를 동원해서 현재까지의 흐름이 어땠고, 앞으로 어떻게 주가가 변할지 예측합니다. 이런 방법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초보 투자자의 한계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모든 투자자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모두를 합니다. 둘 중 하나만 하는 투자자는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초보 투자자들은 아예 기본적 분석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기술적 분석에 지나치게 편중된 경향을 보이기 쉽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단, 기본적 분석을 위해서 어떤 것을 봐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회사의 영업이익이 얼마인지 보는 방법도 모르고, 봐도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모릅니다. 어느 업종에 있는지, 관련 업종에 있는 다른 회사들은 어떤 추세를 보이는지 등까지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반면에 기술적 분석은 상대적으로 직관적이며 쉬워 보입니다. HTS나 MTS에서 종목을 검색해 보면 기본 화면은 항상 차트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주식 초보 투자자들은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차트 분석이 주식 투자의 기본인 것으로 여기게 됩니다. 그리고 여러 종목의 차트를 번갈아가면서 보다 보면, 초보자임에도 불구하고 어느새 전문가가 된 것마냥 주가의 흐름이 눈에 보이는 것 같습니다. 이 주식이 오를지 내릴지 느낌이 옵니다. 여기에 자신의 느낌을 뒷받침해 줄 보조지표 몇 가지를 보고 나면 자신의 느낌은 확신으로 바뀝니다. 그 확신으로 매매하게 되는 것입니다.
저 역시 그랬습니다. 차트에 있는 주가와 거래량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지표들을 보면서 신기해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며 흥미를 느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런 기법들은 과거를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비교적) 잘 설명해 주기 때문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함정
매매는 주식을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 사이의 거래이고, 이 거래 데이터가 누적되면 그 자체로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함정이 있습니다.
첫째, 차트는 과거의 데이터입니다. 여러 과거의 데이터를 두고 귀납적으로 하나의 '추론'을 할 수 있을지언정, 연역적인 절대법칙을 만들어낼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 '추론'이 맞는다면 다음 번에는 더 강한 '추론'을 낳을 뿐, 그것이 항상 맞는다고 보장하는 것은 그 누구도 불가능합니다.
둘째, 다른 현상을 두고도 같은 해석이, 그리고 반대로 동일한 현상을 두고도 상반된 해석이 가능합니다.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지표는 굉장히 많습니다. 게다가 같은 지표더라도 파라미터(예를 들면 이동평균선의 기간, 60MA와 120MA 등)를 달리 하면 사실상 다른 추세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서로 상반된 현상임에도 비슷하게 끼워맞추는 해석도 가능하고, 같은 현상인데도 전혀 다른 해석도 가능합니다.
그 어떤 다른 투자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주식 투자에서는 10번의 화려한 성공보다 단 한 번의 실패가 더 치명적이라고들 말합니다. 내가 뛰어난 기술적 분석을 통해 10번을 성공했더라도 단 1번이라도 복구할 수 없는 실패를 한다면 그것이 위험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을 하더라도 그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여러 장치가 필요한 것은 당연합니다. 분할매수, 분할매도, 손절선 지키기 등이죠. 어쨌든, 귀납적 추론만 가능한 기술적 분석만으로 투자의 모든 결정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뜻입니다.
나의 투자 방법 설정
어떤 분야이든지, 투자를 제대로 하려면 공부를 해야 합니다. 부동산도 그렇듯이 주식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주식에 대한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앞으로 어떻게 투자할지 방법을 아래와 같이 세워 보았습니다.
- 기본적 분석을 기본으로 해서, 어떤 종목을 매수할지 정한다.
- 해당 종목을 언제 매수할지는 기술적 분석으로 한다. (다만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나면 기본적 분석이 달라지게 되므로 매수하기로 마음먹은 종목은 1개월 안에 매수한다.)
- 매수한 종목은 매도 결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기본적 분석을 다시 한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차트만 보고 매수/매도하지는 않아야겠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기본적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부터 공부해 볼 생각입니다.
기본적 분석의 이해(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재무비율)
주식투자 종목 선정에 있어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두 개 부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글로벌 매크로 환경인 경제분석(경기, 환율, 금리, 물가, GDP 등), 산업분석(특성, 진입장벽, 가격동향, 수급..)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고 기업(기술경쟁력, 시장점유율, 브랜드 가치 등) 분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국제 정치 및 경제상황의 흐름과 주가 변동의 요인이 되는 경기, 금리, 환율 변동 및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느끼는 심리를 이해한 후, 투자할 종목이 돈은 잘 벌고 있는가? 앞으로도 돈을 잘 벌 것인가? 를 살펴보고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이 번 글에서 투자할 종목의 기본적 분석 내용 중 재무제표상에서 투자판단에 참고할 요약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주요 재무비율에는 어떠한 항목이 있고 내용은 무엇인지 Study 해볼 것입니다.
종목 선정을 위한 기본적 분석
대차대조표, 포괄손익계산서
아래 그림은 KOSDAQ 상장기업 리노공업의 대차대조표, 포괄손익계산서 내용을 샘플로 제시하였으며 집계하는 각각 지표의 의미를 이해하고 투자종목 선정 시 참고 바랍니다
리노공업 대차대조표, 포괄손익계산서 - 자료출처 KB증권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 경상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 수익 - 영업외 비용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경상이익 + 특별이익 - 특별손실
- 당기순이익 =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법인세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임차료, 접대비, 감가상각비, 세금과 공과금, 광고선전비, 경상개발비, 대손상각비, 기타 관리비(여비교통비, 통신비, 교육훈련비, 수선비, 수도광열비 등)
관계회사에 대한 대부금 이자 도는 지주에 의한 배당금, 수입이자, 할인료, 유가증권이자, 수입배당금, 주식 배당금, 신주인수권, 처분이익, 원가 차익, 수입임대료, 유가증권 처분이익, 매입할인, 외환차익, 외환환산이익, 잡수익 등
지급이자, 매출할인, 할인료, 사채이자, 창업비 상각, 신주발행 비상각, 연구개발비 상각, 기타 대손 상각, 유가증권 처분손실, 유가증권평가손실, 투자자산평가손실, 원가 차손, 외환차손, 기부금 등
채무면제 이익, 자산 수증이익, 보험차익
고정자산 처분손실, 투자자산 처분손실, 재해손실, 보험 차손
비율 분석의 이해
P/E Ratio (주가수익비욜)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비율, 투자 종목의 위험과 성장률을 포함한 대용치로 유의성이 있으나 주가를 순이익으로만 평가하고 기업 간 회계처리의 상이할 경우 비교 평가에 한계가 있습니다.
P/B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시가총액 / 순자산,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고 P/E와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내어 현시점에서 보유한 기업의 순자산 청산가치와 동일한 개념입니다.
P/S Ratio (주가 매출 비율)
시가총액 / 매출액, 주가가 1주당 매출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비율
주식투자지표 EPS,DPS,PBR,ROE 용어정리
주식투자지표 EPS, DPS, PBR, ROE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Let's go! Happy together!! 정거장은 있어도 종착역은 없다, [산비탈 사는 이야기] 산비탈입니다. 2020년에 지옥과 천당을 가며 결국은 연말에 연중
주요 재무비율 용어의 정리
매출 증가율 = [ ( 당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 / 전기매출액 ] * 100
매출 증가율은 기업의 외형적 성장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고 산업평균이나 경쟁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증가율은 해당 기업 시장점유율이 증가함을 의미하므로 경쟁력을 측정하는 재무비율로 유용하다 할 것입니다
순이익 증가율 = [ ( 당기순이익 - 전기 순이익 ) / 전기순이익 ] * 100
기업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익창출이므로 당기순이익 증가는 성장성의 중요한 척도이며 순이익의 증가는 영업활동의 성과인 경상이익뿐만이 아니라 특별 손익 등 모두 반영한 경영성과입니다
총자본 순이익률 = ( 순이익 / 총자본 ) * 100
총자본 수익률을 투자수익률(ROI) 이라고도 하며 기업이 주어진 총자산을 수익 창출 활동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였는지 측정하는 종합지표이며 기업의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비를 차감한 가치로 평가합니다.
자기 자본 순이익률 = ( 순이익 / 자기 자본 ) * 100
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주주들의 지분인 자기 자본에 대한 자본 사용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수익성 지표로 ROE라고 하며 주주의 입장에서 자기 자본의 투자 효율성을 나타내는 수익성 비율이므로 개별 주식이 갖는 위험을 감안하여 주주들이 최소한 요구하는 요구수익률보다는 높아야 합니다
주요재무비율, 리노공업 매출증가율 - 자료출처 KB증권
매출액 경상이익률 = ( 경상이익 / 매출액 ) * 100
이자비용을 제한 매출액에 대한 이율로 부채 비중이 클 경우 이에 대한 확인이 중요하며 매출앧여업이익율과비교해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 ( 영업이익 / 매출액 ) * 100
영업이익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이익의 규모이므로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이익 규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익성 지표입니다.
금융비용 / 매출액 비율 = ( 금융비용 / 매출액 ) * 100
기업 경영활동은 내부 자금 외 금융기관 차입금,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기업은 차입금이자, 채권이자 등 금융비용을 부담하게 되는데 매출액 대비 금융비용 부담이 크면 부실화될 가능성이 많은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EBITDA 대비 금융비용 = ( EBITDA / 금융비용 ) * 100
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로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를 공제하기 이전의 수익을 말합니다.
부채비율 = ( 총부채 / 자기 자본 ) * 100
부채비율은 부채와 자기 자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율로 기업경영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재무비율이며 자본조달에 있어 타인자본 비용은 자기자본 비용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부채 사용이 증가하게 되면 기업의 수익성 증가에 기여하게 되기도 하지만 부채비율이 높아지면 이익의 변동폭이 증가하여 주주들이 부담하는 재무위험이 높아지게 되고 지나치게 높으면 도산의 위험이 높다 할 것입니다
차입금 / 매출액 비율 = ( 차입금 / 매출액 ) * 100
매출액과 차입금을 비교함으로써 안정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익 증가는 매출 증가가 선행된다고 볼 때 차입금을 갚을 수 있는 재원의 정도를 측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보율 = 잉여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 / 납입자본금 * 100
유보율은 기업 측면에서 재투자 재원의 건전성과 경영활동 성과를 나타내 주며 주주 측면에서 부가가치 증가 정도를 나타내 주는 지표로 유보율이 높으면 배당 측면에서 유리하고 기업 활동 자원을 내부적으로 조달, 재무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총 C/F 대 차입금 비율 = ( 총 Cash flow / 차입금 ) * 100
실제 들어온 돈과 차입금을 비교하는 것으로 기업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배당, 배당성향
- 주당 현금배당률 = ( 주당 현금배당액 / 액면가 ) * 100
- 배당성향 = ( 주당현금배당액 / 주당순이익 ) * 100
2008~2021년 리노공업 배당금 지급현황 - 자료출처 KB증권
기업활동에서 이익금은 주주에게 배분할 수도 있고 재투자하여 성장 재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업의 성숙기엔 신규 투자보다 이익금을 주로 배당을 주려는 경향이 있고 성장기엔 향후 더 큰 이익 및 기업성장을 위해 배당으로 사용하기보다 재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 성장과 함께 주가 수익률 제고로 시세차익을 얻을 것인가? 안정적인 배당금으로 현금흐름을 만들 것인가? 에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대한 투자의 정답은 없을 것이므로 각자 상황에 적절히 선택과 집중의 혜안을 내시기 바랍니다
현금흐름표 활용 투자기업 선정
기업의 회계상 거래에서 반드시 현금이 오고 가며 이루어지지는 않는데 수익으로 잡아도 돈이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고 비용만큼 실제 돈이 나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현금의 유출입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렇게 작성되는 것이 현금흐름표입니다
현금흐름표에 의한 기업평가
- 영업활동 현금흐름 = 현금유출 없는 비용 가산 ( 가가 상각비, 사채 할인발행, 차금 상각 등), 현금 유입 없는 수익 차감 ( 유가증권 처분이익, 유가증권평가이익, 사채 상황 이익 등 ), 영업활동 자산부채 변동 ( 매출채권, 매입채무, 재고자산, 미수수익, 선수수익, 선급비용, 미지급비용 등)
- 투자활동 현금흐름 = 유형자산 취득
- 재무활동 현금흐름 = 차입금 증감, 자사주 매입
영업/투자/재무 현금흐름에 따른 분석
- 초우량기업 = 영업활동으로 버는 돈으로 차입금을 갚아가며 왕성한 투자 활동
- 신규 성장기업 = 높은 성장성으로 투자 활동 활발, 영업활동으로 버는 돈만으로 충당이 어려워 신규 차입이나 유상증자 등으로 자금 충당
- 재활기업 = 불필요한 투자 회수, 차입금 상환 과정을 잘 거치면 신규성장 기업과 유사한 현금흐름 구조로 개선할 수 있음
위험기업 = 영업활동으로 돈을 벌지 못하고 있으며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매수하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크다.
Closing remarks
투자 종목 선정에 있어 기본적 분석 내용 중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재무비율 분석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경제적 독립을 향한 주식투자 열풍과 개인 미디어 발달로 인해 투자 추천 채널과 전문가들이 넘쳐나는 시대입니다.
그들이 정말 그렇게 투자를 잘한다면 혼자 투자하여 돈 벌지 왜 방송에 나와 부추기고 있을까요? 출연료 받고 채널 수익 얻으려는 마음뿐일 것입니다.
자칭 전문가들의 종목 추천은 100% 투자 소음이라 생각하고 본인이 공부하여 알고 투자하여야 합니다.
시황에 따라 관점이 매일 바뀌고 자극적인 말만 쏟아내는 전문가들을 멀리하고 그 시간에 조금이라도 영원히 나에게 도움이 될만한 투자 공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7월 5주차, E트렌드 20대 서포터즈 조별 대결 [종목 선정 및 분석]
총 47명의 서포터들이 조를 이루어 매주 2종목을 선정하고, 종목들의 상승률을 산정하여 조별 대결을 펼칩니다.
강흥보 센터장이 직접 관리하는 서포터들의 성장과정을 지켜봐주시기 바랍니다.
선정 종목: LG화학, 비에이치, 크래프톤, 롯데쇼핑, CJ대한통운, LG이노텍,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호텔신라, 코스맥스, LG에너지솔루션, 한국항공우주, 파인테크닉스, 신한지주, 신세계
*서포터즈 1기 활동기간: 21년 9월~
*서포터즈 2기 활동기간: 22년 1월~
*서포터즈 3기 활동기간: 22년 4월~
*서포터즈 4기 활동기간: 22년 7월~
1. LG화학(051910)
- 석유화학, 첨단소재, 생명과학 사업 영위
- 현재 시총 약 40조원이며 2021년 기준 매출액 42조 6547억원, 영업이익 5조 255억원이므로 여전히 저평가
- 폐식용유 등 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페놀, 아세톤 첫 수출 예정으로 지속가능소재시장 공략
- 일봉 삼각수렴 4차 돌파 진행중
- 일봉 스토케스틱 3파동 모두 상승중이므로 강한 상승 에너지 기대
- 현재 구간에서 이전 3차 저항구간에서 있었던 매물대로 인해 잠깐의 횡보는 있겠지만 63.7만원까지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 높음
- 1달, 1년 기준 외국인이 꾸준히 매입한 종목
2. 비에이치(090460)
- 2분기 비수기이나 호실적 예상 및 3분기부터 성수기
- 차량용 무선충전 사업 인수 -> 23년부터 실적 본격화
- 최대 경쟁사 삼성전기의 RFPCB 사업철수 -> 고수익성 제품군 점유율 상승
- 향후 태블릿, 노트북 등 OLED 채용 범위 확대 기대
- 이전 횡보자리의 상단 밴드였던 24,000원 라인 매물대에서 다시 지지해주며 상승의 발판을 다진 모습
- 큰형, 막내 파동 각도상 올라갈 가능성 커보이며 전고점을 넘길 가능성 역시 상존
- 주봉상 삼각수렴 4차 돌파중, 일봉상 전고점과 추세선에 대한 부담이 있으나 눌림 매수 유효하다고 판단
1. 크래프톤(259960)
- 2Q22 영업이익 1,557억원(YoY -11%) 컨센서스 하회할 전망
- 2Q22 PC게임의 성장률은 YoY +11% 전망 모바일은 -5% 전망으로 1Q22의 61%, -1%와 비교해 성장률이 낮음
- 22년 출시 예정인 칼리스토프로토콜의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마케팅 비용이 3분기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
- 3분기부터 무료화한 PC게임의 ARPU 상승과 모바일 게임의 대규모 업데이트로 인한 매출 증가 기대
- 22년 12월 2일 출시 예정인 칼리스토프로토콜의 흥행 실패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평가 오히려 대박 흥행도 기대
- 21년 11월 17일에서 그은 고점 추세선을 22년 7월 21일 양봉으로 돌파한 상황
- 캔들이 20일선과 60일선을 돌파하여 올라왔으나 120일 이동평균선 저항을 맞고 내려온 상황
- 일봉 스토캐스틱 파동 막내는 과열권 진입 폼을 보이고 있으며 둘째는 살짝 누웠고 큰형은 아직 상승폼을 보여주고 있음
- 시장이 밀리지 않는다면 다시 120일선 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보이며 시장이 밀린다면 237000-238000 까지 눌렸다가 278500 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판단
2. 롯데쇼핑(023530)
- 2Q22 영업이익 YoY 649.7% 성장한 568억원 추정. 컬처웍스, 백화점, 마트는 영업이익이 증가한 반면 이커머스, 하이마트는 감소하였음
- 거리두기 해제 후 패션 성장세가 전체적인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영화관 내 팝콘취식 가능해진 것과 신작 영화들이 흥행하면서 롯데시네마의 성장률이 반등한 것으로 추정됨
-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의 가능성이 확인됨. 국민투표를 통해 의무휴업 폐지시, 롯데마트에 연 3,840억원 수준의 매출 순증 기대.
- 컬처웍스 매출액 YoY 115.7% 성장했으며 영업적자는 YoY 300억원 개선된 60억원 예상.
- 백화점/아울렛의 이익 창출과 리오프닝에 따른 컬처웍스 반등 등으로 영업이익 반등세가 더욱 강해질 것.
- 롯데쇼핑 일봉상 구름대 돌파후 헤드엔숄더가 나오면서 하락이 나오는중 그후 구름대를 재돌파하면서 지지라인이 형성됨 현재 위치부터 가격별로 분할매수를 하는것을 추천함
- 일봉 3형제 전체적으로 약한 우상향중, 240분봉 3형제 막내는 꺽이는중 두형은 약간씩 우상향중, 60분봉 3형제 막내 우상향중 둘째 흐름 전화중 큰형 하락중
- MACD는 강한 침체에서 빠르게 중립까지 회복됨
- 투심은 평범 VR도 평범으로 전체적인 거래량은 평범함
- 손절을 하기 싫으신분들은 기다리면서 쌍바닥 나오고 매수 하는것을 추천함
1. LG화학 (051910)
- 2차전지소재/IT소재 중심 성장하면서 첨단소재 사업 이익 성장 이어질 전망
- 높은 Downstream 경쟁력으로 최악의 업황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 실적
- 2023년에는 하이니켈 비중이 80%이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수익성 개선 여지 있음
- 고점대비 50% 이상 하락하고 437000원을 바닥으로 저점을 높여가는 중.
- 큰형 바닥에서 골든크로스 만들고, 둘째와 막내도 상승중.
- 이평선 수렴하고 있고, 와중에 5%대 상승 보여줌.
- 전고점 깨지 못하면 박스권 내 횡보 이어갈 가능성 있음.
- 막내 골든 크로스, 둘째는 하락세.
- 큰형 바닥에서 완만하게 올라오는 모습.
2. CJ대한통운 (000120)
- 1분기 택배 노조 파업으로 부진했던 택배 사업 정상화되며 실적 개선 기대
- 하반기 점유율 48.5% 까지 회복될 것으로 예상
- 경쟁사 단가 인상으로 동사의 단가 경쟁력 하반기에도 부각 전망
- 큰 하락이후 바닥 다지며 횡보하는 모습과 함께 저점을 높이는 쌍바닥 차트 패턴
- 스토캐스틱 막내 상승, 둘째 쌍바닥, 큰형 꺾이는 중으로 단기적으로 추세 상단 도달할 것으로 예상
- 주봉 파동의 모죠패턴이 완성되어 가며, 삼각수렴 끝에서 주봉과 일봉의 모죠가 함께 나오며 급등할 것으로 예상
- 바닥권 기관의 지속적인 수급
- 단기 목표 : 전고, 가격마디, 하락추세선 약 12.5만원선
1. LG이노텍(011070)
- IT 부품주들의 하반기 전망은 어두운 반면, 동사의 하반기는 견조할 것으로 예상. 하반기 신모델 출시에 따른 실적 가시성은 매우 높은 상황.
- 2Q22 실적은 매출액 3조 2,554억원(+38.3% YoY), 영업이익 2,671억원(+75.8% YoY)으로 전망하며, 이는 시장 컨센서스를 각각 1.3%, 10.6% 상회
- 디스플레이 제품군은 TV 수요 침체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예상되나 북미 고객사 등 5G 교체수요에 따른 패키지 기판 수요는 양호한 것으로 추정
- 3파동 동시 상승중, 동시 골든크로스
- 최근 32만원을 4번 지지해주며 더이상의 하락을 멈춤, 20선을 지속적으로 돌파시도하며 하락추세선을 살짝 돌파
- 비록 단기 하락추세선에 맞았지만, 20선 근처에서 찌그러지며 60선 돌파할것으로 예상 완만한 상승전환추세를 U자형으로 그릴 것
2.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 연간 매출은 2조 282억원, 영업이익 6,599억원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 2분기 신규 고객사로 노바티스를 추가했으며, MSD와의 대형 본계약 체결도 공시함
빅파마들과 추가 계약은 동사가 글로벌 수준의 CMO임을 다시 한번 확인
- 세포 유전자 치료제 CMO 진출은 세포 유전자 치료제 시장의 높은 성장성을 고려 할때 새로운 모멘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최저점과 최고점의 중심값 라인 지지 후 가격 조정 중
- 삼각수렴 구간, 고점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연결 추세선 양봉으로 상승 이탈하는 긍정적인 모습
- 스토캐스틱 막내, 큰형 과열권이며 둘째 상승 파동 만드려는 모습
- 스토캐스틱 막내 저점과 고점 높히며 상승중, 큰형 상승 추세 → 중장기 상승 예상
- 삼각수렴 구간 양봉 상승으로 이탈하는 긍정적인 모습
- 스토캐스틱 막내, 둘째 저점 높혀 상승중이며 큰형 상승 파동 만들 가능성 높다고 판단 → 단기적인 상승 기대
1.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소폭 하회했지만 노바백스향 CMO 매출은 순항중.
-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백신을 보유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수혜를 받는중, 동종 부스터샷 임상에서 25배 높은 오미크론 예방효과.
- 주가는 강하게 상승 후 중심값까지 눌림, 파동 막내 바닥, 둘째 하락중, 큰형 하락중.
- 다음 주 시장은 순환매 장이 나올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6거래일 연속 음봉을 맞으며 중심값까지 눌림을 받았던 SK바이오사이언스가 N자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패턴으로 상승 할것으로 전망.
2. 호텔신라(008770)
- 2분기 부진한 실적 이어질 전망: 면세점 수익성 부진, 중국의 업황 부진
- but! 호텔 및 레져 사업부의 경우 내국인 여행 수요 증가와 사회적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집객력 증가로 투숙율 및 객단가 모두 상승할 것으로 전망
- 업황 개선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
- 장기적 하락 추세로 단기간 횡보 구간 형상
- 역배열된 이평선과 20이평선 위로 주가가 반등
- 3파동 모두 저점을 높이며 상승
- 수급동향: 외국인의 매수세가 가장 강함
1. 코스맥스(192820)
-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77% 감소한 100억원 수준에 그칠 전망.
- 상해 법인 6월 가동률이 7~8월까지 계속 이어진다면 2분기와는 확연히 다른 하반기 실적을 기대할 수 있을 것.
- 실적과 주가는 상반기를 바닥으로 봐도 무방할 듯하다. 실적 추정치 및 적정 밸류에이션 하향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내리지만, 상승 여력은 충분.
- 하락추세를 이어가다가 추세선 위로 올라옴.
- 파동 큰형이 쌍바닥을 다지고 둘째 횡보하다가 고개 들었고 막내는 과열권 진입 직전.
- 목표가 전고점이자 60이평선이 만나는 7만원.
2. LG에너지솔루션(373220)
- 3Q22 매출액 6.4조원(+26% QoQ), 4,232억원(+116% QoQ) 예상.
- EV 배터리: 3분기부터 GM JV 얼티엄 라인 매출 인식 본격화, 2분기 부정적 영향 주었던 글로벌 OEM 향 물량(폴란드 라인) 회복 본격화 전망.
- 원재료 가격 상승, 매크로 환경에 따른 물류 비용 상승으로 예상 대비 수익성 부진.
- 저점에서 지지 후 저점대비 약 10% 빠르게 반등이 나왔음.
- 반등이 나왔지만 단기간 하락추세선에 의해 저항을 받고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줌.
- 파동을 보면 추세선을 돌파할 것으로 판단.
- 막내는 저점을 낮추면서 3바닥을 만들어 강하게 상승하고 있으며, 둘째는 바닥을 길게 다지고 고개를 들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큰형 또한 바닥을 빠른 시간 안에 만들고 상승할 것으로 보임.
- 폴란드 수출 수주 가시화. 매출기여 시점도 생각보다 빠를 가능성.
- 연초 대비 주가가 56% 급등하여 밸류에이션 부담 존재.
- 완제기 수출 수주, 기체부품 사업 회복 관련 모멘텀 아직 남아있음.
- 둘째 파동과 큰형 파동 흐름 좋음. 큰형 파동 골든크로스 움직임.
- 7월 4일 고점으로부터 8거래일간 하락 후 4거래일 동안 중간값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도달하며 강한 모습 보여주었음. 다음날 -5%가량의 음봉이 있었지만 바로 2거래일동안 상승 모습. 중간값 도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8거래일 하락 후 7거래일이 흘렀고 중간값을 이미 살렸기에 강하다는 것 증명.
- 목표 가격대는 중간값 돌파 이후 고점끼리 형성한 하락추세선과 상승추세선이 만나는 지점.
- 51000원부근에서 저항받은 모습 확인 가능
- 단기적으로 하락할 수 있지만 49900원대(이전 저점라인)에서 지지구간이 형성될 가능성 높음.
- 이동평균선도 120이평과 60이평이 골든크로스 형성 움직임 보여주고 있음.
-막내파동과 큰형파동의 흐름이 좋음.
-여기 역시 현 가격대가 저항라인이지만 똑같이 지지가격대가 명확함.
2. 파인테크닉스(106240)
- 6월말부터 폴더블 밸류체인 내 공급이 확대된 점을 고려해 전분기대비 증익으로 추산
- 22년에도 고객사의 메탈플레이트(내장힌지) 수요 대부분을 책임질 것으로 예상
- 폴더블 관련 사업제품군의 다각화도 기대하여 이를 기반으로 폴더블 부품 기업 중 매출 확장 성이 가장 크다고 판단
- 아직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 유입이 많지 않음
- 21년 후반기 폴더블 내장힌지로 매출액 증가
- 6/23에 240일선의 지지라인을 깨면서 최저점을 찍고 반등하려는 시도는 나왔으나 7/4 다시 최저점을 10,450원을 터치하는 흐름이 나옴. 그러나 그 이후에는 저점을 이탈하려는 모습은 나오지 않고 N자패턴으로 우상향하는 차트를 만들어감
- 7/19 큰형의 골든크로스 전환을 시작으로 240일선의 저항구간을 뚫으려는 시도가 나옴
- 7/22 고점과 저점의 중심값인 12,475원 부근까지 상승하였다가 밀렸지만 종가가 240일선의 위에서 끝이났고 중심값을 터치했다는 점에 유의하게 봄
- 막내의 파동이 살짝 머리를 내렸지만 둘째와 큰형의 최근 골든크로스의 전환으로 아직 상승 흐름이 남아 있다고 판단
- 막내 둘째 큰형 모두 상승패턴이며 아직 상승 추세가 있어 보임
- ①의 추세선의 저항구간이 존재하여 돌파를 하여도 다시 추세선 밑으로 내려오면서 상승하였고 ②의 최저점을 기준으로 그은 추세선의 저점은 이탈하지 않고 상승하여 두개의 추세선이 평행추세선으로 저점을 올리는 차트를 만들어 가고 있음
- ③의 추세선과 ①의 추세선의 교차 이후 그 사이에서 차트를 만들어 가고 있으며 ④의 추세선과 ①의 추세선이 교차하면서 240일선의 저항구간 12,600원을 뚫을 것으로 예상
1. 신한지주(055550)
- 2Q 지배순이익 1조 2,466억원(-0.4%y-y) 전망, 이자이익 2조 6,221억원(+17.2%y-y)
- 3Q 계열사 사옥 매각, 펀드 사적 화해 비용 x → KB금융지주와 비슷한 이익 규모 달성 예상
- 연간 DPS 기준 배당수익률 6.6%로 작년보다 배당 매력 상승
- 금융투자+투신+기관+사모펀드 수급 들어옴
- 캔들이 20일 이평선인 36,000원 부분을 돌파한다면 5월 31일 이후의 하락 추세의 상단부분을 돌파할 확률이 높아보임
- 21년 6월 이후부터의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추세선의 상단 부분인 37,000원까지 상승할 확률이 높음.
- 스토캐스틱상 20,12,12 및 10,6,6 파동이 골든 크로스가 났으며 5,3,3 파동은 과매수 구간에 있음
- 2020년 이후로 주가가 35000원대를 중심으로 움직임을 보이며 그 근처에 자주 머무름. 횡보할 가능성 있음.
- 막내 파동 쌍바닥 만들고 상승세, 둘째와 첫째도 바닥에서 상승하는 모양이며 MACD 지표도 골든크로스
- 전체적인 주가 흐름에서 34,000원~35,000원이 지지부분, 41,000원이 저항부분으로 작용
- 상승추세로 박스권을 생성. 작도되어진 상승 채널 안에서 주가가 움직일 가능성이 높음.
- 5월 31일 이후의 하락 추세를 돌파하였으므로 200일 이평선인 37,000원까지 상승할 확률이 높음
- 60분봉 스토캐스틱상으로 5,3,3 파동은 골든크로스가 났으며, 10,6,6 파동은 윗꼬리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골든크로스가 날 가능성 높아보임
2. 신세계 (004170)
- 22E 매출 2.26조원(+!5%y-y), 영업이익 6,634억원(+28%y-y), 영업이익률 91%(+0.9%pts)
- 2H22 여유소비재 소비 둔화 가능성 반영해 영업이익 4% 하향 조정
- 2Q22 성장 모멘텀 정점으로 둔화 전망이나 추가 하향조정 가능성 제한적
▶ 수급 분석
- 사모펀드+기관+금융투자+투신 수급 들어옴
- 매출액, 영업이익 yoy는 상승세
- 캔들이 20일 이평선을 돌파하고 안착하였기 때문에 하락 추세는 끝났다고 판단.
- 추후에 충분한 수급이 들어와 30일 이평선을 돌파한다면 60일 이평선인 236,000원까지 상승할 확률이 높음.
- 오래 전부터 20~21만원 부근에서 반등이 자주 있었음. 현재 바닥으로 사료됨. 하락하더라도 20만원 밑으로 떨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임.
22-10_독서_잭 슈웨거_시장의 마법사들
이 책을 처음 읽었을때 전혀 와닿지가 않아 덮어버렸던 기억이 있다. 4~5년 정도 전인것 같다.
이번에 시장의 마법사를 읽으며 마법사들 시리즈를 다 사버릴까 고민할 정도로 너무 마음에 들고 배우는 것이 많다.
시장의 마법사들/ 주식시장의 마법사들/ 새로운 시장의 마법사들/ 헤지펀드 시장의 마법사들.
책은 변한 것이 없는데 나는 조금 변했나 보다. 이 책의 저자 잭 슈웨거는 본인의 기법대로 성공한 트레이더들을 만나 그들의 방식을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그래서 책의 구성이 인터뷰 형식이라 예전에 읽었을때는 잘 와닿지 않았나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보다. 지금 보는 이 책은 현재 나에게 많은 배울점을 주는 책이다. 나중에 볼때 또 어떻게 느낄지 궁금하다.
1부. 선물과 통화시장의 마법사들
마이클 마커스/ 브루스 코브너/ 리차드 데니스/ 폴튜더 존스/ 게리 빌펠트/ 에드 세이코타/ 래리 하이트
마이클 스타인하트/ 윌리엄 오닐/ 데이빗 라이언/ 마티 슈와츠
3부. 다양한 시장에 참여하는 마법사들
제임스 B.로저스 주니어/ 마크 와인스타인
브라이언 겔버/ 톰 볼드윈/ 토니 살리바
서문에 나오듯 이 책의 작성 의도는 매우 명확하다.
나는 성공한 트레이더들에게 물어보고 싶었다. 귀하의 성공의 열쇠는 무엇이었습니까? 시장에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십니까? 어떤 매매원칙을 고수하십니까? 초기 매매경험을 말해 주시겠습니까? 다른 트레이더들에게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습니까. 고수들의 보물같은 노하우를 찾아떠나면 된다!
몇가지나 기억할지는 모르겠지만, 다 읽고나서 느낀점은 본인의 방법을 찾고 인내와 절제가 항상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대다수의 고수들이 초보자에게 하는 조언들이 비슷한 이유는 간단하고 명료해보이지만 실행하기에 어려운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광역시 등
이 책을 읽고 싶은 사람
무이자 할부 안내
- * 2~4개월 무이자 : 롯데
* 2~6개월 무이자 : 삼성
* 2~7개월 무이자 : 우리(BC아님), 국민, 비씨, 신한, 현대
* 2~8개월 무이자 : 하나, 농협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