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금리 상승기에 접어든 가운데 증시 상황은 불안해지자 조금이라도 이자를 더 주는 제2금융권 수신(예·적금) 상품으로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2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에 따르면 상호금융권 지난 2월 말 수신 잔액은 430조9834억원으로 지난해 말 427조3100억원보다 3조6734억원 증가했다.

대표적인 상호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는 같은 기간 222조5439억원으로 지난해 말 214조8323억원보다 7조7116억원 불어났다. 신용협동조합은 115조1646억원으로 지난해 말 111조7331억원보다 3조4315억원 늘었다.

또 다른 제2금융권 저축은행은 지난 2월 말 수신 잔액 105조6615억원으로 지난해 말 상호금융 102조4435억원보다 3조218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 금리 공시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이날 12개월 기준 2.56%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2.37% 대비 0.1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월 말 2.43%, 지난 2월 말 2.47%, 지난달 말 2.51%로 매월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는 중이다.

이에 대해 제2금융권에서는 금리 상승기에 예견된 현상이라는 분위기다. 저축은행들은 지난 14일 한국은행 상호금융 기준금리 인상 이후 수신 금리를 올리고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부각시키고 있다.

주요 저축은행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연 2% 후반대로 3%를 목전에 두고 있다. 수신 상품 구분 없이 동일한 금리를 제공해 인기를 끈 토스뱅크 통장 금리가 1억원까지 연 2% 수준이다.

웰컴저축은행은 전날 정기예금(인터넷뱅킹 상호금융 가입시) 1년 이상 연 2.8%로 올렸다. 상상인저축은행도 같은 날 비대면 채널에서 가입하는 정기예금 1년 기준 최고 2.83%로 인상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 25일 복리정기예금 금리를 연 2.7%로 올렸다. 이 상품도 인터넷뱅킹 가입시 적용되는 금리다.

OK저축은행은 기준금리 인상 전인 지난 7일 금리를 변경해 1년 이상 OK-e정기예금의 경우 2.6%에서 2.7%로 뛰었다. 1년 이상 OK정기예금은 2.5%에서 2.6%로 올라갔다.

2금융권 관계자는 "마냥 수신을 늘리기에는 예대율(예금잔액 대비 대출잔액 비율)도 생각해야 한다"며 "대출처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수신만 늘면 역마진이 날 수 있어 금리를 결정할 때 이런 부분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출 증가에 농협 등 상호금융 작년 순익 2조7천여억원 달해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7천413억원으로 2020년보다 5천642억원(25.9%) 증가했다.

금감원은 "상호금융권은 대출 규모 증가 및 저원가성 예금 증가 등에 따른 이자 이익 확대로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오주현 기자

금감원 "건전성 개선…경기회복 지연 대비 손실흡수능력 높여야"

상호금융(CG)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조합이 지난해 2조7천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올렸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7천413억원으로 2020년보다 5천642억원(25.9%) 증가했다.

농협 1조9천784억원, 신협 5천127억원, 수협 1천587억원, 산림조합 915억원 등의 당기 순이익을 올리며 전 업권이 증가세를 보였다.

상호금융권 손익 현황

[금감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금감원은 "상호금융권은 대출 규모 증가 및 저원가성 예금 증가 등에 따른 이자 이익 확대로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예금·대출 등 금융영업에 해당하는 신용사업 부문의 순이익은 이자 이익 증가 영향으로 2020년보다 5천827억원 증가한 4조471억원이었다.

다만 경제사업 부문은 1조3천58억원 적자를 보이며 적자 규모가 전년보다 소폭 확대됐다.

지난해 말 기준 상호금융의 총자산은 631조1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47조원(8%) 불어났다.

농협(1천118개)·신협(873개)상호금융 ·수협(90개)·산림조합(137개) 등 모두 2천220개 조합의 조합당 평균 자산은 218억원 늘어난 2천625억원이었다.

총여신은 453조9천억원으로 52조8천억원(13.2%) 늘었고, 총수신은 539조원으로 40조9천억원(8.2%) 증가했다.

상호금융 자산 및 부채 현황

[금감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출 연체율은 1.17%로 1년 전보다 0.37%포인트 내리며 개선됐다.

가계대출 연체율(0.82%)과 기업대출 연체율(1.76%)이 각각 0.37%포인트, 0.47%포인트 내렸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1%포인트 개선된 1.61%였다.

대손 충당금은 10조6천574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7천834억원(7.9%) 증가했다.

지난해 말 순자본 비율은 0.14%포인트 오른 8.31%로 최소 규제 비율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감원은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대출 규모 증가 및 금융지원 지속 등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경기회복이 지연되며 잠재부실이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금감원은 가계대출 증가 속도 및 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주문하는 등 상호금융권의 손실흡수 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금감원은 "코로나19로 일시적인 자금난을 겪고 있는 취약 차주에 대해서는 필요 자금을 적기에 공급하고, 선제적 채무조정 등을 통해 금융부담을 완화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상호금융(농축협·새마을금고·신협·수협·산림조합)이 지역금융에 집중하면서 몸집 키우기에 성공했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의 전체 조합원 수는 1738만3354명으로 전년(1733만3071명) 대비 5만명 이상 증가했다.

상호금융의 조합원이 증가했다는 건 지역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받았다는 의미다. 상호금융은 조합원들로부터 예금을 받고 이를 다른 조합원에게 싼 이자로 대출해 주는 등 조합원 간의 자금 융통을 돕는 기관이다.

조합원은 출자금을 납입해 배당을 받는 고객으로 비조합원 고객과 구별된다. 조합원이 가입된 상호금융으로 금융거래를 이용할 시 세제상 혜택을 받는다.

업계는 조합원 수 증가의 이유로 상호금융의 지역금융 강화를 꼽는다. 상호금융업권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대면 창구를 넓혀 외형확대를 이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임직원과 영업점 수를 늘린 상호금융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금융권이 코로나19로 비대면 상호금융 영업과 리스크 관리를 위해 직원, 점포를 줄이는 것과 대비되는 행보다.

상호금융별로 보면 지난해 새마을금고의 임직원 수는 2만9452명으로 전년 대비 152명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신협은 1만7600명으로 119명 증가했고, 산림조합은 3593명으로 92명 늘었다. 수협은 7396명으로 4명 소폭 감소했으며 농축협은 9만7356명으로 322명이 줄었다.

지방의 금융 사각지대를 상호금융 해소하기 위해 영업점도 늘렸다. 지난해 새마을금고와 신협의 영업점 수는 각각 3227개, 1677개로 전년 대비 10개, 19개씩 증가했다.

상호금융업권이 상대적으로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 많은 지방 주민들을 위해 영업점과 직원을 늘리는 모양새다.

실제로 상호금융은 지역 내에서 금융기관의 역할뿐 아니라 교육, 사회공헌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 공동체의 커뮤니티 역할을 하고 있다.

5곳의 상호금융은 모두 지역민에게 각종 교육(금융·노래·서예 등)상호금융 을 제공하는 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주민들은 문화센터를 통해 다른 주민들과 교류를 확대하거나 특산물을 판매하는 등의 기회를 얻고 있다.

아울러 상호금융은 장학사업, 지역사회 환원, 착한 임대인 운동 등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민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신협은 당기순이익 3831억원 중 절반 이상인 2065억원을 조합원과 지역사회에 환원했다.

상호금융의 지역금융 강화 노력을 바탕으로 실적도 개선됐다. 지난해 상호금융의 여·수신 규모는 각각 308조7011억원, 398조620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9.7%, 7.1%씩 증가했다.

한 상호금융 관계자는 “상호금융은 여유 공간을 활용해 교육과 담소의 공간을 제공하는 등 지방 주민의 사랑방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은행 문턱을 넘기 어려운 서민과 소상공인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금융 2220개 조합, 지난해 순익 2조 7413억

여기는 칸라이언즈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 7413억원으로, 전년대비 25.9%(5642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31일 '2021년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 잠정치'를 내놓고 이 같이 밝혔다.

금감원 측은 "신용사업부문(금융) 순이익이 대출 증가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로 전년대비 5827억원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업권의 총자산은 631조 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8.0%(47조원) 상승했다.

농협(1118개)·신협(873개)·산림(139개)·수협(90개) 등 총 2220개 조합으로, 조합당 평균자산은 2843억원이었다.

총여신은 453조 9000억원으로 상호금융 52.8조원(13.2%) 증가했다.

자산건전성 현황을 보면, 연체율은 1.17%로 0.37%p,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61%로 0.41%p 개선됐다.

대손충당금은 10조 6,574억원으로 전년대비 7834억원(7.9%)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대출규모 증가 및 금융지원 지속 등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잠재부실 가능성은 여전하다"며 "가계대출의 증가속도 및 건전성 등을 모니터링하고, 상호금융 기업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등 손실흡수능력도 제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방금 보신 기사와 같이 읽으면 좋아요!

1 금감원, 올해 180곳 재무제표 심사…회계법인 17사도 감리2022년 회계심사·감리업무 운영계획 발표

2 정은보 금감원장 "사모펀드 운용사, 과도한 구조조정·수수료 제고해야"9일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 CEO 간담회 개최

3 정은보 금감원장 "LTV 상향 검토 어렵다"… 尹 공약에 부정 반응"가계부채 관리가 우선"

4 금감원 “직접 작성한 재무제표, 법정기한 내 증선위 제출해야”감사 前 재무제표 제출 의무 위반실태 분석·유의사항 안내

5 금감원, 올해 사업보고서 공시 기준 18개 항목 중점점검 예고사업보고서 중점 점검 항목 사전 예고

6 금감원, 오스템임플란트 재무제표 모니터링 착수지정 감사법인 인덕회계법인 "특이점 없다" 의견 제시에 관심 집중

금융당국이 상호금융을 대상으로 관리 사각지대 개선을 거듭 강조했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9일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통해 ‘동일기능·동일규제’ 원칙이 구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상호금융 상호금융 중앙회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상호금융권은 동일사업을 영위함에도 관계 법령과 주무관청이 달라 규제의 차이가 존재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원장의 말처럼 신용협동조합, 축산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 주무관청은 모두 다르다.

신협은 금융위원회가 관리하지만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가 담당한다. 농협과 축협은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이고, 수협은 해양수산부 관할이다. 산림조합은 산림청이 맡고 있다.

이처럼 감독할 주무 부처가 곳곳으로 쪼개져 있고 개별법으로 통제받다 보니 제대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왔는데, 이날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통한 지속적인 개선을 밝힌 것이다. 상호금융정책협의회는 금융위, 금감원, 상호금융 기재부, 행안부, 농식품부, 해수부, 산림청 등으로 구성돼있다.

정 원장은 이날 상호금융권의 외형 성장 치중에 상호금융 대한 우려도 전달했다. 그는 “최근 상호금융권은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과 지역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기보다는 외형성장에 치중한다는 일부 우려가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의 1~2등급 고신용자 대출이 대폭 늘어났다. 국회 정무위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상호금융의 올 상반기 가계대출 신규 취급액은 37조7165억원이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7조5499억원(46.53%)이 신용등급 1~2등급자에 대한 대출로 집계됐다.

이를 두고 상호금융이 조합원에 대한 금융서비스 제공보다는 외형성장에 치중해 부동산 투기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정 원장은 이와 관련해 “관계형 금융을 보다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비조합원 대출보다 조합원 대출을 우대하는 방식으로 예대율 산정방식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 원장은 “법과 원칙에 따라 사전적 감독과 사후적 감독 간 조화와 균형을 도모하면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적 감독을 보다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상호금융권의 고객층인 농림어업인과 지역 서민은 상대적으로 충격에 더 취약한 만큼, 리스크를 미연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금감원과 중앙회가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운영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5개 상호금융중앙회와의 상시감시협의체를 보다 내실 있게 운영해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공유하고 관리하겠다”며 “상시 공조체계를 바탕으로 자산규모별 유동성 비율 및 경영실태평가 기준 차등화 등의 방식을 활용해 건전성 감독이 탄력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